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한국사회의 병역거부 운동을 통해 본 남성성 연구

Title
한국사회의 병역거부 운동을 통해 본 남성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asculinity through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n Korea
Authors
강인화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남성징병제도가 유지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2000년도 이후 등장한 병역거부 운동이 가지는 성별적 함의와 한계를 탐구하려는 시도이다. 징병제도는 남성-보호자, 여성-피보호자라는 성별화된 구분을 강화하고, 국민들 간의 위계를 통해 병역의무를 수행한 남성들의 국민대표성을 만들어낸다. 병역거부자들의 공개적인 등장은 남성이라면 누구든 군인이 되어야 한다는 전제에 도전하며 군사력에 기초한 국가안보의 당위성에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병역거부 운동은 성별화된 국민 역할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내포함과 동시에 병역의무를 기준으로 위계화되는 국민정체성에 균열을 내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러한 병역거부 운동은 강한 안보논리와 국가주의, 병역의무의 평등한 분담을 요구하는 남성연대 하에서 사회적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본 연구는 강한 사회적 반대에 직면하고 있는 병역거부 운동이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하는 운동논리에 주목하여 사회적 낙인에 저항하는 과정에 개입된 남성성과 운동논리의 성별정치학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병역의무에 기초한 남성다움의 내용이 무엇인지, 탈(脫)군사화와 평화를 목적하는 병역거부 운동이 남성중심의 국민정체성을 해체하고 있는지, 병역의무에서 배제된 ‘비국민’들의 성원권 문제와 어떤 연관을 가지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정치적’ 병역거부자 및 병역거부 운동 활동가를 주요 연구대상자로 하여 심층 면접하였으며, 여호와의 증인 병역거부자, ‘병역기피자’를 만나 심층 면접하였다. 그리고 병역거부 운동과 관련된 문헌연구와 담론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민주화는 병역의무의 평등화에 대한 요구 증진과 함께 양심적 병역거부자의 존재가 가시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사회 민주화의 확장과 새로운 평화운동이 등장하면서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졌고, ‘정치적’ 병역거부 운동이 출현하게 되었다. 21세기에도 지속되는 제국주의 전쟁을 목격하면서 등장한 ‘정치적’ 병역거부 운동은 병역거부권과 대체복무제도를 주장하면서 군복무 이행의지를 둘러싼 남성들 간의 차이를 드러내었다. 이러한 차이는 남성 군인되기의 당위성에 질문을 던지며 군사화된 남성성에 대한 저항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둘째. 병역거부 운동은 출발과정부터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①‘적’의 위협에 맞서 무력을 통해 ‘국가를 지키는’ 남성/국민 역할을 강조하는 성별화된 국가안보 논리 ②국가에 대한 의무가 최우선이라는 강한 국가주의 ③남성이라면 똑같이 군복무를 부담해야 한다는 병역의무의 형평성을 둘러싼 남성연대가 바로 병역거부 운동에 대한 반대논리의 배경이다. 이에 따라 병역거부자들은 국가안보에 동참하지 않는 이기적인 ‘비애국자’라는 낙인을 받는 동시에 군인됨과 남성됨의 연관 속에서 만들어지는 정상성에서 밀려나 희화화되기도 한다. 병역거부에 대한 사회적 반대담론은 병역거부자들이 감옥에 가야 하는 현실에 남성들의 군복무 경험을 견주면서 한국사회의 병역의무를 국가와 가족을 지키는, 목숨을 담보한 ‘희생’으로 의미화하고 있다. 셋째. 병역거부 운동이 병역거부권 획득과 대체복무제도 도입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운동논리를 협상하는 과정에서 공식적 운동논리와 비공식적 운동논리가 조직되고 있다. 병역거부 이유에 대한 진정성이 의심받는 상황에서 병역기피로 낙인받을 만한 병역거부의 이유들은 ‘개인적’인 것으로 치부되어 삭제되기도 하며, 병역거부자들은 강한 도덕성과 신념의 소유자임을 입증하거나 국가에 대한 ‘다른’ 의무를 강조하기도 한다. 하지만 정당성 획득을 위한 과정에서 평화의 의미가 축소되고 성별화된 국가안보 논리를 인정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강한 신념과 국가에 대한 의무의 소유자로 남성주체를 재현해내면서 기존 남성성에 대한 저항의 의미가 탈색되고 있다고 보여진다. 넷째. 병역거부 운동은 병역의무 이행여부와 이행의지를 둘러싼 남성들 간의 차이를 강조하기보다는 군복무자 남성과의 연대감을 통해 남성중심적인 국민정체성을 인정하게 되는 한계를 보인다. 남성-보호자와 여성-피보호자라는 성별화된 질서에 기초한 병역의무를 ‘희생’으로 의미화하게 되는 과정에서 성별질서를 인정하고 재확인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병역거부 운동이 주장하는 대체복무제도는 병역의무를 ‘대체’하는 국민의 의무로 의미화되는 현실적 조건 속에 놓여있다. 국가에 기여할 자격과 기여정도에 대한 평가기준이 성별화되어 있는 현실에서 병역거부 운동이 주장하는 대안정책은 병역의무에서 배제된 ‘비국민’들의 성원권 문제와 연결되지 못하는, 국가에 ‘희생’할 자격을 가진 남성들 간의 연대를 통한 국가주의 담론 안에 포섭된다. 본 연구는 병역의무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남성됨과 국민됨의 다층적인 측면들을 드러내어 남성중심적인 국민정체성의 균열지점을 탐색하려 하였다. 금기의 영역에 도전하는 급진적인 운동으로 평가되는 병역거부 운동은 한국사회의 강한 국가주의와 집단주의 하에서 운동논리를 협상하며 탈(脫)군사주의와 탈(脫)국가주의로 나아가지 못하고 남성정치학으로 축소되고 있다. 이를 통해 성별화된 국민정체성 문제와 연결되지 못하는, 공/사 위계에 기초한 좁은 의미의 평화와 탈(脫)군사주의를 주장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병역의무와 남성성, 그리고 국민정체성과의 연관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남성 군인되기를 포기하는 기획이 곧바로 남성중심의 국민정체성을 해체로 연결되지 않음을 드러내주었다. 공/사 위계에 기초한 ‘평화’를 재개념화하고, 국가에 대한 의무를 통한 국민됨에 질문하면서 남성연대가 아닌 ‘타자’와의 연대를 꾀한다면 위계화된 사회적 성원권에 대한 저항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주제어: 병역의무, 양심적 병역거부, 사회운동, 국민정체성, 국가주의, 남성성;This study is an attempt at exploring the feminist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which made its appearance in the 2000s in Korea, a country of the male conscription system. The conscription system reinforces the gendered divide of man-protector and woman-protected and creates a hierarchy among the national citizens, granting national representativeness to men who have fulfilled their military service. The public appearance of conscientious objectors challenges the premise that every man must become a soldier and questions the imperative of national security based on armed force.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mplies resistance against the gendered role of the male national as well as a possibility for undermining the national citizen identity hierarchized around military service obligation.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s faced with much social opposition, including a strong security argument and nationalism and a solidarity among men demanding equal sharing of military servic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gender politics of the arguments employed by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to obtain social membership rights of the conscientious objectors and justify its cause. It analyzes the masculinity involved in the arguments employed by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to persuade society and to fight the stigma against conscientious objectors. In doing thi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culinity based on military service obligation, questions whether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aiming at demilitarism and peace disintegrates the strong links between manhood, soldierhood and national citizenhood, and tries to figure out how this may be related with the issue of membership rights of the 'non-nationals' excluded from military service obligation. In-dept interviews with 'political' objectors and conscientious objection activists were carried out along with discourse analyses based on written materi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mocratization served as a momentum for demands for the equalization of the military service obligation to be increased and for the existence of conscientious objectors to gain visibility in Korean society. With the expansion of democratization throughout society and the emergence of a new peace movement, renewed attention was given to conscientious objection and the 'political' objection movement came on stage. The political objection movement which grew out of defiance to the imperialist war persisting in the 21st century argued for the right to reject military service and for an alternative service system, manifesting the differences among men regarding the will to carry out military service. Those differences implied a questioning of the imperative that men ought to be soldiers and a challenging of militarized masculinity. Second,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ran into harsh opposition from the onset. The background for the opposition against the movement consisted of ① the national security argument emphasizing the male/national citizen's role of 'protecting the nation' from enemy threat through military power, ② a strong nationalism holding duties to the state as the highest priority, and ③ male solidarity for equity in military service obligation, claiming that all men should bear military service equally. Accordingly,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have been stigmatized as selfish 'non-patriots,' pushed out of the realm of normalcy created within the linkage of soldierhood and manhood, and made a mockery of. In justification of the reality in which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must go to jail, the opposition discourse to conscientious objection plays up the hardships experienced by men in the army, signifying military service as a great 'sacrifice' to protect the state and the family at the risk of the men's own lives. Third, in the process of procuring the right to object to military service and having the rightfulness of alternative service be acknowledged,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s mobilizing both formal arguments and informal arguments. With the truthful motive for conscientious objection under constant scrutiny, reasons that lend more easily to stigmatization as draft dodgers are treated as 'personal' and overridden, and the conscientious objectors are often found trying to prove themselves as possessing strong morals and beliefs or emphasizing 'other' duties to the state. But in this process of procuring the rightfulness of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the meaning of peace is reduced and the gendered argument for national security ends up being approved. Also, the male subject is represented as bearers of strong beliefs and duties to the state, which overshadows the meaning of resistance against existing masculinity. Rather than questioning the meaning of the modern individual premised upon the public/private hierarchy and the transcendent male subject,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relies heavily on the nationalist discourse. Fourth,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s limited in that it approves the male-centric national citizen identity through solidarity with men who have served or are serving in the army, rather than emphasizing differences among men regarding military service obligation and seeking to break the linkage of manhood/soldierhood/national citizenhood. In the process of signifying military service obligation based on the gendered order of man-protector and woman-protected as a 'sacrifice,' that gendered order ends up being approved and reinforced. Also, the alternative service system claimed by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s under the conditions of reality in which the military service is 'substituted' by other kinds of duties that belong to the national citizens (men). In the reality in which the criteria for evaluating qualifications for contributing and the amount of contribution to the state are gendered, the alternative policy suggested by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fails to connect with the issue of membership of the 'non-nationals' excluded from military service obligation and instead leads to the reinforcement of nationalism through the solidarity of men who are qualified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state. This study has tried to reveal the multilateral aspects of manhood and national citizenhood by examining the gender politics of the arguments employed by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and to explore crevices in the male-centric national citizen identity. Largely deemed as a radical movement challenging an area of taboo, the conscientious objection movement is failing to progress on to demilitarism and denationalism, but rather being reduced to male politics. Taking the elimination of belligerence as meaning peace, it is claiming peace and demilitarism based on the public/private hierarchy. Existing feminist research dealing with militarism and conscription has pointed to the need to disintegrate the strong linkage of man/soldier/national citizen, but by and large considered the relationship of military service obligation and the male national citizen identity as fixed. This study has indicated that to renounce male soldierhood is not to challenge the male-centric national citizen identity. Countering the male-centric national citizen identity and the hierarchized of social membership would be made possible by reconceptualizing 'peace' based on the public/private hierarchy and problematizing national citizenhood based on duties to the state. Key words: military service obligation, conscientious objection, social movement, nationalism, masculi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