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분담목록시스템을 위한 목록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분담목록시스템을 위한 목록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ataloging Standardization for Sharde Cataloging System
Authors
양수연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분담목록시스템목록표준화방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tall standards for Shared Cataloging System in local university libraries and to establish planning which can continuously make the most of the installed standards. For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es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and KORMAC cataloging data and written cataloging rules of local universities were compared with and analyzed. Eleven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a center of Shared Cataloging System. Format is KORMARC, and the range of research is independent volumes. Notes regarding KORMARC cataloging contents : 1. Each university basically uses KORMARC to catalog domestic books. But they have different ways of cataloging, because of the features of their own system, mutually different modification method and individual propensity of catalogers. 2. For cataloging, each university has the united record structure, but they use their own varied content designators and record data. 3. Domestic cataloging rules are classified into KCR and KORMARC descriptive rule. Each university, by using KCR2 together with KCR3, catalogs differently even the same data in its own way. 4. The Authority Control System, which is essential to unify names and vocabularies used in shared cataloging, hardly exists in our country. 5. Libraries have great differences between one another in their descriptive level to catalog the same data and in the accuracy and the depth of their bibliographic information. Proposal for the Standardization of Shared Cataloging System : 1. The standardization of cataloging tools should be achieved. So, this study set up the standardization for MARC tag by the analysis of striking differences revealed in each university. 2. The center should organize the standard management department, which can continuously manage data inputted by Shared Cataloging System, and education department, 3. Local libraries should comply with planning for standardization management and try to take advantage of it actively -- to scrutinize repeatedly error of the data and the outcome cf their own cataloging, and so on. 4. For management of cataloging standard, the qualitative control functions of system should be reinforced by means of making authority file and reference file, and checking tags and identifier. A large amount of investment is required to establish standardization of cataloging, and there is no use lest it should be applied in the actual situation. Therefore, the ways to maximize its functions should be found and the every effort to manage it effectively is continuously needed.;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분담목록시스템의 목록을 위한 표준을 제정하고, 제정된 표준을 준수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목적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면담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또한 각 대학교의 KORMARC 입력자료와 문서화된 목록정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기관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11개 사립대학교와 분담목록시스템 구축의 중추인 서울대학교이다. 포맷의 대상은 KORMARC이며, 자료의 범위는 단행본으로 한정하였다.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대학교는 KORMARC로 국내서를 목록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의 프로그램, 자관의 특성을 고려한 목록규칙의 변경, 개개 목록자들의 관점에 따라 목록방법이 달랐다. 둘째, MARC 포맷의 레코드구조는 통일을 이루고 있으나 표시기호와 데이타는 세부적으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국내의 목록규칙이 KCR과 KORMARC 목록규칙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각 대학도서관들이 KCR2와 KCR3를 혼용함으로써 같은 자료라도 목록방법에 차이가 있었다. 네째, 분담목록을 할 때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명칭과 용어를 통일하기 위해서는 전거통제가 필수적이나 국내의 전거통제 환경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다섯째, 동일 자료에 대한 목록기술수준의 비교에서는 입력된 서지정보의 정확성과 깊이가 도서관마다 차이가 있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하여 분담목록시스템을 위한 표준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목록도구의 표준화가 이루워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교에서 가장 크게 드러난 차이점을 통일하여 분담목록시스템의 상황에 맞게 MARC 표시기호의 표준화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분담목록시스템에 들어오는 데이타의 표준관리를 위해서 센터는 표준관리부와 교육담당부를 구성해야 한다. 셋째, 회원도서관은 센터의 표준관리정책을 준수하며, 수시로 데이타의 에러율과 자체 목록작업의 검토를 통하여 능동적인 참여를 해야 한다. 넷째, 시스템의 질적 통제기능을 강화하여 목록 표준을 관리해야 한다. 그 방법으로 전거파일과 참조파일 등을 만들 수 있으며, 표시기호와 식별기호 체크방법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표준화 작업은 그 과정에 있어서 상당한 투자가 요구되는 것이며, 그 결과가 실제에 사용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따라서 표준화 과정에서는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결과가 실제 업무에 활용되었을 때에도 계속적인 관리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