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6 Download: 0

[일락정기] 연구

Title
[일락정기] 연구
Authors
탁원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일락정기국문학구성방식국어국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一樂亭記>는 총 10회로 이루어진 한문 소설로, 기존의 여러 삽화들의 수용 양상이 뚜렷하며 특히 <사씨남정기>나 <창선감의록>과의 영향 관계가 두드러진다. 이 작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 또한 <一樂亭記序>가 소설론의 자료로써 더욱더 주목되었고, 작품 자체에 대해서는 선행 작품들과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함으로써 기존 소설의 답습이라는 측면이 부각되었다. 그러므로 본고는 <일락정기>의 구성 방식을 중점적으로 다룸으로써 본격적인 장편 소설의 출현과의 연관 하에서 <일락정기> 고유의 특성을 추출해내기 위한 연구로서 시도되었다. <일락정기>의 작가 만와옹은 식자층이면서도 소설의 허구성에 대한 인식이 뚜렷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창작에까지 참여하고 있는데, 이것은 식자층의 소설관이 변모하게 되었다는 것 뿐만 아니라 작가층이 다양해지면서 저급의 통속물들이 성행하게 되었다는 상황 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남정기>, <감의록> 같은 소설들에 감명을 받아 자신 또한 이러한 소설을 창작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18∼19세기에 소설 유통의 활성화와 함께 독자층의 확대로 소설들이 대중성을 지향하는 흐름에서 나타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음으로는 조선 후기의 전반적인 장편화 추세와 장편을 선호하는 독자들의 요구에 의한 장편 가문 소설이 등장, 이와 함께 번역, 번한을 통해 널리 읽혔던 중국 연의류 소설이 대개 장편을 이루고 있다는 것 등을 <일락정기>의 장편화 요인으로 알아보았다. 장편화 양상은, <일락정기>에 수용된 삽화들을 그 출처가 되는 <운영전>,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흥백화전>, <옥루몽> 등의 개별 소설이나 적강, 근담 소설류와 면밀하게 비교해 봄으로써 그 특성을 추출해 내고자 하였다. 먼저, <일락정기>에는 삽화의 한 부분만이 아니라 삽화를 이루는 일련의 과정이 수용되고 있다는 것과 다른 삽화들이 새롭게 삽입될 때 주로 확대나 축소에 의한 변형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결국 이를 통해 <일락정기>의 장편화 과정이 자연스러워질 수 있었던 것이다. <일락정기>의 구성 방식은 크게 기존 삽화들을 모자이크식으로 결합하는 방식과, 병렬식 구성을 통해 삽화들의 구조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은 모두 궁극적으로는 온전한 장편의 설립을 위해 시도된 것이며, 또 이러한 구성 과정에는 식자층 남성 작가의 의식이 엿보이는 구성 의도가 개입되어 있었다. <일락정기>의 중심 구조에 대한 분석은 구성 방식에 의한 온전한 장편의 시도가 얼마나 성취될 수 있는가를 구체화하기 위해 이루어졌는데, 10회라는 장편을 이루는 지상계가 천상계에서 압축적으로 제시되고, 충-간이라는 공적인 갈등 구조와 처-첩이라는 사적인 갈등 구조가 선악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사건과 갈등을 다면화시켰다는 것에서 장편의 복합 구조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또 이에 의해 기존의 삽화들이 <일락정기>형 삽화로 변모되면서 새로운 독서물로서 재창조되었다는 것을 중심 구조의 의의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락정기>의 소설 발달사적 위상을 밝혀 보았다. <일락정기>는 한문 소설이면서도 내용 면에서는 국문 소설들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품이며, 전체적으로 식자층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소설의 오락적인 측면을 긍정적으로 수용해 왔던 여성층을 주독자층으로 삼아 보다 상향된 오락성을 구현해 보려 한 작품이다. 다음으로는 <일락정기>의 특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부분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누대기적 구조를 벗어난 본격적인 장편 소설의 하나로 시도되는 과정에서, 내용이나 주제가 아니라 기존 삽화들의 모자이크식 결합이라는, 구성 방식을 통해 유사한 배경하에 있는 소설들과도 차별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Ilakjeongki" is a novel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is novel which consists of 10 series apparently accommodates the various episodes stories preceding it, and particularly seems to have been affected much by "Sassinamjeongki" and "Changseongamuirok". A preceding study on this novel drew much attention for its data on the theory of novel. Regretfully, the study was focused on the effects of the preceding works on the novel. As it stands, this study was aimed at discussing the structures of the novel Intensively and featuring it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f full-scale long stories. Oldman Manwa, the author of "Ilakjeongki", was an intellectual who was keenly aware of the fictitiousness of novel. Based on such a conception, he proceeded to create the work. His participation in novel works suggests that intellectuals' view of novel had changed and that low-class light works was popular with more diverse authors. Oldman Manwa attempted to create such a novel after being impresses with the preceding works "Sassinamjeongki" and "Changseongamuirok". After all, his creation seems to have been motivated by the popularization of novels during the 18th and 19the centuries due to active distribution of novels and expansion of readers'base. Next, the factors causing "Ilakjeongki" to be a long stor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during later Chosun dynasty, readers' preference of longer stories promoted many long family stories, while the Chinese love stories translated or re-named to be read wrer mostly long. The conditions besetting such long stories were addressed by comparing "Ilakjeongki" with Jeokgang and Keundam genres. It was disclosed through this study that not only parts of the episodes but their whole series were accommodated in in "Ilakjeongki" and that they were enlarged or diminished to be accommodated in the novel. Along this way, the novel "Ilakheongki" was made long naturally. The structuring methoods of "Ilakjeongki" can be divided into a mosaic one whereby existing episodes are just combined and a parallel one whereby episodes are structured. Any way, such methods seem to have been attempted to create a complete set of long story. Meanwhile, such methods imply that the author was an intellectual male literatil. The analysis of "Ilakjeongki" was attempted to understand how much the pursuit of a complete long story was achieved. All in all, a potential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for a long story could be recognized in that the ground world depicted in 10 series was presented in a compressed form on the heaven world and that the official structure of class conflicts and the private one between "wife-concubine" would be linked by the medium of "good and evil", having the conflicts developed multi-facetedly. Furthermore, the existing episodes were changed into "Ilakjeongki"-type ones, so that the novel had come to be re-created as new one. Lastly, the status of the novel was illuminated in light of the novel history.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e readers who had been dicghotomized depending on their classes or social restrictions come to be unified in a natural way owing to this novel. Such a finding suggests that the novel which was popular more than its contemporaries was read broadly enough to succeed the Korean-language novels although it w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by the learned intellectural and thus mai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language novel. Next, "Ilakjeongki" may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similar novels in that it was attempted to be a full-scale long story departing from family-lineage stories and using the method of combining not contents or themes but existingepisodes in a mosaic w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