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힐데가르트 폰 빙겐(Hildegard von Bingen 1098-1179)의 <심포니아(Symphonia armonie celestium revelationum)>연구

Title
힐데가르트 폰 빙겐(Hildegard von Bingen 1098-1179)의 <심포니아(Symphonia armonie celestium revelationum)>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f Hildegard von Bingen(1098-1179):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text
Authors
박정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text in the twelfth-century sacred compositions, collectively known as , written by the Benedictine abbess, visionary, writer and composer Hildergard von Bingen. She is famous not only because of her musical works but because of her literary works on religious subjects. Her oeuvre includes recorded vision, medical and scientific works, hagiography and letters, and lyrical and dramatic poetry that has survived in the form of monophonic music. Hildergard's diverse roles and works both reflect and project her position as a woman in her society and time. In the middle ages, women under feudalism and the male-dominated Catholic church were represented by the two common, yet conflicting role-models, Eve and Mary. These two well-known feminine figures were repeatedly portrayed by preachers as being the epitome of worldliness and purity; on the one hand castigating Eve for causing the fall of man in her beguiling of Adam, while on the other hand elevating the perfection of the Virgin Mary to the status of a cult. Hildergard lived in times full when such contradictions were replete, yet she was able to create a woman's "voice" representing vision. Her creative processes in singing and composing chant involved two aspects. First, there were liturgical practices that Hildegard observed throughout her long life, especially those related to her work as a Benedictine nun. Second, there were pieces that were derived from her pure creative spirit that culminated in her own large scale musical cycles; namely, the song collection . This composition contains antiphones, responsories, hymns, sequences, and some unassigned pieces, in all there are seventy-seven monophonic songs. These songs are generally more complex and sophisticated than most Gregorian chant, often made up of long asymmetrical phrases with frequent melismatic passages and highly extended melodic ranges. Moreover, her melodies tend to contain a dramatic leap of a fifth, including continuous skips of fifth and fourth in the same direction, which are unusual in the medieval Church's liturgical books. Furthermore, she seems to have devised her own modal system that differed from the traditional eight church modes. These idiosyncratic features may well have been connected with Hildergard's visionary states. In my thesis, I first introduce the musical life of convents in the medieval era, so as to provide the context for understanding women composers and performers of the time. Next, Hildergard's life will be briefly introduced in relation to her music and musical activities. I will then review and compare three previous analyses of the identical piece by Bronarsky(1922), Cogan(1990) and Pfau(1990). The first two analyses disregard the syntax and expression of the text by concentrating on the motivic level, while the third focuses on the phrasing of the text. In my analysis of the work, I will first focus on the rhetorical relations between the music and the text in terms of their structural settings. The songs in are best conceptualized as musical declamations of lyrical texts, therefore the declamatory musical setting can be considered as a heightened rhetorical delivery of the text's meaning. In the latter portion of my analyses, I will focus on the symbolism used to enhance the inner meaning of the text, especially those aspects that concern woman. Hildergard's powerful emphasis on virginity in the text, the very root of her theology of the feminine, was well symbolized in musical construction.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devotional music sonorously elaborates upon female body (both human and divine) and female sexual desire, making sensuality physically integral to religious devotion. Hildegard von Bingen has been called an "ideal model of the liberated woman" who "was a Renaissance woman several centuries before the Renaissance". Her highly expressive and advanced musical compositions, as well as her audacious activities in various areas certainly justify the above statement. Research regarding her music and life is significant in Korean musicology since we have not yet begun to embark on a serious study of music from the medieval era, nor women's music of that time. Projecting musical discourses into a deeper level–one that includes issues related to women's music and its relation to the society as a whole– can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ntire music of medieval period.;이 논문은 12세기의 베네딕트회 수녀원장이며, 환시가(visionary), 저술가 그리고 작곡가이기도 했던 힐데가르트 폰 빙겐(Hildegard von Bingen, 1098-1179)의 로 알려진 종교적 음악 작품모음집에 대한 연구이다. 힐데가르트는 음악 작품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 그리고 종교적이고 외교적인 활동 등을 통해서도 명성을 얻었다. 그녀의 전 생애에 걸친 저작들은 환시체험에 대한 기록과 의학적, 과학적인 저술서, 성인의 일대기를 기록한 성인열전 그리고 각계각층의 사람들과 주고받은 서신들을 포함한다. 또한 서정적이고 극적인 단선율로 구성된 음악 전례극 「도덕극(Ordo Virtutum)」도 있다. 남성 지배적인 기독교 교회와 봉건제도의 영향력 하에 있던 중세 시대 여성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이브와 마리아라는 양극화된 형태로 나타난다. 동시대의 상반된 여성적 이미지에 관하여, 중세의 설교자들은 찬미의 대상으로써 동정녀 마리아를 숭배하는 반면, 아담을 유혹하고 인간을 원죄에 빠뜨린 이브의 이야기를 계속해서 반복하였다. 이렇듯 모순이 가득한 시대 가운데 힐데가르트는 환시적이며, 예언가적인 여성으로서의 목소리를 창조해 나갔다. 베네딕트회 수녀로서 오랜 삶을 살면서 그녀가 행해야 했던 전례적 실제로써의 성가는 그녀의 음악적인 창조과정을 대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며, 대규모 작품집 <거룩한 천상의 조화로운 음악(Symphonia armonie celestium revelation)>은 힐데가르트의 종교적 신념과 의지를 담은 음악적 결과물로 전해진다. 이 작품집은 안티폰(antiphon), 레스폰소리(responsory), 찬송(hymn), 시퀀스(sequence) 그리고 장르가 정해지지 않은 몇몇의 곡을 포함하여 모두 77곡의 단선율 성가로 구성되어 있다. 그녀의 음악 작품들은 일반적인 중세의 그레고리오 성가들 보다 훨씬 양식이 다양하고 복잡하다. 장대한 다음절적 패시지를 갖는 비대칭적이고 긴 프레이즈가 나타나기도 하고, 성가 선율 안에 5도의 극적인 도약과 같은 방향으로의 5도와 4도의 연속적인 도약을 포함하기도 하며, 동시대의 선율들보다 훨씬 확장된 음역을 갖고 있기도 하다. 또한 그녀는 전통적인 8개의 교회 선법과 구분되는 그녀만의 선법 체계를 고안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든 음악적 특이성은 힐데가르트가 가졌던 종교적 열망, 환시적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교회 중심사회의 중세시대에 이해되던 여성상과 당시 수녀들의 종교 활동, 특히 음악 활동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그 중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였던 힐데가르트의 생애와 업적, 저서 등에 대하여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어서 그녀의 음악 작품을 중심으로 논할 때에, 동일한 작품을 Bronarsky(1922), Cogan(1990) 그리고 Pfau(1990)가 서로 다르게 분석한 연구를 비교해 보고, 이후에는 음악과 가사의 밀접한 관계에 초점을 두어 계속해서 작품들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음악과 가사의 세팅(setting)을 즉 단음절적, 네우마적, 다음절적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르는 수사적 표현을 중심으로 연구할 것이다. 에 속한 성가들은 대부분 음악적인 수사 기법을 통하여 그 서정적인 가사들을 구체적으로 개념화 시켜주고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가사의 내용이 상징적으로 표현되고 의미론적으로 구성된 음악, 특히 여성에 관한 가사 내용을 갖는 음악에 초점을 두고 연구 할 것이다. 힐데가르트는 이러한 음악의 구성을 통하여 여성에 관한 신학적 근원, 즉 동정성(virginity)과 함께, 인간성과 신성을 동시에 지니는 여성의 육신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비타(vita)에 의해 전해지는 힐데가르트의 일생과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있는 다수의 작품들은 여성에게 특히 폐쇄적이었던 중세에 그녀가 여성으로서, 수녀로서 행했던 많은 활동상들을 증명해주고 있다. 이와 함께 그녀의 성가들이 갖고 있는 선율의 다양성과 표현의 특이성, 그리고 해석상의 난해함 등은 그녀의 종교적인 귀의를 향한 기도의 음악적 표현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 힐데가르트의 음악적 양상이 오늘날 전해지는 동시대의 다른 음악들과 확연히 구분되어지는 만큼 그녀의 음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외형적으로 나타난 구조와 스타일을 분석하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 보다 넓은 시각에서 그녀가 가진 기독교적 배경과 사상, 신념 등과 함께 해석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