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희진-
dc.creator김희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6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9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8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970-
dc.description.abstract1989년 7월 1일자로 실시된 전국민 지역의료보험제도는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의 수준을 다양하게 증가시켜 보건의료분야의 경쟁이 가속화되고, 병원조직은 더욱 거대하고 복잡한 구조의 조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병원조직 내에서 간호인력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환자에게 제공되는 직접적인 서비스의 대부분은 간호사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종합병원을 위시한 대부분의 병원조직에서는 간호사의 직업 만족도가 떨어지고 높은 이직률로 간호사 수급에 차질을 빚고 있다. 간호사를 전문직으로 규정하는 윤리규약이나 그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는 간호인력의 효율적인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간호사가 전문인으로서 성장,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에 대한 논의들은 객관적이고 이념형적인 전문직의 기준에 따라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이 결정되는 것으로 논의해 왔으며, 행위자 수준에서 간호사의 전문직업적 태도를 조사한 선행연구들도 사회심리학적인 변수의 영향을 발견하는데 치중하는 한계를 보여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직을 전제로 간호사의 전문직업성을 논의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간호사들이 느끼는 전문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구조에 대한 시각을 결여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보다 조직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의 영향력과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기능적 업무분담체제와 수정된 일차간호체제를 실시하고 있는 두 병원을 사례로, 간호전달체제(nursing delivery system)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특성과 인간관계적 특성을 통해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살펴보고, 결국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의 간호전달체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병원의 특성에 따른 사례의 간호전달체제를 보면, S병원이 H병원과 달리 수정된 일차간호체제를 실시하고 있는 이유를 알 수 있다. S병원은 경영이념상 교육중심의 H병원과 달리 최상의 의료서비스 제공을 내세우고 규모나 인적자원면에서 H병원보다 월등하다는 특성 때문에,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불과 2년이 채 안된 S병원에 비해 H병원의 30년이라는 오랜 역사를 감안하면, 이러한 결과는 새로운 외부환경의 변화에 H병원이 상대적으로 둔감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능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원인이 어느정도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병원특성에 따른 S병원과 H병원의 각 간호전달체제는 그것의 구조적 특성과 인간관계적 특성을 통해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는데, 전문직 정체성의 하위개념에 대한 이러한 변수들의 영향력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나타낸다. 첫째, 간호전달체제에서 나타나는 간호단위내 구조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결과이다.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에서의 간호단위내 구조적 특성은 기능적 업무분담체제와 비교할 때, 복잡성, 집권화, 공식화 경향이 모두 맞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의 차이는 결국 수정된 일차간호체제가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확보에 있어 더 긍정적 인 간호전달체제라는 것을 밝혀주었다. 둘째, 병원내 간호부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결과는 간호단위내에서와 마찬가지로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에서 간호부의 복잡성과 집권화 경향이 기능적 업무분담체제에서보다 낮게 나타났다. S병원의 경우 진료부나 행정부와의 상대적인 관점에서, 계층구조상 동등한 위치에 있는 그들의 개입으로부터 독자적일 수 있기 때문에 결국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간호전달체제에서 나타나는 간호단위내 인간관계적 특성에 대한 결과로서,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에서는 상급자와 하급자간, 동료간의 의사소통 기회가 빈번하고, 갈등은 적으며, 수평적이고 상향식의 관계(상급자와 하급자간)나 폭넓은 관계(동료간)가 성립되기 때문에, 기능적 업무분담체제에서보다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전문직 정체성의 하위개념 중 환자에 대한 서비스신념에 대한 이 변수의 영향력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른 차원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넷째, 간호전달체제에서 나타나는 의사 및 기타부서와의 인간관계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결과이다.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에서 의사와 간호사는 수평적이고 협조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의사소통과 갈등을 하기 때문에 기능적 업무분담체제보다 전문직 정체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간호전달체제에서 나타나는 타부서와의 관계가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와 기능적 업무분담체제에서 나타나는 타부서와의 관계에는 차이가 있음은 밝힐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전문직의 특성에 따라 간호사를 전문인으로 전제해온 기존의 논의를 극복하고 병원조직내에서 간호사들이 실제로 느끼는 전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밝혔다는데 가장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간호사의 측면에서 조직구조내 관계성을 파악함으로써, 의사에 대한 촛점에 국한되어 있던 기존 의료사회학 영역에 문제제기가 될 수 있다. 또한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조직적이고 구조적인 시각을 도입함으로써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사회학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그리고 간호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더 이상 개인적인 수준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병원조직 차원이나 나아가서는 병원조직이 이러한 구조를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차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간호전달체제라는 이론적인 개념은 실제 임상에서 실시하는 형태와 순수하게 일치하지는 않았다는 것과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확보에 대한 수정된 일차간호체제의 영향력을 알 수는 있었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각 체제가 가지는 장점과 단점이 어느정도 혼재되어 있었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리고 연구방법상 사례가 두 개 병원에 불과하고 간호전달체제에 대한 각 사례병원의 특성이 중요한 전제가 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특히 S병원은 개원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병원이기 때문에 체제가 안정되지 않아 2개 병동만을 표본으로 분석했다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간호부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진료부나 행정부의 상대적인 관점을 시도하였으나 내부자료가 많지 않고 접근이 어려워 충분한 분석을 하지 못했다는 점도 조사상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면서 보다 풍부한 사회학적 시각으로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추후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In the hospital system, the nursing staff comprises the largest number of personnel as well as providing most of the interaction with patients. Despite many attempts to prescribe nursing as a specific profession, they aren't given many opportunities to develop themselves as professionls in Korea's hopital system, because of the low level of the career satisfaction of nurses and the high turnover rate among nurs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rofessionalism of nurses have shown that the professioal identity of nurses are determined by an objective professional standard. Other studies on the nurses' attitudes towards their profession have come to the limit that they emphasized only the influence of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Subjugating this limit, this thesis is about the study of the influence of structural and human-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delivery system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For this purpose, we compare and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wo case studies, S hospital and H hospital, which are enforcing the the modified primary nursing delivery system and the functional nursing delivery system, respectively. This study will help try out a systematical and structural analysis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and solve the problems of the nursing delivery system, which could improve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aring the two hospitals, S hopital has the best medical service as their managing ideology. In addition, its size and manpower are suprior to H hospital. These enable S hospital to adopt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Second, in a nursing unit of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the structural charateristics tend to be less complex, centralized and formalized than the functional nursing delivery system. These differences make it clear that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is a more affirmative system in terms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Third, in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the structural charateristics of nursing department tend to be less complex, centralized than the functional nursing delivery system. In the case of S hospital, nursing department is on the equal position. with the medical and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 in terms of hierarchy, which results in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Fourth, in a nursing unit of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there are more frequent chances for communication and less conflicts between higher and lower ranking nurses and among same ranking nurses. Although there is an established hierarchy, there are also good and equal relationships. Finally, these results show a more affirmative influence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Fifth,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has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than the functional system, because of more frequent communication and less conflicts among doctors and nurses, based on their cooperative and harmonious relations. The influence of a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other personnels in the hospitals on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hasn't been clarified. But at lea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relationship between the modified nursing delivery system and the functional nursing delivery system. This study enables a close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by introducing a systematic and structural view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in a hospital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nurses no longer depends on the level of individuals but on the level of hospital system, and more importantly on the level of policy-making. Despite of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notion of the nursing delivery system is still not in accord with the hospital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 7 1. 연구문제 = 7 2. 연구방법 = 8 Ⅱ. 전제적 논의 = 12 A. 병원조직의 환경과 적응 = 12 B. 병원조직내 구조적 특성과 인간관계적 특성 = 20 C.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 27 D. 간호전달체제와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 31 Ⅲ. 분석틀 및 가설설정 = 36 A. 분석틀 구성 = 36 B. 가설설정 = 36 C. 변수설명 = 40 Ⅳ. 사례병원의 특성 = 42 A. 경영이념과 규모 및 인적자원 = 42 B. 간호전달체제 = 46 1. S병원 = 47 2. H병원 = 50 Ⅴ.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 51 A. 구조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 51 1. 간호단위내 구조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 52 2. 간호부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 68 B. 인간관계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 76 1. 간호단위내 인간관계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 76 2. 타부서와의 인간관계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정체성 = 92 C. 소결 :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 104 Ⅵ. 결론 = 108 A. 간호전달체제와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 108 B. 논문의 의의 및 한계점 = 115 참고문헌 = 119 부록 : 면접가이드 = 126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833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병원조직-
dc.subject간호사-
dc.subject전문직-
dc.subject정체성-
dc.subject간호전달체제-
dc.title병원조직의 특성과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S병원과 H병원의 간호전달체제 비교연구-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s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on Nurse : A Study of the Nursing Delivery System between S Hospital and H Hospital-
dc.format.pageiv, 13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