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과제에 따른 취학전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가변성 비교

Title
과제에 따른 취학전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비유창성 가변성 비교
Other Titles
Variability in the Frequency of Disfluencies produced by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in Three Speaking Tasks
Authors
민경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의 비유창성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적인 문맥에 대한 연구는 말더듬의 진단이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하다. 비유창성은 상황이나 과제에 따라 가변적으로 나타나는데 그러한 가변성에는 언어 문맥으로 인한 의사소통 부담과 아동의 말 언어 능력이 영향을 미친다. 언어 문맥은 구문, 의미, 화용적인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구문, 의미, 화용적인 문맥을 이용한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의 특징과 그 가변성을 비교하는 일은 아동기 비유창성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세 가지 과제에서 나타난 비유창성의 비율과 표현언어측정치를 과제 간, 집단 간 비교하고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의 가변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말더듬 아동 집단 내에서 비유창성 비율과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의 가변성 및 과제에 따른 표현언어의 가변성이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과 수용어휘 능력을 일치시킨 취학전 말더듬 아동 10명과 일반 아동 10명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로서 공식적 말더듬 검사도구인 파라다이스 유창성 검사의 필수 과제(문장그림, 그림책, 말하기 과제)를 이용하여 발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비유창성의 빈도 및 비율을 측정하고 세 과제에서 나타난 비유창성 비율의 표준편차에 의해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 가변성 수치(Yaruss, 1997)를 구하였다. 또한 표현언어측정치로서 과제별 평균형태소길이, 평균단어길이, 총 단어 수, 다른 단어 수를 구하였으며 표준편차를 이용한 가변성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에 의해 과제에 따른 표현언어의 가변성 수치를 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 집단 간 비유창성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검정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 간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의 가변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두 집단이 과제에 따라 비유창성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이 과제에 따라 평균형태소길이, 평균단어길이, 총 단어 수, 다른 단어 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차이가 유의미한 경우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말더듬 아동 집단 내에서 비유창성 비율,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의 가변성, 과제에 따른 표현언어의 가변성이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제별 비유창성 비율에 있어서 세 과제에서 모두 말더듬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에 비해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냈다. 둘째,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의 가변성에 있어서 말더듬 아동 집단이 일반 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비정상적 비유창성의 가변성을 나타냈다. 셋째, 과제와 집단에 따른 비유창성 비율에 있어서는 정상적 비유창성과 비정상적 비유창성 모두 집단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상적 비유창성의 경우 일반 아동이 말더듬 아동에 비해 더 높은 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을 나타냈고, 비정상적 비유창성의 경우 말더듬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더 높은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을 나타냈다. 넷째, 과제 간 평균형태소길이, 전체 단어 수, 다른 단어 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간 평균형태소길이, 평균단어길이, 전체 단어 수, 다른 단어 수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말더듬 아동의 비정상적 비유창성 비율은 정상적 비유창성의 가변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비정상적 비유창성의 가변성은 전체 단어 수의 가변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취학전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은 과제의 부담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가 크며 그로 인해 비정상적 비유창성이 가변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취학전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성 특징에 대한 신뢰로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사소통 부담을 포함하는 언어 문맥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riability in the frequency of disfluencies produced by preschool stuttering and nonstuttering children in three speaking tasks. The three speaking task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normal and abnormal disfluency ratio, the variability in the disfluency ratio across tasks. Standard deviation was selected as the measure of variability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s(MLU), the number of total words(NTW), and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NDW) were selected as the expressive language measures in each of the different speaking tasks. Mann-Whitney test and t-test were used to compare the group differences. ANOVA and MANOVA were used to evaluate the task differences. Spearman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disfluency ratio, the variability in the disfluency ratio, and the variability in the expressive language measures across tas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D ratio in each of the different speaking tasks: the average of AD ratio of stutter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nstuttering group(p<.05). (2) The variability in the abnormal disfluency ratio across tasks was higher in stuttering group. (3)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ormal disfluency ratio and the abnormal disfluency ratio through entire three speaking tasks. (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LU-m, NTW, NDW between task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LU-m, MLU-w, NTW, NDW between two groups. (5) Within the stuttering group, the children with the higher degree of variability in the abnormal disfluency ratio exhibited the higher degree of variability in NTW across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ariability in the frequency of disfluencie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stuttering children. For diagnosis of childhood stuttering, the various linguistic context should be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