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0 Download: 0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God Concept
Authors
이영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하나님 개념이 어떠하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의 하나님 개념, 신앙생활, 양육태도, 유아의 하나님 개념 간의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부모의 하나님 개념, 신앙생활,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어떠하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1.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하나님 개념, 신앙생활, 양육태도, 유아의 하나님 개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1. 부모의 하나님 개념은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2. 부모의 하나님 개념, 신앙생활, 양육태도는 유아의 하나님 개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기독교(개신교) 부속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 14곳에 재원중이며, 부모 중 1인 이상이 기독교인인 만 4, 5세 유아 363명과 그들의 어머니 353명, 아버지 267명이다. 연구 도구로는 유아의 하나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Dickie 등(1997)이 개발한 면접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부모의 하나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도구는 Benson과 Spilka(1973)에 의해 만들어져서 de Roose 등(2001b)에 의해 사용된 Mother’s God Concept Questionnaires(MGCQ)를 수정․보완한 뒤 사용하였다. 부모의 신앙생활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성원(2000), 박성현(2004), Buchko와 Witzig, Jr. (2003), Lee 와 Early(2000), Maselko와 Kubzansky(2005)에 의해 사용된 검사 문항 중 공통적으로 사용된 문항을 추출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이원영(1983)이 번안하여 타당도가 검증된 Sc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배문주(2004)의 양육태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유아의 전반적인 하나님 개념 및 성별과 연령에 따른 하나님 개념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 검증, 부모의 하나님 개념, 신앙생활, 양육태도, 유아의 하나님 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사랑의 하나님’ 개념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엄하신 하나님’ 개념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하나님 개념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아가 남아보다 하나님을 더 가까이 계신 분으로 인식하였고, 만 4세 유아는 만 5세 유아에 비해 하나님을 더 엄격하신 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 간에는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부모 모두 ‘사랑의 하나님’, ‘전능하신 하나님’, ‘엄격하신 하나님’의 점수가 높을수록 신앙생활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멀리 계신 하나님’ 점수가 높을수록 신앙생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부모가 하나님을 사랑의 하나님으로 인식할수록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거부적인 양육태도 점수를 적게 나타내었다. 부모가 하나님을 전능하신 분으로 인식할수록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 점수는 낮게 나타났다. 부모의 하나님 개념, 신앙생활, 양육태도와 유아의 하나님 개념 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어머니가 ‘엄하신 하나님’으로 생각할수록 유아들은 하나님을 엄하시고 멀리 계시는 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가 ‘사랑의 하나님’과 ‘전능하신 하나님’으로 생각할수록 유아들은 하나님을 가까이 계시는 분으로 생각하였으며, 아버지가 하나님을 멀리 계시는 분으로 생각할수록 유아들은 ‘사랑의 하나님’, ‘전능하신 하나님’보다는 ‘멀리 계신 하나님’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신앙생활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들은 하나님을 전능하신 분으로 생각하고 가까이 계시는 분으로 더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하나님 개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의 효과는 신앙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양육태도, 하나님 개념 순이었다. 구체적인 2차 모형을 통해 부모의 하나님 개념과 신앙생활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하나님 개념이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가 하나님을 엄하다고 인식하는 것이 자녀로 하여금 하나님을 멀리 계신 분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가 하나님을 엄하신 분으로 인식하는 것은 유아 역시도 하나님을 엄하신 분으로 인식하게 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하나님 개념은 신앙생활을 통하여 유아가 하나님을 전능하시며 가까이 계시는 분으로 인식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경우는 신앙생활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는 하나님이 덜 엄격하신 분으로 인식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모의 하나님 개념이 부모의 양육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부모의 양육태도를 통하여 유아의 하나님 개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부모의 하나님 개념은 신앙생활을 통하여 유아의 하나님 개념 형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young children’s God concept and differences by their age and gender, and to research correlation among the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God concept. Furthermore it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on their children’s God concept, and how. For such study purpose, specified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below. 1. What is children’s God concept and is it different by gender and age? 1-1. What is children’s God concept? 1-2. Is children’s God concept different by gender? 1-3. Is children’s God concept different by age? 2. How correlated are the parents’ God concept, their religious life, their child-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God concept? 2-1. How correlated is the parents’ God concept with their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2-2. How correlated are the parents’ God concept, their religious life, and their child-rearing attitude with children’s God concept? 3. What is the effects of the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on their children’s God concept? Surveyed were 363 four-to-five-year-old children at 14 Christia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Seoul, at least one of whose two parents are Christian, and their parents 353 mothers and 267 fathers. As a method to measure children’s God concept, the interview method developed by Dickie and others (1997) was used after modification. In order to estimate parents’ conception of God, Mother’s God Concept Questionnaires (MGCQ), first developed by Benson and Spilka (1973) and applied by de Roose and other (2001b), was employed after modification. A questionnaire to measure parents’ religious life was newly organized with reference to other questionnaires by Buchko & Witzig, Jr. (2003), Lee & Early (2000), and Maselko & Kubzansky (2005), S. Kim (2000), S. Park (2004). The questionnaire to estimat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was M. Bae (2004)’s questionnaire of child-nurturing attitude, a modified version of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by Schaefer, which was once adapted verified by W. Lee (198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dependently for each research question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n children’s God concept, ‘loving God’ marked the highest score and ‘strict God’ the lowest. Children’s God concept was partially different by gender and age. Girls felt God closer to them than boys did and four-year-old children considered God stricter than five-year-old children did. Second,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Mothers with higher scores in ‘omnipotent God’, ‘loving God’, and ‘strict God’ had higher scores in ‘religious life’ as well. Fathers having ‘loving God’, ‘omnipotent God’, ‘strict God’ in order of highest scores showed high scores of ‘religious life’. Both mothers and fathers who gave ‘distant God’ more points gained fewer points in ‘religious life’. The child-rearing attitude of parents who regarded God as ‘loving God’ was more loving and independent but less denying. Besides, the child-rearing attitude of parents who considered God omnipotent was more loving and independent by less denying. Parents’ God concept and religious life were correlated with children’s God concept but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did not show correlation to children’s God concept. Children whose mothers considered God ‘strict’ also regarded God as strict and distant. As fathers considered God ‘loving’ and ‘omnipotent’, their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regard God as ‘distant’, and as fathers considered God ‘distant’, their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regard God not as ‘loving’ or ‘omnipotent’ but as ‘distant’. Children, whose both parents showed high scores in religious life,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God ‘omnipotent’ and ‘close’ to them. The child-rearing attitude of parents and children’s God concept did not show meaningful correlation. Third, among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religious life had the most effect on children’s God concept, followed by their child-rearing attitude and God concept respectively. Regarding detailed effects of parents’ God concept, religious life, and child-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God concept, it was revealed that children whose mothers considered God strict felt God being at a distance and children whose fathers considered God strict also considered God strict. The effects of parents’ God concept through their religious life on children’s God concept were greater than those of parents’ God concept by itself or those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When both parents showed higher scores in religious life,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God more omnipotent and closer to them. Children whose fathers had higher scores in religious life tended to regard God as being less strict.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parents’ God concept influenced, through their child-rearing attitude, children’s God concept. On the basis of the result, we can concluded that parents’ God concept has the most effects, through their religious life, on children’s God concep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