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미숙-
dc.creator정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6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8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69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tarts by questioning the existing view that poverty of woman head of household is caused by 'family disintegration'. So far the poverty of woman head of household has been approached as a social problem arising from desertion of the male breadwinner. The rising rate of divorce that leads to increasing number of woman headed households and their being prone to poverty has been understood as the situation that intensifies this kind of explanation. The general conception that the poverty of woman head of household is the outcome of 'family disintegration' has made invisible the problem of feminization of poverty, which has its roots in the relations within the family.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blem of feminization of poverty that is formed within family relations. In order to approach this question of the poverty of woman head of household not as a result but as a process, and not about a matter of income but about power, this study reviews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lusion. The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has the methodological merits that enables to discuss the routes and social context that drive woman head of household into poverty and the complex process that makes it difficult for her to come out of it. I suggest that these women's experience brings to light the hidden poverty, which proves that the former approach of economic poverty was an inadequate tool. I also suggest that the hidden poverty of women can be explained by focusing on the power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and the class differences of women themselves.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that stresses the dynamic process of poverty is reviewed in this study as a resourceful theory that explains the social context of generation of poverty by looking at the agency of these women. This study analyses the process of becoming poor through the life stories of ten women who are now heads of a household. These are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Firs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ember of a low-income cla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routes they are led into the low-income class; one is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and the other is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is the case where they have been poor since their childhood and are still poor in their adulthood.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is the case where you have become a low-income class sometime around divorce. The difference of the groups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of the ways the power relationships work within a family and their response to poverty after they have become a low-income class. Second, women head of a household are prone to poverty because of the discrimination in formation, distribution and control of resources in their original family and their family formed by marriage. The norm of family worked as a device where women experience the economic exclusion, social and cultural exclusion and psychological exclusion. But this kind of discrimination device showed differences in their workings according to class.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experienced exclusion in the gendered responsibility of supporting the family and maintaining the family, whereas the other group experienced exclusion through the gendered nature of the distribution and control of resources. Third, the different exclusion experiences these study participants have had before they became the low-income class led to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ir state and different responses toward their situation. For the women in the continuation of poverty group, poverty was not the result of divorce but divorce made visible what was invisible. Poverty for them was something that had accumulated through the years of their marriage, but not fully recognized until divorce. For the women in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poverty was a process that accompanied escape from the husband's control and authority but it was also a process where they experienced conflict in their identity. The work experience they have had before they became a low-income class and the sexual discrimination of labor market, the responsibility of raising the children and the myth of family threatened the work right of the woman head of household and aggravated their social isolation, thereby frustrating their effort to come out of poverty. By showing that the presupposition of discussions on the poverty of woman head of a household is false, these findings challenge the existing view that as long as 'The Family' is maintained women will not be poor. So far the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programs on woman head of household has been centered around material and economic support. These women were approached in terms of defect, problem and deficiency; i.e. as a pathological case.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lls for a change of perspective in order for the social support for woman head of household to be effective in helping their independence.;본 연구는 여성 가구주의 빈곤은 ‘가족해체’ 때문인가라는 의문으로 출발하였다. 그동안 여성 가구주의 빈곤에 대한 접근은 생계부양자였던 남성을 상실함으로서 발생되는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이혼율 증가로 인한 여성 가구주 가구의 증가와 빈곤에의 취약성은 이러한 인식을 강화하는 현상으로 이해되었다. 여성 가구주의 빈곤을 ‘가족해체’의 결과로 이해하는 통념은 여성 가구주의 빈곤을 가족(The Family)이 해체된 결과로 이해함으로서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여성 빈곤의 문제를 비가시화 시켰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가족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여성 빈곤의 문제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그동안 여성 가구주 탈빈곤에 대한 논의가 한편에서는 가족 환원론적 처방으로 다른 한편에서는 노동시장 중심의 경제주의적 처방에 치중됨으로서 가족책임의 논리에 기반한 빈곤정책의 문제를 정면으로 비판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여성 가구주의 빈곤을 결과(outcome)가 아닌 과정(process)을 중심으로, 소득(income)중심이 아닌 권력의 문제로 접근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 관점을 검토하였다. 사회적 배제 관점은 여성 가구주가 빈곤층을 형성하게 되는 경로와 사회적 맥락 그리고 빈곤탈출을 어렵게 하는 중층적인 과정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적 강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여성의 빈곤경험은 경제주의적 빈곤 접근으로 설명되지 않았던 숨겨진 빈곤(hidden poverty)을 밝히는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여성의 숨겨진 빈곤은 가족 내의 권력관계와 여성들 내의 계급적 차이에 주목함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고 보았다. 빈곤의 역동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배제 관점은 여성 가구주의 행위성에 주목하여 빈곤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을 설명함으로서 여성 가구주를 대상화, 피해자화, 병리화 하는 지금까지의 연구 경향들과 거리를 둘 수 있는 이론적 자원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10명의 저소득 여성 가구주의 생애사(life story)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빈곤층에 이르게 되기까지 빈곤경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이 빈곤에 이르게 되는 경로에 따라서 빈곤의 지속 유형과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빈곤의 지속 유형은 어린시절부터 가난했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빈곤이 지속되는 경우로,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은 이혼을 전후로 빈곤층으로 유입된 경우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차이는 가족 내의 권력관계가 작동되는 방식에서의 차이, 빈곤층이 된 이후 빈곤 대응 방식에서의 차이와 연결되었다. 둘째, 여성 가구주의 빈곤은 출생 가족과 결혼 후 가족에서 자원형성과 자원배분, 자원통제에서의 차별을 통해서 빈곤에 취약해졌다. 가족규범은 여성들이 교육기회로부터의 배제, 심리적 지지로부터의 배제, 자원통제로부터의 배제, 자아배제, 직업능력향상 기회로부터의 배제, 노동시장으로부터의 배제, 노동자 정체성 형성으로부터의 배제를 경험하게 되는 차별 기제로 작동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 기제는 계급에 따라서 그것이 작동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었다. 빈곤의 지속 유형 사례 여성들은 성별화된 가족부양의무와 성별화된 가족유지책임에 의해서 배제를 경험하였다. 반면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 사례 여성들은 자원배분의 성별성과 성별화된 자원통제권에 의해서 배제를 경험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이 빈곤층이 되기 이전에 경험했던 배제의 경험은 빈곤을 해석하고 빈곤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가져왔다. 빈곤의 지속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빈곤은 이혼의 결과가 아니라 결혼관계 안에서 누적되어 왔던 빈곤의 가시화였다. 빈곤으로의 유입 유형 사례 여성들에게 빈곤은 남편의 통제와 권위로부터 벗어나는 것과 동시에 정체성 갈등을 동반하는 과정이었다. 빈곤층이 되기 이전의 일 경험과 성차별적인 노동시장 구조,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 가족신화에 의해 연구 참여자들은 중층적이며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으로부터의 배제, 건강으로부터의 배제, 주거로부터의 배제, 자녀양육 책임에 의한 배제, 사회적 고립에 의한 배제, 자아배제는 연구 참여자들이 빈곤층이 되기 이전 삶속에서 경험했던 배제의 누적적 특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사회적 배제 형태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여성 가구주 빈곤 논의에서 전제되고 있는 통념이 허구임을 밝힘으로서, 가족(The Family)만 유지된다면 여성은 빈곤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존 시각을 문제화 하고 관점 전환의 필요성을 제안 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방법론적 차원에서 과정(process)으로서의 빈곤에 주목하여 여성 가구주의 생애사를 분석함으로서 소득 중심의 전통적인 빈곤접근에서 설명되지 않았던 여성 가구주 빈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을 모색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9 C. 논문의 구성 11 Ⅱ. 이론적 논의 12 A. 빈곤에 대한 기존논의와 성별 함의 12 1. 경제주의적 관점과 여성 경험의 비가시화 12 2. 사회적 배제 관점의 급진성과 적용의 성별성 18 가. 사회적 배제 관점과 개념화 19 나.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빈곤 : 가족과 노동시장 23 B. 사회적 배제와 젠더 25 1. 사회적 배제와 젠더관계 25 2. 빈곤의 다차원성과 가족 내 권력관계 29 3. 여성의 ‘숨겨진 빈곤’ : 젠더와 계급 33 4. 빈곤의 역동성과 여성의 행위성 36 Ⅲ. 연구방법론 41 A. 생애사 접근법과 사회적 배제 41 1. 사회적 배제 관점과 과정으로서의 빈곤 41 2. 생애사 접근법과 방법론적 함의 43 B. 연구 과정과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7 1. 연구 과정 47 2. 연구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8 3. 연구 참여자의 간이 생애사 51 Ⅳ. 가족 내 권력관계와 사회적 배제 58 A. 출생가족 내에서의 배제 60 1. 자원배분의 성별성과 기회의 제약 62 2. 성역할 사회화와 체화된 규범 69 3. 출생가족에서 벗어나기 : 일 또는 결혼 74 B. 가족 경험과 노동시장으로부터의 배제 78 1. 가족부양을 위한 일과 탈출로서의 결혼 81 2. 직업경력을 위한 일과 성차별 관행 84 3. 일에 대한 욕구와 정체성 갈등 88 C. 결혼 이후 가족 내에서의 배제 94 1. 성별화된 가족 유지책임과 배제 96 가. 보살핌을 위한 생계부양 96 나. 아내폭력과 통제 102 다. 이상(ideal)으로서의 남성 생계부양자 108 2. 성별화된 자원 통제권과 배제 109 가. 단일 가족과 피부양자 여성 110 나. 아내의 경제 대리인 가장(家長) 114 D. 소 결 117 Ⅴ. 배제의 누적과 빈곤 재생산 122 A. 배제의 맥락과 빈곤화에 대한 해석 122 1. 가부장적 가족관계와 빈곤 122 가. 가족유지 책임과 폭력에서 벗어나기 123 나. 남편의 통제와 권위에서 벗어나기 126 2. 생존권 위협과 좌절로서의 빈곤 131 가. 빈곤의 누적과 관계 빈곤 131 나. 정체성 갈등과 심리적 공포 135 B. 빈곤대응 노력과 빈곤의 재생산 139 1. 일 경험과 빈곤의 재생산 139 가. 저임금에 대항하기 : 잦은 이직과 자발적 실업 139 나. ‘몸’의 계급화 : 생계수단으로서의 ‘몸’ 145 다. ‘추락’의 수용과 ‘적당한’ 일자리 찾기 149 2.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과 빈곤의 재생산 154 가. 보살핌과 빈곤의 덫 155 나. 복지 수혜와 낙인 159 3. 가족 신화와 빈곤의 재생산 163 가. 가족‘해체’와 고립 163 나. 좋은 어머니와 생계책임자 171 C. 소 결 176 Ⅵ. 결 론 181 A. 논 의 182 B. 연구의 함의와 한계 188 참 고 문 헌 191 Abstract 2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965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여성학과-
dc.title저소득 여성 가구주의 가족경험과 빈곤화 과정에 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mily Experience and Pauperization Process of Low-Income Woman Head of Household: Focusing on the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dc.creator.othernameChung, Mi-Suk-
dc.format.pageviii, 20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