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설명하기 과제에 나타난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정보전달 능력과 접속표지 사용 연구

Title
설명하기 과제에 나타난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정보전달 능력과 접속표지 사용 연구
Other Titles
The Informativeness, Efficiency and Cohesive Conjunctives in the description tasks of the Right Hemisphere Damaged adults.
Authors
성시연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반구의 언어기능에 주목을 하게 된 계기는 “교차 실어증(crossed aphasia)”이 알려지면서 부터인데, 이는 좌반구만이 언어 능력을 좌우한다는 기존의 가정을 재고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이후 많은 연구들을 통해 우반구도 언어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져 왔다.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환자의 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는데 이는 환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여 치료 및 예후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발화 분석 방법은 문장 내 분석과 문장 간 분석이 있는데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주로 한 가지 방법에 치중하여 연구되어져 왔다. 또한 급성기(acute)에 보이는 환자들의 언어 문제를 확인하고 정확히 진단 내리는 것은 중재 목표를 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나 아직까지 급성기의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우리말에 대한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발화를 수집한 후 문장 내 분석과 문장 간 분석을 실시하여 급성기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이 보이는 언어장애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발병 후 14일 이내의 급성기 우반구 뇌손상 환자 12명(남자 6명, 여자 6명)과 연령, 학력, 성비를 일치시킨 정상 성인 1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 설명과 절차 설명의 두 가지 과제를 발화 유도 자극으로 사용하였는데 그림 설명하기 과제는 선행 연구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발화 유도 방법으로 환자가 보이는 반응에 대한 상황 맥락적(contextual)이고 준언어적인(extralinguistic) 정보를 해석할 수 있게 해주며 환자 내, 환자 간 비교분석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차 설명하기 과제는 시간적인 순서에 따르거나 어떤 사건의 원인 또는 이유를 드러내는 의미 관계가 분명하게 나타나므로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접속관계를 살펴보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두 과제를 통해 수집된 발화를 문장 내 수준에서 정보전달량과 정보전달 효율성을, 문장 간 수준에서는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사용빈도, 접속표지의 총 오류율,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오류빈도 그리고 접속표지 오류 유형에 따른 오류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보전달량은 주제와 과제에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낱말인 CIU(correct information unit)의 비율로, 정보전달 효율성은 CIU 중 중복되지 않은 다양한 낱말을 뜻하는 DCIU(different correct information unit)의 비율로 알아보았다. 접속표지의 유형에는 접속부사, 접속어미, 어휘적 표현이 있는데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 총 오류율과 각 유형별 사용빈도, 오류빈도를 살펴본 후 접속표지의 오류 유형을 의미/통사적 오류와 형태적 오류로 다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대상자의 발화를 녹음, 전사 후 분석하였으며 집단 간 CIU 비율의 차이는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고 DCIU 비율, 접속표지 총 사용률, 총 오류율, 접속표지 오류 유형별 오류율의 집단 간 차이는 t-검정을 시행하였다. 접속표지 유형에 따른 사용빈도, 오류빈도의 집단 간 차이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반구 뇌손상 환자 집단은 정상 성인 집단보다 CIU 비율과 DCIU 비율이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2) 집단 간 접속표지의 총 사용률과 접속표지 유형별 사용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접속표지의 총 오류율에서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 집단의 오류율이 더 높았으며 접속표지 유형별 오류빈도는 접속어미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접속표지 오류 유형별 오류율은 우반구 뇌손상 환자 집단이 정상 성인보다 의미/통사적 오류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형태적 오류에서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은 정상 성인보다 정보전달 능력이 낮으며 또한 산출된 발화의 문장 간 결속성 역시 저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에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식적인 언어평가 도구 및 중재 프로그램이 없는 실정에서 본 연구 결과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들의 언어장애 진단과 적절한 중재를 위한 목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in the description tasks of the acute stage right hemisphere damaged(RHD) patients. Two group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e group was RHD subjects(6 males and 6 females) who have suffered a single cerebrovascular accident(CVA) within 1~14 days prior to testing. And the other group was non-brain-damaged(NBD) subjects who matched with the RHD subjects for the parameters of gender, age and education. All subjects were right-handed, were native speakers of Korean who had hearing and vision adequate for the tasks. Subjects' speech samples were elicited from a single picture description task("beach picture" from the Korean-version of Western Aphasia Battery) and a procedural description task(how to make ramen). The samples were audio recorded, then transcribed. These samples were analyzed with a method which allowed examining within- and between-sentence levels. Within-sentence analyses dealt with the informativeness(%CIUs) and efficiency(%DCIUs). Between-sentence analyses dealt with the cohesive conjunctives usage and the errors of cohesive conjunctives. In analyzing error, the error types of cohesive conjunctives were separated into the semantic/syntactic errors and morphologic errors. The statistics of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non-parametric Mann-Whitney U 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HD group and the NBD group for analysis of %CIUs and %DCIUs. The RHD group resulted in significantly for lower %CIUs(p<.05) and %DCIUs(p<.05), compared to the NBD group. Results indicated the informativeness and the efficiency of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BD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occurrence rate of cohesive conjunctives and cohesive conjunctives type between the RHD group and the NBD group. (3) The total error rate of cohesive conjunctives of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BD group(p<.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for cohesive conjunctives type of "conjunctive endings" between groups(p<.01). (4) In analyzing error types, the RH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e semantic/syntactic errors than the NBD group(p<.01).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for the morphologic errors. In conclusion, the RHD group produced less relevant and informative content than the NBD group. Furthermore the RHD group had problems between sent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with useful information to assess and intervene of RHD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