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여성주의 윤리학에서의 '자아'의 개념

Title
여성주의 윤리학에서의 '자아'의 개념
Other Titles
Conception of the 'Self' in Feminist Ethics
Authors
이현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여성주의윤리학자아여성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the "self" in feminist ethics. Before exploring the conception of the self in feminist ethics, I examine the feminist criticism on the individualistic conception of the self in the traditional ethics. Feminist ethicists criticize the conception of self in traditional ethics to be individualistic in that it assumes a discrete and abstract self. Feminist ethicist consider such an individualistic conception of self to be masculinist. But it is not the goal of the feminist ethics that women become the moral self in the system of the existing ethical theory. Also, it is not the alternative to replace discretness and autonomy by connection and compassion, that is to say, 'feminine' characteristics. The conception of the 'relational self' in feminist ethics must be beyond the dualism itself. Relational self is the one who is interdependent to others, constituted by relationships. The key issues in the conception of the relational self are the integration of 'connection' and 'separateness', and 'universalism which focuses on differences'. The self in feminist ethics is not an atomistic being but an interdependent and interconnected being. 'Mother-child relationship' describes well the interdependent self-other relationship, and it can be the paradigm of the human relationship in feminist ethics. And Relational self is 'connected and separate' at once. 'Relational self' also implies that the self is constituted relationally. Relationally constituted self is the moral agent that is situated in context, with particularity and differences. Relationally constituted self is not uncritical to the traditions or conventions, nor is indifferent to the global concerns. Relational self understands the other as being with particularity and contextuality. Although considering the particularity and contextuality, feminist ethical theory does not abandon universalizability. The universalism which focuses on differences can be more adequate morality than what focuses on the sameness. Feminist Ethics expands the scope of the feminist politics. According to feminist ethicists, feminist politics can be defined as the responses to all the problems which is brought about by the masculinist dualistic thought. Furthermore, feminism is defined not;여성주의는 자유주의적 개인주의 원칙이 여성에게도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출발하였다. 그래서 여성주의의 목표는 자주 개인주의적 자아의 확립, 자기발전, 자아실현 등으로 이해되어 온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남성이 만든 사회에 대한 비판을 여성주의의 임무로 삼으려는 시도가 활발해지고 있는데 '여성주의 윤리학'이 그러한 경향을 대표한다. 여성주의 윤리학의 자아에 대해 살펴보기 전에 먼저 전통 윤리학의 개인주의적 자아 개념에 대한 여성주의 윤리학의 비판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주의 윤리학자들은 전통 윤리학의 자아 개념이 자아의 분리와 추상성을 가정한다는 점에서 개인주의적이라고 비판한다. 전통 윤리학은 관계나 연결을 존재론적으로 근본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인격적 관계에 도덕적 중요성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분리된 원자'로서의 자아를 가정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 윤리학의 도덕적 주체는 자기자신의 이해관계, 감정적 애착, 구체적 상황에 분리된 관점에서 판단하는 '공평한' 자아이다. 이 공평한 자아는 그를 둘러싼 관계에 의해 구성된, 개인적 특수성을 가진, 구체적 맥락 속에 있는 존재가 아니라 공평한 이성의 능력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추상적 개인'이다. 여성주의 윤리학은 개인주의적 자아 개념이 남성적인 것이라고 비판한다. 그런데 여성 또한 남성이 가지고 있는 도덕적 능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기존 윤리이론의 체계 안에서 여성이 도덕적 주체가 되는 것이 여성주의 윤리학의 목표일 수는 없다. 또한 분리, 자율성을 연결과 공감 둥의 '여성적' 특성으로 대체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도 없다. 여성주의 윤리학의 관계적 자아의 개념은 이원론 자체를 넘어서는 것이어야 한다. '관계적 자아'는 타자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는, 관계에 의해 구성되는 자아라고 할 수 있다. 관계적 자아의 개념에서 핵심적인 문제는 '연결'과 '분리'의 통합, '차이를 강조하는 보편주의'에 대한 것이다. 여성주의 윤리학이 전제하는 자아는 원자론적인 존재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상호연결적인 존재이다. '모자녀관계'는 이러한 자타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며 여성주의 윤리학이 지향하는 인간관계의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관계적 자아란 관계 속에서 개체성을 잃어버리는 자아가 아니라 '연결된 동시에 분리된' 자아를 의미한다. 관계적 자아의 개념은 또한 자아가 관계적으로 구성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관계적으로 구성되는 자아'는 추상적 개인과는 달리 특수성과 차이를 가진, 맥락 속에 위치하는 도덕적 주체이다. 관계적으로 구성되는 자아가 관습에 무비판적이거나 지구적 차원의 관심을 가지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관계적 자아는 또한 타자를 특수성과 맥락성을 가진 존재로 이해한다. 특수성과 맥락을 고려하는, 즉 '다름'을 강조하는 도덕이 보편성을 포기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다름을 강조하는 보편주의'는 '같음'만을 강조하는 도덕보다 더 적합한 도덕이 될 수 있다. 여성주의 윤리학은 여성주의 정치학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새로운 의미의 여성주의 정치학은 남성적인 이원론적 사고가 야기한 현대문명의 많은 문제들 -환경파괴, 전쟁 등- 에 대한 대응으로 정의된다. 또한 여성주의 윤리학은 단지 여성의 권리를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도덕적 가치를 인류사회에 제시하는 것으로 여성주의를 정의한다. 이렇게 정의된 여성주의는 기존 체제를 변화시키려는 모든 진보 운동과의 연대 가능성을 가지며 그러한 운동이 지향하는 근본적인 가치로서의 위상을 가질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