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영-
dc.creator이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18-
dc.description.abstract근본적으로 조직활동은 사람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간자원이야말로 조직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학교조직 또한 마찬가지로 우수하고 자질있는 인사의 확보는 교육목표실현의 전제가 된다. 그러므로, 재능있는 인재를 교직에 유치하기 위하여 직업선택과정에서 교직유인이 어떠한 유의성을 보이는 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하나의 직업으로서 교직이 갖는 유의성을 여교사 증가현상과 관련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직여성화현상은 직업으로서 교직의 유의성이 가시적으로 드러난 현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현상을 유도한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 교직유인의 실제적 유의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보편적으로 교직 여성화현상은 일단 문제현상이라 간주되고 있으나 이는 선입견이 개재된 전제일 수 있으며 이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사회적 원인의 규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직유인의 실제적 구성과 여성이 교직을 선호하도록 이끄는 사회·문화적 요인의 분석을 통하여 직업으로서 교직이 갖는 상대적 유의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전개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인간은 선택행동을 하기에 앞서 자신의 내재적인 욕구와 함께 대상의 외재적인 조건을 고려하게 되는데, 이 내·외적인 요소들은 대상에 대한 기대를 유발하여 행동을 동기화하게 된다. 유인은 행동을 동기화하는 과정에서 외적조건으로 기능하며, 이때 유인이 심리적으로 끄는 힘의 정도를 유의성이라 한다. 교직유인체제는 직업의 선택과 업무수행과정에 있어서 교직의 외적조건으로 기능하고 있다. 교직유인을 경제적 유인, 조직적 유인, 사회관계적 유인의 세 가지 유인 유형구분에 따라 살펴보았다. 경제적 유인은 보수체계와 연금 및 휴가 등의 부가적 혜택, 조직적 유인은 근무조건과 승진제도, 직업적인 전문성 계발을 위한 기회, 그리고 사회관계적 유인은 조직상의 공적·비공식적 인간관계와 교직의 사회·경제 적 지위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경제적 유인면에서 봉급의 인상률이 높지 않아서 경력이 높아감에 따라 긍정적인 유인으로서의 기능을 하기가 어려웠으며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여러 종류의 수당이 주어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승진체계가 매우 단순하게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잠정적으로 행정직을 선호하도록 이끌고 있고 전문성 함양을 위한 기회도 형식적으로 주어질 뿐이어서 교직업무에 보다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여 성취감이나 만족감을 얻도록 유도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무선적인 학급구조의 특성상 인간관계가 타 직종에 비해 독립적이고 폐쇄적이어서 소속감이나 동료나 상사로부터의 지원과 인정이 주는 유인은 미미했다. 게다가 사회적으로 교직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또한 긍정적이지 못하였다. 이처럼 교직유인은 전반적으로 타 직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하기는 어려웠으며 교사 스스로도 교직에 대하여 낮은 평가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다소 비선호적인 조건에도 불구하고 여교사의 증가 경향은 뚜렷하게 나타났다. 유인은 사회환경 및 가치구조와 결합하여 직업선택에 영향을 미치므로 실제적 유의성은 다시금 사회적 시각에서 재해석되어야 하였다. 사회적으로 교육은 사랑과 봉사로 이루어 진다는 성직관적 시각이 일반적이었고 이는 전통적으로 여성에 대한 성역할 고정관념과 일맥상통함에 따라 교직문화의 여성성에 대한 인식이 보편적이었다. 따라서 교직은 남성보다 여성이 상대적으로 더 적합하다고 인식되며 일반적으로 여성직으로 규정되고 있었다. 또한, 여성은 직업생활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가사에 대한 전적인 부담까지 짊어져야 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직업선택과 직업생활 과정에서 결혼과 가정생활에 대한 태도가 큰 변수로 작용하였다. 게다가 직업으로서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은 유인조건을 갖춘 교직이 남성에게 강한 정적 유의성을 부여하지 못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남성과의 경쟁정도가 약해진 상황에서 가정생활과 병행하기에 안정적이며 방학과 같은 특기한 부가적 혜택이 있는 교직이 직업선택시에 여성에게는 소위 괜찮은 직업이라 여겨지며 정적 유의성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직업생활과정에서 승진구조상 최고직이 교수와 관련된 것이 아닌 학교행정직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 남성들로 구성되어 있어 남성중심문화가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여성들은 적합한 지원을 받고 있지 못하며 스스로 상위직으로의 기대수준을 낮추고 있는 실정이다. 즉, 교직생활 과정에서는 여성에게 교직선택시에 비해 긍정적인 유의성이 감소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교육이란 차세대에게 사회인으로서의 총체적인 생활문화를 전수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단지 하나의 성만으로 그 문화를 규정할 수는 없으며 또 그래서도 안 된다고 본다. 교직여성화의 문제는 심층적인 사회구조적인 문제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성비에만 주안점을 둔 시각에서 제기되는 교직유인체제의 근시적인 개선으로는 해결되기 어렵다. 따라서 행정가는 사회적으로 해석되고 인지된 실체와 필요에 좀더 가깝게 접근하려는 노력속에서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교직 자체가 보다 도전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이 되고 이와 함께 사회적인 인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더불어 현실적으로도 학교조직의 절대적인 구성원이 여성인 점을 감안하여 여교사들에게 적합한 직무수행상의 지원과 조력을 위한 정책의 마련은 효과적인 교육목표실현을 위한 당면과제라 하겠다.;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a phenomenon of increasing female teachers with a point of view of the valence of teaching profession as an occupation. As ups and downs of the organization depends on people who are involved in it, human resources can be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an organization. Therefore it is a premise to attract able and excellent teachers in schools for realization of educational goals,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eachers properly who consist of the schools and on the basis of this we are asked to establish policies in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A man considers external as well as internal conditions for objects before deciding what to do, and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motivate human behaviors through causing expectation of the objects. At this moment, incentives function as the external conditions of the objects which motivate the behaviors, and it is called these incentives' psycholosical attractive powers the 'valence' Because incentives in the teaching profession are the external conditions, competitive incentives system can be a precondition which doesn't let a talented personnel move to other work places. Incentives in teaching profession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economical, organizational, and social-relational incentives. First, the economical incentive consists of payment system and fringe benifits. Second, organizational incentive is composed of working condition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growth, and so on. Finally, social-relational incentive includes formal or informal relationships between peers and superiors, students and parents, and teacher'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Through analyzing with research data and resources, it has been proved that teaching profession has less attractive incentive system, compared with others. Futhermore teachers are inclined to underate themselves in that they have somewhat low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in the society. In spite of these situations, it is peculiar that female teachers have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A genuin valence of incentives has something to do with a sociocultural value structure. Having an occupation, a man can attain hi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get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wish to realize themselves. Social value system affects job preference when he chooses an occupation. It is common thought that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something like caring and loving, and tha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regarded as women's psychological ones traditionally. That is to say, traditional sex-role stereotypes have fixed the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s femine characteristic. Therefore it is perceived that teaching profession is fittable to female rather than male, so it has high positive valence as a femine occupation. Futhermore it is natural that though they are doing their professional job,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do housekeeping entirely. So the attitude on marriage and family life affects their job-choice situation. Moreover in the current social structure there are a great deal of discriminations and few opportunities for women to have their careers in society, it is difficult for them to compete with men. Thus under the relatively easier competing situation, teaching profession which has less attractive incentive system is good for women because of the passive valence of teaching profession for men. Especially fringe benefits like summer and winter vacations give women high valence, so teaching profession can be so-called a good occupation for women. However some questions must be asked about whether we accept a social point of view based on gender property of teaching profession as it is. If we think that education is to pass cultural life pattern to next generation, it is difficult to think that educational culture is identified by only one gender. Because of it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tructural problems, it is not easy to solve the problems with short-term or immediate plan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ong-term plans for competitive incentives system,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have to make efforts to approach socially perceived reality. When considering a fact that there is the plus valence of teaching profession for women and most of the school teachers are female, we should attract and retain better able and excellent female personnel and design personnel administrational policies to help them reduce their job performance difficu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Ⅱ. 유의성의 개념과 유인의 유형 = 6 A. 동기화 이론 = 6 B. 유인과 유의성의 개념정의 = 14 C. 유인의 유형 = 17 Ⅲ. 교직유인의 유형별 구성과 유의성 = 19 A. 경제적 유인 = 20 B. 조직적 유인 = 26 C. 사회관계적 유인 = 32 D. 교직유인의 유의성에 대한 논의 = 36 Ⅳ. 직업선택과 교직의 유의성 = 40 A. 교직선택과 사회적 인식의 영향 = 42 B. 교직문화의 성별적합성에 관한 인식 = 46 C. 교직에 대한 직업기대와 유의성 = 51 Ⅴ. 결론 = 58 A. 요약 = 58 B. 논의 = 61 참고문헌 = 64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145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직유인-
dc.subject유의성-
dc.subject교직여성화현상-
dc.subject관련-
dc.title교직유인의 유의성과 교직여성화현상과의 관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ALENCE OF TEACHING PROFESSION IN RELATION TO INCREASING OF FEMALE TEACHERS-
dc.format.pageix, 7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