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미혼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Title
미혼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General values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a for unmarried women
Authors
최수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미혼여성가치관의복쇼핑성향의류직물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의복쇼핑성향을 기준으로 소비자 집단을 분류하고 가치관, 점포선택행동과 쇼핑행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20대 미혼여성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의복쇼핑성향의 차원을 기준으로 20대 미혼여성의 소비자 집단을 분류한다. 2.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3. 소비자 집단에 따른 선호점포유형과 쇼핑행동-월평균쇼핑수, 쇼핑소요시간, 의복지출비, 자주구입하는 가격대, 신용카드소유여부-을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거주하는 20대 미혼 여성으로 직업여성 202명, 여대생 272명 등 총 474명이며 표본추출은 편의추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DOW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χ^(2)-test, t-test, ANOVA,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집단은 경제적집단, 쇼핑고관여자집단, 여가선용적집단, 쇼핑저관여자집단, 점포충성적집단으로 분류되었고 인구통계학적변인에 따라서는 직업여성과 여대생 사이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월평균총수입에서 소비자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20대 미혼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과의 관계는 경제적쇼핑성향과 경제적가치관은 정적인 관계를, 경제적쇼핑성향과 심미적 가치관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셋째, 소비자집단별 선호점포유형 차이는 정장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전반적으로는 백화점의 이용율이 높았으며 점포충성적소비자 집단은 유명디자이너 개인매장의 이용율이 높았고 경제적 소비자집단은 기성복 상설 할인매장의 이용율이 높았다. 소비자 집단별 점포이미지 속성 중요도에 대한 평가는 정장 구매시에는 쇼핑고관여집단이 모든이미지 요인을 중요하게 평가했고 경제적소비자집단과 쇼핑저관여자집단은 점포이미지를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캐주얼구매시에도 쇼핑고관여집단이 모든 이미지 요인에 대해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소비자 집단별 쇼핑행동의 차이는 월평균쇼핑수, 년간 의류지출비, 정장 구매시 자주 구입하는 가격대와 신용카드소유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20대 여성소비자의 쇼핑행동은 한달에 1-2회 정도 점포를 방문하며 의류구매에 년간 50만원미만을 사용하는 집단이 큰비율을 차지했고 정장구입시 25만원-30만원대가 가장 많았다. 소비자 집단별로는 여가선용적집단이 쇼핑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적소비자집단과 쇼핑저관여자집단은 쇼핑횟수가 적었으며 의류지출비는 경제적소비자집단이 낮았고 여가선용적집단과 점포충성적집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장 구매시의 선호구매가격대는 쇼핑고관여집단과 점포충성적집단이 높았고, 신용카드소유여부는 쇼핑고관여집단이 소유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소비자집단이 낮았다.;This study intends to classify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shopping orientations, general values, store choice behavior and shopping behavior to underst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for twenties unmarried women. The specific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it is to classify un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into subdivided consumer groups based on thei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Second, it is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values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Thirds, it is to know about the store choice behavior and shopping behavior-shopping frequency, shopping spending time, clothing expenditure, preference price zone, possession of credit card-per consumer groups. The subject of this group are un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Seoul, 202 career women and 272 college students totaling 474, and model sampling is done by convenient sampling taking into account the type of their occupation and major. Modified survey based on reference and former studies is used, and using SPSS/WINDOW package, methods such as freqency, percentage, x^(2)-test, t-test, ANOVA, Duncan, clustering are applie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 1. Consumer groups are classified into economical shopping group, shopping high involvement group, recreational shopping group, shopping low involvement group, stone loyalty group, and a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ersonal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career women or students, and income. 2.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values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s for twenties unmarried women is that economical shopping orientations is positive to the economical value and is negative to the aesthetical value. 3. Difference in store choice behavior are shown among consumer groups : Store loyalty group patronized the famous designer boutique and economical shopping group patronized the discount store. And there is the difference store image attributes per consumer group. In the case of formal, shopping high involvement group think much of all store image but economical shopping group and shopping low involvement group are not. Also shopping high involvement group think much of all store image in the case of casual. 4. Difference in shopping behavior are shown among consumer groups : The shopping behavior of twenties Unmarried women is that they visited the store 1-2 per month, the group purchasing less than 500,000 won per year for clothing is at the high rate and the preference price zone in the case of formal is 25O,OOO-3OO,OOO won. Shopping behavior according to consumer group is that recreational shopping group and shopping high involvement group visit the store frequently but economical shopping group and shopping low involvement group are not. Clothing expenditure of recreational shopping group and store loyalty group is high but that of economical shopping group is low. The preference price zone of shopping high involvement group and store loyalty group is high in the case of formal. Whether the consumer has the credit card or not i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the possession rate of economical shopping group is low.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