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30대 기혼 여성의 팬덤과 나이의 문화정치학

Title
30대 기혼 여성의 팬덤과 나이의 문화정치학
Other Titles
Fandom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Cultural Politics of Age: Focusing on 'DongBangShinGi' Fandom
Authors
오자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rises from a problematizing of the negative discourses on the fandom of women in their 30s or older in spite of the phenomena of the 'older woman younger man couples' and the 'older sister syndrome,' increasingly prevalent in recent years. By examining the specific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in their fandom of a Korean idol singing group 'DongBangShinGi,' I attempted a feminist interpretation of women's cultural practice. Through this, I wanted to reveal the randomness of the gender role and normativity of 'age-appropriateness' attributed to women in their thirties and to show that their deviant practice of fandom is in fact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and the domain of popular culture constructed male-centrically.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order to closely examine the diverse desires of women fans in their 30s and their everyday time and space constantly changing through fan activities. I also carried out participant observations of fan commun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fans in their 30s have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 generation which has accumulated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pop cultural proliferation. Within this historicity of cultural experience, they are continuing to put their interest in pop culture, gaining more access through a variety of multi-media and online activities, enlarging their basis of cultural practice. Women in their 30s or older, gathering power through fan communities, are giving positive meanings to their experiences as fans and are no longer unfamiliar faces in the pop idol fandom previously dominated by teenagers. The consolation that there are countless other fans in their 30s just like them and the confidence derived from that have been influential in this change of scenery. Second, the married women fans in their 30s of 'DongBangShinGi' find themselves in a process of contending with the negative and downgrading views of society for doting on stars 'half their age,' a point at which the anarchical time of women who are situated as private beings and the standardized time of society come to a clash. The age-appropriateness placed upon women in their 30s is intricately connected with the gender role expected of them, and they continue their fan activities in persistent tension with their role as wife and mother. On the other hand, they try to obtain independent cultural time and space by employing various strategies and negotiating skill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husbands, families and fellow workers. The reason why married women fans in their 30s keep on with their fan activities despite numerous restrictions is because the process of enthusing over stars temporarily takes them out of the everyday reality of patriarchy and the weariness of carrying out their gender role. Through their fan experiences, they are able to go beyond an identity as wife or mother, expressing their desires and getting a taste of a new self. Third, the desires of the women in their 30s toward 'DongBangShinGi' are diversely constructed. Being an idol group with outstanding visual elements as well as singing abilities, 'DongBangShinGi' lends plenty of spatial as well as sensual pleasures. The women sometimes feel sexual emotions toward them, but the wide age difference makes it difficult to directly express that kind of emotion, since it is against the 'moral' sexual norm. Also, since married women's emotions are supposed to operate within the space of marriage, they tend to signify their own emotions in a safer term, 'maternity.'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identity of 'supporter' makes its entrance. The women fans in their 30s actively pursue their role as supporter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fans, deriving a satisfaction out of helping the young stars to grow further. As a public experience taking place in the network of fans, being supporters also provides the women fans with a sense of achievement. Fourth, married women in their 30s go through many changes in the domains of both everyday life and culture by practicing fandom. What the fans commonly mentioned as having changed through their fan activities was that they had found a new energy in their repetitive and tired lives. As they discover the passion and vital emotions that they thought had withered away, they regain a positive view on life and sometimes come to terms with aging by way of 'living young at heart.' In the midst of their daily lives filled with childcare and housework, married women fans still try to obtain an independent cultural space and manage to make contact with a new public sphere, stepping out of feelings of increasing isolation from social relationships since getting married. Still under conditions of having to stay within the private sphere, these married women experience a virtual network through fan communities and create a communicative link with the world through an exit of their own not intervened in by their children or husbands. In addition, the women fans in their 30s are becoming new members of the cyber space as well as acquiring resources within the realm of fandom through various computer skills. They are also crossing the nation-state boundaries, as stardom does not remain within Korea but is increasingly globalized. Learning Japanese and coming in direct and indirect contact with Japanese fans, these women experience an expansion in their individual relations and their sphere of interests. With such experience comes an awareness of the Japanese social context in which the age range of the fans is much wider, encompassing the middle aged and this serves as a momentum for gaining a discerning eye for the Korean cultural climate deeply rooted in ageism. Emerging as a new consumer group and cultural subjects in the teen-centric realm of fandom and the popular cultural scene, the married women fans in their 30s are newly constructing the domain of culture. This study has interpreted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arena of fandom where the lines of distinction by age are becoming increasingly blurred, through the specific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in their 30s otherized in cultural research in the past. It has also revealed the desires and diverse fan activity patterns of women in play in concrete fandom texts, bringing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ir 30s or older to light and situating them as new cultural subjects. In the domain of culture where teenagers have been the majority, the meaning of 'youth' has been constructed in the way of privileging numerically 'young' age in an oppositional relationship with older gener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has actively problematized this and addressed the possible meanings lying the cultural practice of women in their 30s or older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t has been the final aim of this study to undermine the cultural norm whereby cultural values are hierarchized by gender and age, and women's age-appropriateness and youth are considered as intrinsically determined by numerical age.;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연상 팬덤’ 및 ‘누나 신드롬’ 현상에도 불구하고 중장년층의 팬덤이 부정적으로 언설화 되는데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나이의 문제를 더욱 크게 경험하는 대표적인 한국 아이돌 그룹 <동방신기> 팬덤 내 30대 기혼 여성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장년층 여성들의 문화실천을 여성주의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30대 여성들에게 주어지는 성 역할과 ‘나이다움’에 대한 규범의 임의성을 드러내고, 여기서 미끄러져 있는 중장년층 여성들의 팬덤 실천이 남성 중심적으로 구성된 공사 영역의 경계와 대중문화의 장을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팬덤 내에 작용하는 30대 여성 팬들의 다양한 욕망과 팬 활동에 의해 변화되고 있는 일상적인 시공간을 면밀하게 살펴보기 위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고, 팬 커뮤니티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관찰을 병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30대 여성들은 1990년대 이후 대중문화가 확산되었던 문화적 맥락에서 다양한 문화경험을 축적한 세대라는 특징을 지닌다. 이들은 문화 경험의 역사성 속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을 이어가고 있으며,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통해 온라인 팬덤으로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게 되면서 문화실천의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30대 팬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세력화된 중장년층 여성들은 팬 경험을 긍정적으로 의미화하며 10대가 대부분이었던 아이돌 가수 팬덤에서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존재로 등장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자신과 비슷한 입장에 놓인 수많은 30대 팬들이 있다는 데 대한 위안과 자신감이 작동한다. 둘째, <동방신기>의 30대 기혼 여성 팬들은 ‘한참 어린’ 스타를 좋아한다는 사회의 부정적이고 폄하적인 시선과 경합하는 과정에 놓이는데, 이는 사적 존재로 위치 지어진 여성들의 무정부적인 시간과 사회의 표준화된 시간 질서가 충돌하는 지점이다. 30대 여성에게 주어진 나이다움은 이들이 수행해야 하는 성 역할과 긴밀한 연관을 갖는데, 이들은 아내, 어머니 역할과 긴장감을 빚으며 팬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또한 남편, 가족, 직장 동료들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전략을 취하고 협상함으로써 독립적인 문화 시공간을 확보해나가려고 한다. 30대 기혼 여성 팬들이 여러 가지 제약 속에서도 팬 활동을 이어가는 이유는, 스타를 보면서 좋아하고 즐거움을 얻는 과정이 가부장적인 일상과 성 역할 수행의 고단함을 잠시나마 벗어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들은 팬 경험을 통해 사적인 관계를 통한 아내나 어머니의 정체성에만 머물지 않으며, 자신의 욕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새로운 자아를 경험한다. 셋째, 30대 여성이 <동방신기>에게 갖고 있는 욕망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뛰어난 비주얼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가창력을 갖춘 아이돌 그룹이라는 점은 <동방신기>에게 열광하며 공감각적인 즐거움을 체험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들은 <동방신기>에게 성적인 감정을 느끼기도 하는데, 상당한 나이 차이는 이러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기 어렵게 하거나 ‘도덕적인’ 성적 규범에 어긋나는 것으로 만든다. 뿐만 아니라 기혼 여성들의 감정은 결혼이란 공간 안에서 작동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은 스스로의 감정을 ‘모성’이란 안전한 방식으로 의미화하기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확대된 것이 서포터라는 정체성이다. 30대 여성 팬들은 팬인 동시에 서포터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해나가면서, 성장하는 과정에 있는 스타에게 힘을 실어주는 동시에 대리만족을 얻는다. 또한 팬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지는 스타에 대한 서포트는 하나의 공적체험으로서 팬들에게 성취감을 부여해준다. 넷째, 30대 기혼 여성들은 팬덤을 실천하면서, 일상 및 문화의 장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는다. 팬들이 팬 활동을 통해 변화된 지점이라고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반복적이고 지친 일상에서 삶의 활력을 찾게 되었다는 것이다. 나이가 들어가며 점차 시들어간다고 생각했던 열정과 충만한 감정을 재발견하면서, 긍정적인 삶의 욕구를 획득하고 ‘마음으로 젊게 살기’를 통해 나이듦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기혼 여성 팬들은 육아와 가사노동을 수행해야 하는 일상 속에서도 독립적인 문화 공간을 확보하고자 노력하며, 결혼 이후 사회적 관계로부터 점차 단절되어 가는 고립감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적 영역과 접속하는 경험을 한다. 여전히 사적 영역에 머물 수밖에 없는 조건에 놓인 기혼 여성들도 팬 커뮤니티를 통해 가상적인 팬 네트워크를 체험하며 자녀와 남편이 개입되지 않는 자신만의 출구를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끈을 마련한다. 이외에도 30대 팬들은 사이버 공간의 새로운 구성원이 되고 있는 동시에, 여러 가지 컴퓨터 프로그램 능력을 통해 팬덤 내에서 자원을 획득하고 있다. 또한 한국 내에서만 정주하지 않는 글로벌화 된 스타덤을 따라 국민국가의 경계를 이동하기도 한다. 일어를 배우고, 일본 팬들과 직간접적으로 부딪치는 경험을 통해 개인적 관계 및 관심의 영역이 확장되는 체험을 하는 것이다. 특히, 일본의 팬 연령대가 중장년층까지 폭넓게 확대되어 있는 사회적 맥락을 인지하면서, 나이주의와 나이에 대한 규범이 뿌리깊이 내재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 규범을 상대화시켜 바라보는 계기를 얻는다. 또한 이들은 10대 위주로 구성되어 있는 팬덤 및 대중문화의 장에서 새로운 소비층이자 문화 주체로 등장함으로써, 문화의 장을 새롭게 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문화 연구에서 타자화 되어왔던 30대 기혼 여성들의 구체적인 경험과 삶의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연령에 의한 구별 짓기가 점차 흐려지고 있는 팬덤의 장을 나이의 문화 정치학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팬덤 텍스트에 작용하는 여성들의 욕망 및 다양한 팬 활동 양상을 드러냄으로써, 대중문화의 장뿐만 아니라 기존 문화 연구에서 조명되지 않았던 30대 이상의 여성들의 경험에 주목하고 이들을 새로운 문화 주체로 위치시켰다. 주로 10대나 젊은이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던 문화의 장에서 ‘젊음’의 의미는 성별화 된 공사분리를 기반으로, 기성세대와의 대립적인 관계 속에서 수치적으로 ‘어린’ 나이를 특권화하며 구성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를 적극적으로 문제화하고, 중장년층의 여성들의 문화 실천이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젠더와 나이 기준으로 위계화 되어 있는 문화적 가치, 여성의 ‘나이다움’이나 ‘젊음’이 수치적인 나이와 연결되어 본질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문화규범을 교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