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Title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in-service teachers
Authors
장은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이 유아음악교육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 및 유아음악교육 실시 현황을 파악하고 그들의 요구에 기초하여,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을 구성한 후, 적용ㆍ평가ㆍ수정ㆍ보완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 구성에 대한 교사와 전문가의 의견은 어떠한가? 1-1. 유아음악교육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1-2.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 구성에 대한 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1-3.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 구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어떠한가? 2.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의 구성, 시행ㆍ평가 및 수정.보완은 어떠한가? 2-1.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2-2.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의 시행ㆍ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2-3.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의 수정ㆍ보완 내용은 무엇인가? 3. 개발된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어떠한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의 개발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근거로 유아음악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유아음악교육 실시 현황 및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노원구와 도봉구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들 중 만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217명이 대상이며, 이들은 만 3세 이상 유아를 맡은 담임교사들이었다. 둘째, 문헌고찰과 현황 분석 및 요구도 분석, 그리고 전문가 자문 및 협의회 실시 결과에 기초하여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방법, 운영방법을 선정ㆍ조직하여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을 구성하였다. 셋째, 구성된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노원구 및 도봉구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현직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만 2년 이상의 경력자로 만 3ㆍ4ㆍ5세 학급 담임이었으며, 2006년 8월 14일부터 31일까지 6회에 걸친 현직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안)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음악적 개념 습득’, ‘효율적 음악 교수법증진’, ‘실제 활동 속에서 음악적 개념과 교수방법 통합ㆍ적용’ 등을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여 교육전과 교육후 점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사전ㆍ사후 점수에 대해 두 종속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회 교육 후에는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을 평가하였으며, 프로그램 마지막 회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최종 평가를 실시하였다. 과정 평가 및 최종 평가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내용을 범주화한 후 빈도처리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를 근거로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여 최종적으로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의 목표는 ‘첫째, 유아교사는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철학과 신념을 세움으로써 전문인의 태도를 갖는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음악교육을 위한 음악적 개념을 습득한다.’, ‘셋째, 유아교사는 활동 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유아음악교육 교수법을 증진한다.’, ‘넷째, 유아교사는 유아음악교육의 실제에서 통합ㆍ적용하는 능력을 기른다.’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오리엔테이션과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과 방향 및 교사의 태도, 노래 부르기 교수방법 및 음악적 개념과의 통합, 악기 연주하기 교수방법 및 음악적 개념과의 통합, 듣기ㆍ감상하기 및 몸으로 표현하기 교수방법 및 음악적 개념과의 통합, 음악 만들기 교수방법 및 음악적 개념과의 통합, 유아음악교육 실제에서 음악적 개념과 교수방법 통합ㆍ적용하기 등이다.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으로 강의, 토의, 사례발표, 시청각 교육, 워크숍, 모의수업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프로그램의 교육자는 유아교육 전공자로서 음악적 전문 지식을 가지고 다양한 음악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을 가진 교수이며, 교육 대상자는 만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현직 유아교사로서 만 3ㆍ4ㆍ5세 담임 교사이다. 교육시간은 총 19시간으로 구성하되, 총 교육시간과 1일 교육시간 및 교육기간 등은 참여자들의 요구에 따라 융통성 있게 운영한다. 교육장소는 지역의 보육정보센터 혹은 대학부속 유아교육기관으로 선정하되 교육의 효율적인 진행과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교수방법에 따른 공간의 재배치가 가능하며, 시청각 교육을 위한 기자재 설치가 용이하여 모의수업 진행이 가능한 교육 환경의 준비가 요구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in-service teachers. The model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while a survey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orking status was developed after the construction of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and the application, evaluation,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at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objectives, are shown below. 1. How about the view of experts and teachers to the compo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plan for in-service teachers? 1-1. How about the current working statu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1-2. How about the needs of teachers for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or in-service teachers? 1-3. How about the view of experts to the compo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plan for in-service teachers? 2. How about the composition,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plan for in-service teachers? 2-1. How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plan for in-service teachers? 2-2. How about the results of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plan for in-service teachers? 2-3. How about the contents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plan for in-service teachers? 3. How about the developed model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The developing procedures and result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in-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review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was carried out and served as the basis for the composition of such a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orking status and the needs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were analyz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17 teachers in charge of students aged three and above and with more than 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ll subjects were working at Nowon-gu and Dobong-gu in Seoul. Second,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after the selection and construction of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administ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s review, current status analysis, needs assessment, expert consultation, and the results of the committee operation. Third, in order to test the suitability of a constructed program, in-service education was carried out for 20 teachers whose childcare centers were located at Nowon-gu and Dobong-gu in Seoul. These teachers were in charge of classes with 3, 4, and 5-year-old students. Each teacher had more than 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articipated in the in-service education program 6 times between August 14th and 31st, 2006. Several methods of evaluation were enforced for testing the suit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Measurements of before-education and after-education factors were taken using categories such as ‘Teacher attitude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tainment of musical concepts’, ‘Improvement of effective musical teaching method’, ‘Musical concepts in activity and integration/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 Forthe purpose of investigating changes in teacher attitudes, the matched pair t-test was performed for all measurements using the SPSS(for Windows)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program created positive effects for in-service teachers of young children. The training procedure evaluation was performed after each training program, with a final evaluation carried out at the end of final round. The data collected in at each evaluation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for frequency.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model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was then developed through the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in-service teachers. The objectives of the develop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in-service teacher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young children shall have a professional attitude in establishing the philosophy and convic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eco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shall learn the musical concept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ird, teachers of young children shall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activity style. Four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shall build up their integration/application capability through practice. The program contents included orientation, importance and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titude of teacher and integration of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moving and listening/appreciation with musical concepts in practical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Lectures, discussion, presentation of examples, audio-visuals, workshops, and demonstration were all used in the program’s teach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conducting this program. The program trainer should be a professor specializ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a professional musical background, and experienced in participating in various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the trainees should be in-service teachers in charge of 3, 4, and 5-year-old students and with more that 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total training time, training time of each day, and the training term should be flexib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rainees although this study’s total time of training was 19 hours. The training place could be a regional daycare information center or the attached daycare center of a university. For effective progression and maximizing effects, it is possible to rearrange the training space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Also,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audio-visual education equipment and prepar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demonstration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