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이용에 관한 연구

Title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이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Uses of th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uthors
박정석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a new mode of communication channel is expanding rapidly among the young in our society. Much of the work on CMC assumed that the computes itself is the sole influence on communicative outcomes. They stoped short of finding out implications of CMC for the human Communication, greatly oversimplifying the forces that affect CM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human factors influence the uses of CMC. That is, this research on the social uses of CMC aims at finding out in a variety of CMC contexts, ways in which people form individual-specific patterns of CMC uses. It assumes uses of CMC vary according to users' two factors; users' cognitive needs and their possibility to fulfil the need for social interaction through face to face communica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information gap among CMC users caused by And it attempts to examine CMC as a functional alternative for the CMC uses.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High interactivity, which could be found in human relations rather than mass media is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c of CMC.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the survey among HITEL users through e-mail. It designed measurement scales on the variables; the users' cognitive need and their internal/external(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al/socio-emotional uses of CMC, and the information access skil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nformational uses of CMC depends on users' difference of cognitive need which affects user's difference of information access skill and eventually causes information gap among the users. And the information gap is increased rather than maintained or decreased as time goes by. CMC is used not only as task oriented means, but also as an effective alternativ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t shows the users who have inadequate conditions for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tend to use CMC more socio-emotionally than those who are in better conditions fur the human relations. The users are in worse conditions for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have a tendancy to substitute CMC mure for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than other, although these two groups show no difference in recognizing; the similarity between CMC and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In the conclusion, the information gap exists among CMC users. And we could infer that CMC is as for now used as a supplementary channel for the face to face communication rather than a substantive channel because of the lack of nonverbal cues.;컴퓨터와 정보통신 기술은 짧은 기간 동안에 비약적인 진보를 통하여 정보사회를 특징짓는 핵심적인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전자매체가 주를 이루던 80년대가 지나면서 컴퓨터와 커뮤니케이션미디어의 기술적 융합을 통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 즉 컴퓨터를 통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빠른 속도로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컴퓨터매개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현상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즉, 개인의 의지욕구와 사회적 상호작용에의 충족가능성이라는 두가지의 사용자 요인에 따른 CMC의 정보적/사회정서적인 이용의 개인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뉴미디어 채택 집단내에서 발생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정보격차의 문제를 살펴보고, 이와 아울러 CMC의 새로운 인간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PC통신 HITEL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전자메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9부의 설문지가 분석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개인의 인지욕구와 사회성, 대인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환경적 요인, 그리고 CMC의 이용량, 중요도,대인커뮤니케이션의 양적 변화,CMC와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유사성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 등이 측정되었다. 미디어의 기대-가치 이론을 적용하여 인지욕구와 CMC의 정보적 이용과의 관계에 관한 가설이 설정되었으며 가설들이 모두 긍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적 욕구가 CMC라는 뉴미디어의 정보적 이용의 개인간 차이를 가져오는 결정요인이 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CMC사용자의 인지욕구와 이로 인한 정보접근력의 차이에 따른 정보이용량상의 차이가 단기이용자에서보다 장기이용자에서 보다 커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채택자와 비채택자 사이뿐만 아니라 동일한 미디어채택집단 내에서도 정보격차가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주목할 만한 것이다. 기능대안성 이론에 따른 개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욕구에의 충족가능성과 CMC의 사회정서적 이용과의 관계에 관련된 가설은 일부 긍정되고 일부 기각되었다. 대연관계를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CMC를 사회정서적으로 더 많이 이용하고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CMC의 대인커뮤니케이션 대체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실제로 사회적 상호작용욕구의 충족가능성이 낮은 사람들은 높은 사람들보다 통신후 기존의 대인커뮤니케이션이 근소하게나마 더 줄어든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MC의 중요성 평가와 관련된 가설은 일부만이 긍정되었고 CMC의 대인커뮤니케이션과의 유사성 인지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상과 같이, 같은 CMC 채택집단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CMC사용자들 사이에는 인지욕구와 정보접근력의 개인차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정보격차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호작용성이 높은 뉴미디어인 CMC는 일부 사용자들에게 기존의 대인관계를 대체하는 대안적 채널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대체가능성은 아직까지 미약하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