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화연-
dc.creator조화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1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9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9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which can help improve imaginative plays being conducted at child education facilities, by employing an ethnographic study to understand the imaginative plays by the 4-year-old children in Bluebird class at Saemmul Kindergarten. For the above goal,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presented. 1. What is the typical imaginative play for the 4-year-old children in Bluebird class at Saemmul Kindergarten like? 2. What are the changes that take place during the process of imaginative plays by the 4-year-old children in Bluebird class at Saemmul Kindergarten? 3. What are the limiting factors which hinder imaginative plays by the 4-year-old children in Bluebird class at Saemmul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hoosing a single class consisting of 4-year-old children, who are currently attending the Bluebird class of Saemmul Kindergarten, located at D district in Seoul. The research subjects consisted of 27 children in the class, plus two teachers in charge. A total of 62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made for collection of data, as well as four formal interviews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either tape-recorded or video-recorded, with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ritten down on the spot, which were then transcribed in field notes and categorized for data collection according to subject matter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ypical imaginative plays by the Bluebird class children featured those play topics intimately related to everyday activities of the children, such as playing mother, puppies, and doctors. Such characteristics reflect the fact that children’s imaginative plays are conducted based on the empirical knowledge from children's everyday life. Since the Bluebird class children acknowledged the role of as a player by having a plaything which symbolized a role being played, once the roles were determined, each child attempted to take possession of a plaything or a tool appropriate for his or her role. This indicates that playthings or tools in a play were important factors symbolizing the roles they were playing. Second, a variety of changes took place during the process of imaginative plays by the Bluebird class children. During the process of an imaginative play, the children continuously attempted to change their roles and play topics, which allowed the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resources and playing space and showed their flexibility in reconstructing plays. Changes in players' roles were intimately related to changes in play topics. Children attempted change, either by adopting various ways of using the playthings and tools offered within their role playing space or by changing the meanings of such playthings and tools. They also created and reconstructed a variety of play environments, by making use of the surrounding playthings and facilities in order to construct a playing space which fit their needs. Third, there were some limiting factors in the imaginative plays by the Bluebird class children. For example, 'name tag attaching' ru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rocess of children’s participation in imaginative plays within the role-playing space. Such 'name tag attaching' rule placed the children in a situation of a conflict between their wish to play and the reality of having to allow only a limited number of players in a play. 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a play the children showed a variety of rule violations, such as 'name tag inserting' or 'name tag detaching.' The imaginative plays by the children were also limited by the 'ordering' rule. The influence of the 'ordering' rule was even greater than that of 'name tag attaching,' so that a child couldn’t participate in a play without the consent of the ‘ordering’ child, even if he or she had a name tag attached. The imaginative play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restriction of the shifting of playthings and playing space.' In order to overcome limited playing space, children would resort to other playthings available in their neighborhood or extend their imagination into other space, the acts of which were pointed out as improper and the children had to experience conflicts. Imaginative plays by children were also influenced by 'the mandatory art activities.' Participation in mandatory art activities often hindered children's imaginative plays in progress, causing some children to either shun the art activities altogether or express resistance. ;본 연구의 목적은 샘물유치원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나타난 상상놀이의 특성을 이해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상상놀이가 확장, 발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샘물유치원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전형적인 상상놀이는 어떠한가? 2. 샘물유치원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무엇인가? 3. 샘물유치원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를 제한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 시내 D구에 위치한 샘물유치원 만 4세 파랑새반 한 학급을 선정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은 이 학급 유아 27명과 담임교사 2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총 62회의 참여관찰을 하였으며, 4회의 형식적인 교사 면담과 비형식적인 면담이 이루어졌다. 관찰 및 면담 자료는 모두 녹음되거나 비디오 촬영으로 기록되었으며, 관찰된 자료와 면담 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고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랑새반의 전형적인 상상놀이는 ‘엄마놀이’, ‘멍멍이놀이’, ‘병원놀이’와 같이 유아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놀이 주제가 자주 나타났다. 특히 파랑새반의 상상놀이에서 ‘엄마놀이’의 출현 빈도는 총 62회의 놀이 관찰 중 46회로 가장 많이 나타나서 대표적인 상상놀이 주제임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엄마놀이’의 우세성은 유아들의 상상놀이가 일상생활의 경험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경험적 지식에 기반 해서 전개된다는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유아들은 엄마놀이에서 가족구성원의 역할을 특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는데 엄마의 전형적인 역할행동은 ‘아기 돌보기’와 ‘음식 만들기’, 그리고 ‘화장하기’와 ‘쇼핑하기’등으로 나타났다. 아빠의 역할행동도 ‘회사 가기’를 제외하고는 엄마의 역할행동과 유사한 ‘아기돌보기’와 ‘설거지하기’가 자주 나타났다. 파랑새반 유아들은 가족구성원을 상징하는 놀이 소품을 가짐으로서 그 놀이 역할을 인정받으며 놀이 행동을 할 수 있다고 이해하고 있었다. 역할을 결정한 후에는 자신의 역할에 적절한 도구를 가지려고 하였으며, 놀이 도구는 역할의 상징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파랑새반의 상상놀이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특징 중의 하나는 놀이가 진행되는 동안 이루어지는 변화의 양상들이다. 유아들은 상상놀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역할의 변화와 놀이 주제의 변화를 시도하며, 제한된 놀잇감과 놀이 공간을 극복하고 재구성하는 융통성을 발휘하였다. 놀이주제의 변화는 놀이자의 역할 변화와 밀접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이루어졌다. 유아들은 진행하고 있는 놀이가 지루해진다고 생각되면 새로운 놀잇감을 출현시키거나 자신의 역할을 다른 역할로 바꾸는 시도를 하였다. 유아들의 아이디어에 의한 놀이 주제나 역할의 변화는 유아들이 자신들의 상상놀이를 유지하고 다양하게 하려는 노력을 반영하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또래간의 상호협력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놀이 역할의 변화와 더불어 유아들은 역할놀이영역에 제시되어 있는 놀잇감과 도구를 다양하게 사용하거나 의미를 변형시키는 변화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유아들의 놀잇감과 놀이 소품의 변형과정은 유아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키며, 창의적인 사고능력을 배양하는 기회가 되었다. 유아들의 상상놀이에는 놀이공간의 재구성이 이루어졌다. 유아들은 역할영역에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놀이공간을 창조하기 위하여 주변의 놀잇감과 시설을 이용해 다양한 놀이 환경을 창조하고 재구성해냈다. 이러한 놀이 행동은 자신들의 놀이공간을 다른 유아들의 놀이와 구분하기 위한 시도로서, 진행되고 있는 놀이를 방해 받지 않으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파랑새반에는 상상놀이를 제한하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놀이에 참여하려면 놀이영역 표지판에 자신의 이름표를 붙여야 하는 인원수 제한 규칙인 ‘이름표 붙이기‘ 는 역할놀이영역에 있는 유아들의 상상놀이 참여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름표 붙이기’ 규칙은 놀이를 원하는 유아들의 놀이 소망과 제한된 인원수만 놀 수 있는 놀이 현실 사이에서 유아들을 갈등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유아들은 ‘이름표 끼우기’와 ‘이름표 떼기’와 같은 다양한 규칙 위반 행동을 보여주었다. 유아들의 상상놀이를 제한하는 두 번째 규칙은 ‘역할 시키기’라는 놀이규칙이었다. ‘역할 시키기’는 놀이영역에 이름표를 ‘먼저’ 붙이거나 시작하려는 놀이공간을 ‘먼저’ 설정한 유아가 친구들의 역할을 배정하는 권한이다. ‘역할 시키기’의 영향력은 ‘이름표 붙이기’ 보다 커서 유아들은 이름표를 붙였어도 시키는 친구의 동의가 없으면 함께 놀이할 수가 없었다. 유아들은 친구와 상상놀이를 함께 하기 위해 놀이를 시키는 친구가 쉽게 수용할 수 있을 만한 주변적인 놀이 역할을 제안하며 친구들의 상상놀이에 함께 참여하는 지혜를 발휘하기도 하였다. 유아들의 상상놀이는 ‘놀잇감 및 놀이 공간의 이동을 제한’ 하는 규칙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유아들은 제한된 놀이공간을 극복하고 자신들에 의해 창안된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인접 놀이영역의 놀잇감을 변형하거나 다른 놀이공간으로 놀이 상황을 확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유아들의 행동은 교실에서 행해야 하는 적절한 놀이행동으로 인정받지 못하였으며, 유아들은 이러한 상황에서 갈등을 경험하고 이를 극복하고 조절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유아들의 상상놀이는 주 2회 자유놀이시간에 이루어지는 ‘의무적인 미술활동’ 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상상놀이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들의 전후 상황이 고려되지 않은 채 의무적으로 미술활동을 참여하게 하는 경우 유아들의 상상놀이는 놀이의 재미를 잃거나 중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이런 과정은 유아들로 하여금 미술활동에 대한 거부감을 갖게 하였으며, 자신들의 상상놀이를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미술활동 참여를 회피하거나 ‘자리 맡기 등의 규칙 위반 행동을 낳기도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6 C. 연구자 6 Ⅱ. 이론적 배경 11 A. 상상놀이의 개념 11 B. 상상놀이 이론 13 1. 정신분석이론 13 2. 인지이론 14 3. 의사소통이론 15 4. 각본이론 17 C. 상상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17 1. 유아 18 2. 교사 19 3. 놀잇감 20 4. 놀이공간 23 Ⅲ. 연구방법 25 A. 문화기술적 연구방법 25 B. 연구대상 26 1. 연구기관 26 2. 대상학급 28 3. 교사 31 4. 유아 32 C. 연구절차 33 1. 연구기간 33 2. 자료수집 36 3. 자료처리 및 분석 40 Ⅳ. 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전형적인 상상놀이 43 A. 엄마놀이 43 B. 멍멍이놀이 53 C. 병원놀이 60 Ⅴ. 상상놀이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 66 A. 놀이 주제 및 놀이자 역할의 변화 66 B. 놀잇감 및 놀이 도구의 용도 변경 74 C. 놀이 공간의 변형 77 Ⅵ. 상상놀이를 제한하는 요인 85 A. 인원수 제한: 이름표 붙이기 85 B. 역할 시키기 96 C. 놀잇감 및 놀이 공간 이동 제한 104 D. 의무적인 미술활동 108 Ⅶ. 논의 및 결론 114 A. 요약 및 논의 114 B. 결론 및 제언 123 참고문헌 125 부록 135 ABSTRACT 13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705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 4세 파랑새반 유아들의 상상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Ethnographic Study on Imaginative Play of 4-year-old Children in Bluebird Class at Saemmul Kindergarten-
dc.creator.othernameCho, Wha Yeon-
dc.format.pagevi,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