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신화-
dc.creator임신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9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90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iculum of "Kwonbeon" (entertainer girl training office) and private tutor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eceding studies viewed educational system or curriculum of "Kwonbeon" as the best program for training the folklore music performers in the 20th century, but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private tutoring. However, upon reviewing the cases of master artists, the researchers could know that the private tutoring was very important for their artistic perfection. In order to review the folklore music curricul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researchers examined curriculum system of "Kwonbeon" and its contents by region and age and the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asters' private tutoring to discuss the curriculum of our folklore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is end, the researchers focused Pyongyang Kiseong "Kwonbeon", Chosun "Kwonbeon", Gwangju "Kwonbeon" and Dongrae "Kwonbeon", and then, selected for analysis such masters as Kim Juk-pa, Hamdong Jeongwol and Muk Gyue-wol who were trained at "Kwonbeon" or educated by private tutoring and designat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cess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Kwonbeon" by region, it was found that the young girls aged 8 and 20 had been admitted to "Kwonbeon" and trained there to be entertainer girls under supervision of its director called 'Hakgam' who were assisted by 'Chuiches' (supervisors). Every "Kwonbeon" charged its students admission and learning fees, and the young girls were educated there for about 3 years. For this period, the girls were educated and trained on diverse subjects all day long. However, some "Kwonbeons" taught them the major subjects in the morning and the common subjects in the afternoon or vice versa. The girls should pass a certain number of courses to graduate from "Kwonbeon". Second, as a consequence of examining the curriculum of "Kwonbeon" by genre (vocal, instrumental and dance) and age, it was disclosed that the curriculum had changed around 1930's. The common subjects were lied (vocal), Gayagum/Geomungo/Yanggeum (instrumental) and Seungmu (dance) before 1930's. However, by 1930's, more diverse subjects would be added up to the curriculum: Pansori, folksongs, Japanese 'Chang' in vocal genre, Saenghwang, Haegeum, Jeotdae and Piri in instrumental genre, and foreign dances and creative dances in dance genre. In view of regions (Pyongyang, Seoul, Gwangju and Busan), girls were found to be educated in common on songs and dances but not much on instrumental music. As it was, the would-be entertainer girls were educated and trained on diverse subjects in a systematic way at "Kwonbeon". Thir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urriculum of folklore music masters' private tutoring and its contents, it was disclosed that their students had began to learn under their masters when they were about 10 years old, while the tutoring period differed depending on individual students, approximately for more than 10 years and even for 30 years or longer. Compared with "Kwonbeon", the starting age was similar, but the training period was far longer. Under the private tutoring system, students learned about songs, dance and music in general in their teens, while learning about important or major subjects repeatedly, and they were personally trained on major subjects by their masters. Some students were trained simultaneously at "Kwonbeon" and by private tutors, and in such cases, "Kwonbeon" was a place for activities as well as training. Although the curriculum differed depending on majors or individual cases, the common subjects were lied in vocal genre, Gayageum and Yanggeum in instrumental genre and Seungmu in dance genre. Some students were not trained on instruments, particularly the wind instruments. Students were eager to learn about other subjects than their majors, and if they could not learn about such subjects at "Kwonbeon", they chose to be tutored privately. The masters sampled by this study were trained mostly under the private tutoring system.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ivate tutoring method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had been trained face-to-face by their masters. Masters would come to students' houses or vice versa, and tutoring was focused on a single subject, while teacher and student were living together. Each subject had its own systematic learning program, and in particular, Jeongak was the basic subject. Students were growing in a musical environment to listen to and learn music, or supporting teacher's music activities, while learning music, or joining master teacher's music activities, while appreciating his or her music. All in all, private tutoring was characterized by face-to-face learning, while it could be divided into long and concentrated learning, programmed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appreciation.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urriculum of folklore music centering around "Kwonbeon" and private tutoring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t could be confirmed that students had been educated in general at "Kwonbeon" and in some cases, further trained in-depth by private tutors or masters, and that masters' artistic development had been influenced more by professional training of private tutoring than general education of "Kwonbeon".;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권번과 개인학습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연구에서는 권번의 교육체계나 교육내용을 20세기 민속악 예인양성의 최고 과정으로 보고 개인의 학습과정을 중요시 하지 않았다. 그러나 명인들의 개인 사례를 통해 그들의 개인학습이 예술성을 완성하는데 큰 비중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민속악 교육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권번의 교육체계와 내용을 지역별 시대별로 구분하여 알아보고, 명인들의 개인학습과정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일제강점기 민속악 교육과정을 균형 있게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평양기성권번ㆍ조선권번ㆍ광주권번ㆍ동래권번이 중심이며, 권번에서 교육받았거나 개인학습을 거치고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로 지정된 김죽파ㆍ함동정월ㆍ묵계월을 주 대상으로 정하였다. 권번과 개인학습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권번 교육행정 체계를 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권번의 책임자가 학감으로 불리었고 취체가 있었으며, 입학연령은 8-20세가 일반적이었다. 권번마다 입학금과 수업료가 있었고, 수업기간은 약3년이었다. 수업방식은 하루 종일 수업한 것과 다양한 학습을 한 것은 권번별로 공통적이다. 그러나 학년별 수업을 하거나,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전공과목과 공통과목을 구분해서 학습하거나, 권번 주력과목을 학습한 후 선택별로 학습하는 등 지역별로 다양한 수업 방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졸업규정이 있어 일정한 과정을 통과 해야만 졸업을 할 수 있었다. 둘째, 권번의 교과내용을 성악ㆍ기악ㆍ춤으로 나누어 시대별로 살펴본 결과, 1930년대를 중심으로 교과내용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악의 가곡, 기악의 가야금ㆍ거문고ㆍ양금, 춤의 승무가 공통적으로 교육되었다. 1930년대에는 성악의 판소리ㆍ민요ㆍ일본창 등, 기악의 생황ㆍ해금ㆍ젓대ㆍ피리 등, 춤의 외국무ㆍ창작무 등이 추가되어 교육되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평양ㆍ경성ㆍ광주ㆍ부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노래와 춤 위주로 교육하였고, 지방은 기악의 비중은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알아본 권번의 교육행정체계와 교과내용은 일제강점기 권번에서 교육되어지는 일반적인 교육과정이었다. 셋째, 민속악 명인들의 개인학습과정과 학습내용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학습시작 시기는 10세 이전이며, 학습기간은 전공분야에 따라 개인별로 차이가 있었고 10년 이상 장기간 학습하였으며 개인에 따라 10-30년 이상이었다. 학습기간을 권번과 비교했을 때 학습을 시작한 시기는 비슷했지만 학습기간이 훨씬 길었다. 10대에 가ㆍ무ㆍ악을 익히고 주력과목이나 전공과목은 반복해서 학습한 특징이 있으며, 전공과목은 주로 개인 사사를 통해 교육받았다. 학습 받은 과정은 개인 사사를 위주로 한 경우, 권번학습과 개인 사사를 병행한 경우 등이 있었으며, 권번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곳이었을 뿐 아니라 활동을 하기 위한 장이기도 하였다. 개인 학습 내용은 전공별ㆍ사례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성악에서는 가곡, 기악에서는 가야금과 양금, 춤에서는 승무를 습득하였다. 전공에 따라 기악을 학습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고, 관악기는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주 전공 이외의 학습에도 주력하였으며, 권번에서 학습할 수 없는 과목을 개인 사사를 통해 학습하였다. 사례로 살펴본 명인들의 경우 권번보다는 개인사사학습에 주력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개인학습방법을 살펴 본 결과, 구전심수(口傳心授)방법으로 학습되었다. 개인학습방법은 선생님이 오시거나, 학생이 선생님 집에 가거나 하는 방법으로 스승과 함께 생활하면서 한 과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였다. 또 각 전공마다 체계적인 학습순서가 있었으며 특히 정악을 기본으로 이수하였다. 또 음악적인 환경에서 성장하면서 그냥 듣고 학습 하거나, 학습 기간 동안 스승의 음악활동 뒷바라지를 하거나, 스승ㆍ명인들과 같이 음악활동을 하면서 감상을 통해 학습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개인학습은 구전심수에 의해 학습되었으며 특징을 유형별로 구분하면 장기간 집중학습ㆍ학습순서에 의한 학습ㆍ감상을 통한 학습 등으로 구분지어 볼 수 있다. 일제강점기 민속악 교육과정을 권번과 개인학습위주로 살펴본 결과, 권번에서의 보편적인 교육과 개인사사학습의 심화 과정을 통해 일제강점기 민속악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고, 권번의 일반적인 교육 보다는 개인학습과정이 명인들의 예술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4 II. 본론 6 A. 권번의 교육행정 체계와 교과 내용 6 1. 권번 교육행정 체계 6 가. 기성권번 7 나. 조선권번 8 다. 광주권번 11 라. 동래권번 13 2. 권번의 교과 내용 16 가. 기성권번 16 나. 조선권번 19 다. 광주권번 22 라. 동래권번 24 B. 민속악 명인의 학습과정과 방법 29 1. 개인학습의 과정 29 가. 학습과정 30 (1) 김죽파 30 (2) 함동정월 31 (3) 묵계월 32 나. 학습내용 36 (1) 성악 36 (2) 기악 38 (3) 춤 39 2. 개인학습의 방법 40 (1) 집중학습 41 (2) 학습순서 44 (3) 감상을 통한 학습 46 III. 결론 52 참고문헌 55 부록-1『평양 기성권번 학예부 규칙』 59 부록-2『조선미인보감』동래권번 藝妓 63 부록-3『매일신보』 「예단일백인」기사 69 부록-4『삼천리』 기사 72 부록-5『매일신보』기사자료 74 부록-6『동아일보』기사자료 77 부록-7『가곡보감』목차 78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6448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券番과 個人學習의 敎育課程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iculum of "Kwonbeon" and Private Tutoring-
dc.creator.othernameLim, Shin Hwa-
dc.format.pagevii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