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8 Download: 0

유아의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 개념과 사회적 상호작용

Title
유아의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 개념과 사회적 상호작용
Other Titles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s, and Their Social Interactions
Authors
부성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학급과 가정에서 유아의 사회적(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유아학급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과 가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초사회화를 규명해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유아학급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과 사회적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1.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 대한 유아의 개념은 어떠한가? 2.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Ⅱ. 가정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과 어머니의 반응인식은 어떠한가? 1.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 대한 유아와 어머니의 개념은 어떠한가? 2.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서의 유아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 78명과 담임교사 및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학급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 가정에서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기 위하여 Nucci와 Weber(1995), Yau와 Smetana(2003)의 도구를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아학급에서 교사와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Killen과 Smetana(1999)의 도구를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가정에서 어머니의 반응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Nucci와 Weber(1995)의 반응 범주 도구를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유아와 어머니에게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 어머니의 반응인식을 알아보았고, 유아학급에서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은 학급에서의 관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학급에서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유아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유아들은 사회-관습적 상황을 도덕적 상황만큼 나쁜 것으로 개념화하여 도덕적, 사회-관습적 상황을 구분하지 않았지만, 개인적 상황은 뚜렷이 구분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은 도덕적 상황을 판단할 때 타인에 대한 영향과 권위를 고려하였고, 사회-관습적 상황을 판단할 때 권위, 사회 관습이나 사회 조직적 규범을 고려하였으며 개인적 상황을 판단할 때는 개인적 선호를 고려하였다. 또한 결정의 권한을 대부분 유아 자신에게 부여하였고, 개인적 상황에 있어서는 특히 자신을 결정지위자로 판단한 유아들이 많았다.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인식에 있어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유아의 나이가 어릴수록 상황에 대한 개념적 구분이 미흡하였고, 나이 많은 유아에 비해 교사 권위에 더 의존하였다. 둘째, 유아학급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상황의 발생빈도, 사회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와 교사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상황의 발생 빈도를 살펴본 결과,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도덕적 상황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였고, 대집단활동 시간에는 사회-관습적 상황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간식과 점심시간에는 개인적 상황이 많이 발생하였다. 유아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도덕적 상황에서는 피해자에게 가해지는 본질적 결과(상처, 부당함)에 초점을 둔 ‘신체적 보복’, ‘명령’의 반응을 많이 하였고, 사회-관습적 상황에서는 학급의 사회적 질서 측면에 초점을 둔 ‘명령’, ‘성인 개입 요구’, ‘규칙 언급’의 반응을 많이 하였으며, 개인적 상황에서는 적극적으로 ‘선택 주장’의 반응을 많이 하였다. 그리고 연령에 따른 유아의 반응에 차이가 나타나, 어린 유아일수록 교사의 권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고, 나이가 많아질수록 도덕적, 사회-관습적 위반에 대해 직접적인 반응(신체적 보복, 명령)을, 개인적 상황에 대해 선택 거절의 반응을 많이 하였다. 교사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도덕적, 사회-관습적 상황 모두에서 ‘명령’의 반응을 가장 많이 하였고, ‘타인감정고려’, ‘규칙언급’, ‘벌을 주겠다는 언급’, ‘합리적 설명’ 등의 반응도 많이 하였다. 반면 개인적 상황에서는 개인적 ‘선택을 지지’하는 반응을 가장 많이 하였고, 그 다음으로 유아의 ‘선택 거절’, ‘명령’의 반응을 하였다. 그리고 교사 역시 유아의 연령을 고려하여 반응하였는데, 어린 유아에게는 도덕적, 사회-관습적 상황의 본질을 이해시키기 위한 타인감정고려언급, 규칙언급을 많이 하였고, 나이 많은 유아에게는 명령을 많이 하였다. 개인적 상황에서는 어린 유아의 선택 주장을 더 지지해 주었고, 나이 많은 유아의 선택을 더 거절하였다. 셋째, 가정에서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유아와 어머니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유아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개념적 판단은 전반적으로 유아학급과 유사하였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가정과 유아학급이라는 사회적 맥락에 따른 차이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이 전반적으로는 유아학급과 가정이라는 맥락에 구애됨 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지만, 유아들이 사회적인 추론을 할 때 상당히 구체적인 내용에 근거하여 유아학급과 가정의 차이를 구분해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아의 초사회화가 매우 발전된 형태임을 보여주었다. 사회적 규제를 받는 영역(도덕, 사회-관습)에서는 유아학급이 가정보다 제한적이고 엄격하다는 것을 이해하였고, 학급의 교사 권위에 더 의존적이었다. 반면, 개인적 영역에서는 형식적인 학급의 교사 보다 훨씬 친밀한 관계이지만 직접적이고 강력한 방식으로 유아행동을 통제하는 부모 권위에 더 의존적이었고, 가정 보다 단체 생활을 하는 유아학급에서 개인적 선택 문제를 일종의 학급규칙처럼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어머니의 개념을 살펴본 결과, 허용성, 권위독립성, 일반성 준거에서 사회-관습적 상황을 도덕적 상황만큼 나쁜 것이라 판단하여 두 가지 상황을 구분하지 않았지만, 개인적 상황은 뚜렷이 구분하였다. 반면, 심각성, 개인 선택 수용 준거에서는 도덕 위반 보다 심각하지 않은 사회-관습적 위반에 대해 더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나, 세 가지 상황 간에 뚜렷한 구분이 이루어졌다. 어머니들은 도덕적 상황을 판단할 때 타인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만 유아 자신의 감정과 욕구 조절에 대한 바람을 나타내었고, 사회-관습적 상황을 판단할 때 사회 관습이나 사회 조직적 규범을 고려하지만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에 대한 기대를 하고 있으며, 개인적 상황을 판단할 때는 유아의 개인적 선호와 혼합을 고려하지만 유아의 자율성 발달 측면을 기대하고 있었다. 그리고 결정권 부여에 있어서 도덕적, 사회-관습적 상황에서는 부모가 어느 정도 개입하여 도움을 주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개인적 상황에서는 전적으로 유아에게 결정권을 부여하였다. 넷째, 가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상황에서 자녀의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인식을 살펴보았다. 어머니들은 도덕적 상황에 대해 타인의 권리나 행복을 침해하는 본질적 결과에 초점을 두고 합리적인 설명과 설득, 해로움에 대한 평가와 같은 간접적 반응을 한다고 인식하였으나, 사회-관습적 상황에 대해서는 규칙과 예의에 대한 언급, 명령/협박/체벌과 같은 단호하고 직접적인 반응을 한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개인적 상황에 대해서는 위험하거나 유아의 건강에 해로움을 주지 않는 상황이라는 조건 하에서 유아의 선택 주장을 지지하였다. 어머니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반응 인식에 있어 자녀의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는데,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위반 행위의 옳고 그름을 알려주기 위한 설명과 평가를 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고, 나이가 많을수록 위반 행위에 더 부정적으로 반응하였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ain children's metasocialization both by apprehending preschool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 and by analyzi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with their teachers in a classroom and with their mothers in the hom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were as follows: Ⅰ. What are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s, and in what forms do the social interactions in a classroom context occur? 1. What are the children's conceptions of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s? 2. In what forms do the social interactions in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s occur? Ⅱ. What are the mothers' and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s in the home, and how are the mothers' responses? 1. What are the mothers' and children's conceptions of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s? 2. How are the mothers' responses to the children's behaviors in moral, social-conventional and personal situation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bservations and interviews of 78 three-, four, and five-year-olds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of the Gwangjin-gu, Seoul, Korea. This study used two different methodologies, one was observation method, the other was interview. On the one h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a classroom were analyzed through observations by using a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Killen and Smetana's tool(1999). On the other hand, interviews with mothers and children were made in two different purposes. For the one purpose of analyzing children's conceptions in a classroom context, and mothers' and children's conceptions in the home, this study deployed a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Nucci and Weber(1995) and Yau and Smetana(2003), while for the other purpose of analyzing mothers' responses to children's behaviors, a translated and modified version of Nucci and Weber's response category(1995)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can be suggested from the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s that children conceptualize social-conventional situation as bad as moral one, that is, they do not distinguish one from the other, but clearly distinguish both of situations from personal one. In addition, children take into account the others' influences and authorities when making judgements of moral situation, social custom and organizational norms when making judgements of social-conventional situation and personal preferences when making judgements of personal situation. Furthermore, decision locus is granted to themselves, and in particular, many children conceive themselves as decision-makers. Age difference has been found in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s: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likely the children can make a clear distinction among conceptions of the three social situations.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social situations, moral situations are relatively more frequent in activity time, while more frequent social-conventional situations in circle time and personal situations occurred in break and lunch time respectively. With regards to children's responses, they make frequent responses of 'Retaliatory Act' and 'Command' focussed on Intrinsic Consequences(injury or unfair) in moral situation, while responses of 'Command', 'Involve Adults' and 'Rule Statement' focussed on social order in social-conventional situation and they actively made frequent responses of 'Choice Assertion' in personal situation. In addition, age difference has been found here in children's responses again: the older they are, the more likely the children make direct responses(Retaliatory Act and Command) in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situations, and Rejects in personal situation. The analysis of teachers' responses shows, on the one hand, that they make most frequent responses of 'Command' in both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situations, and also make frequent responses of 'Perspective-taking Request', 'Rule Statement', 'Sanction', 'Providing Rationale' in the same situations.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also reveals that teachers most frequently make responses of 'Supporting Child's Choice' and then make responses of 'Negating Child's Choice', 'Command' in personal situation. They also consider the ages of the children when making responses: they make more frequent responses of 'Perspective-taking Request', ‘Rule Statement' to the younger children, while more frequent responses of Command to the older children. In personal situation, they more frequently support younger children's Choice Assertion, and reject older children's. Thirdly, this study examined mothers' and children'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s in the home. Although children's conceptions are stable and generally similar to the aforementioned ones in a classroom context, a more detailed analysis revealed that children recognize the difference between a classroom and the home from the information of very concrete contents when they conceptualize three social situations. This means that children's metasocialization is in a very developed form. In socially-controlled domain(the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children recognize that a classroom is more restricted and rigid than the home, and they depend more on teachers' authorities. In contrast, in personal domain, they depend more on parents' authorities, which are more intimate but control children's behaviors more strongly and directly than teachers, and they are more likely to regard personal choice as a kind of school norm in a classroom, a place for group activities than in the home. In regard of mothers' conceptions, while they do not distinguish moral and social-conventional situations each other in the criteria of Permissibility, Authority Independence, Generalizability to the effect that they judge both of the situations to be bad, but they clearly distinguish personal situations from the former two situations. In contrast, it is revealed that they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in the criteria of Severity, Acceptance of Personal Choice, since they accept more positively social-conventional violations more than moral ones. Fourth and finally, this study analyzed mothers' responses to children's behaviors in social situation occurred in the home. Mothers think that they make indirect responses of Providing Rationale, Persuasion and Harm/Fairness Evaluation to children's behaviors in moral situation, in focusing on Intrinsic Consequences like violation of the others' rights and happiness. However, they think that they make resolute and direct responses of Rule and Manners Statement, Command/Threat/Punishment in social-conventional situations. And mothers support their children's Choice Assertion in personal situation unless the situation is dangerous or detrimental to children's health. There is an age difference in mothers' conceptions of social situations: the younger their children are, the more likely the mothers tend to explain to them that violating behaviors are not right. Additionally, mothers are more likely to make negative responses to older children's viol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