View : 660 Download: 0

의류생산정보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Title
의류생산정보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of Clothing Manufacturing Information
Authors
허은영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의류제품의류생산의류생산정보커뮤니케이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Korean clothing industry, most of the manufacturers produce garments by subcontractors partially or entirely. It is very often that the design part is remote from production part and there is miscommunication between these two parts resulting dissatisfaction to both.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ommunicate the manufacturing information clearly and quickly to produce garments exactly the design part intended. Also to automate the clothing manufacturing, it is prerequisite to find out how to produce and use the information objectively and efficiently. As a first step of moving to automa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find out how manufacturing information and data are communicated in clothing manufacturing at present. In order to follow the information flow of a certain manufacturer, the case study method was used. The case study samples were 13 clothing firms of 14 brands. The result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A manufacturing information is communicated through paper documents such as "Production Order", sample and pattern. At present, a production order sheet is the most efficient communication media, which comprises most of the information being communicated. 2. A manufacturing information comprises general information on the products, production schedule information, design information, pattern information, cutting information, material information, sewing information, quality control information, costing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subcontractors. 3. A manufacturing information is not quite objective except pattern information and cutting information which is presented by CAD systems. The communication of design information and sewing information should be somehow more objective. 4. There is not much information from a subcontractor. Considering that a subcontractor is the other partner of the communication, more information from the subcontractor is required for both benefit. 5. A designer produce most of the manufacturing information, but the information is communicated through a production manager to the subcontract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maker and information communicator can cause any miscommunication. In future automated manufacturing, it will be possible for the designer to communicate to the manufacturer directly from the early stage of designing.;우리나라 섬유산업의 정보화는 1980년대초 경영정보시스템(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붐을 타고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의류업체의 대다수가 속해 있는 중소 섬유산업에서는 정보화에 대한 의욕은 있으나 제반 여건상 어려움을 격고 있으며, 정보화가 진행중인 업체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POS 시스템(Point Of Sales System)이나 물류시스템과 같은 제품의 판매와 유통부문에 편중되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 본 연구는 의류제품의 생산과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제품의 기획과 디자인을 담당하는 의류 브랜드와 생산을 담당하는 하청업체 사이에 커뮤니케이션되는 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하청에 의존하고 있는 의류제품 생산의 정보화, 통합화 실현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상 정보의 흐름을 따라가며 연구하기 위하여 사례조사를 행하였다. 사례조사는 기초 설문조사 응답업체중 13개 업체의 14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업체의 작업지시서의 서류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류제품의 생산정보는 작업지시서를 비롯한 서류양식과 샘플, 패턴의 형태로 커뮤니케이션되었으며, 정보의 내용상 제품 및 생산 일반정보, 생산스케줄 정보, 디자인 정보, 패턴 정보, 재단 정보, 원단 및 부자재 정보, 봉제 정보, 제품의 품질관리 정보, 생산비용 정보, 하청업체 정보로 구분되었다. 둘째, 정보의 가공형태로 볼 때 CAD System의 도입으로 패턴 정보와 재단정보가 각각 그레이딩이 완료된 공업용패턴과 축소마커의 형태로서 의류제품의 생산정보 중에서 가장 객관적인 형태로 커뮤니케이션되었다. 반면 디자인 정보와 봉제 정보는 작성자의 주관적인 변수가 가장 크게 작용하였다. 의류제품의 생산을 위한 정보는 그 종류와 작업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가공되어 커뮤니케이션되었다. 세째, 하청업체 정보는 하청생산에 의존하는 의류제조업의 특성상 중요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조사업체 모두에서 커뮤니케이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것은 의류생산과 관련된 정보가 의류 브랜드에서 하청업체로의 일방적인 흐름을 갖게 한다. 네째, 조사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작업지시서를 분석한 결과, 작업지시서의 주요항목은 지시서의 결재자, 발주량, 생산처, 회사명, 브랜드명, 생산형태, Order No.제품납기일, 지시서 작성일, 생산의뢰일, 임가공료, 원단가, Style No., Item, Color/Size 수량, 제품치수, 원단명, 원단규격, 1 Pcs당 소용량, 원단 Swatch, 원단 사용부위, 원단 색상, 원단 발주처, 부자재명과 종류 및 단위, 라벨, 디자인 도식화, 봉제방법, Q.C(또는 Approval)지시 항목으로 구성 되었다. 다섯째, 의류제품의 생산정보의 대표적인 형태인 작업지시서의 경우 디자이너와 MD가 중요 작성자였으며, 패턴사와 CAD 담당자, 생산과 담당자가 함께 작성하였다. 이러한 생산정보의 커뮤니케이션 담당자는 이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은 브랜드의 생산관리 담당자와 하청업체 사장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었다. 여섯째, 업체의 사례조사 결과를 기초로 의류생산 정보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작업지시서의 모델을 하청생산에 의존하는 의류업체의 현실에 맞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량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류해야하는 다품종·소량·단싸이클 생산요구가 날로 증가하는 의류제조업의 현실상, 의류생산 정보의 정량화를 통한 객관적인 접근과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의류제품의 기획과 유통, 판매 단계의 정보와 연계될 때 비로소 의류업체의 정보화, 통합화에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