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 연구

Title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 연구
Authors
박성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삼국유사불교설화국어국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udy of the narratives in sam-Kuk Yu Sa(old story book of three nations) has enlarged its scope to include the narratives' relations with classification of narratives, intention of compilation, frames and subjects of narratives and oral narratives. Now,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how narratives formed their ideas in terms of Buddhism, which is this dissertation's main theme. The second chapter of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the contrasts between aboriginal faith and Buddhism, mainly on the structure of conflicts. The section A of the second chapter looked over what aboriginal faith consists of and the section B tried a close analysis about the emergence and the submergence of conflicts and finally the unification of the two, aboriginal faith and Buddhism. The incantory confrontation of Buddhism with aboriginal faith, which is also based on the world of incantation made the conflicts emerge. It is found that aboriginal faith and Buddhism issue their own voices rather than being unified each other through the period of the submergence of conflicts. The Buddhist unification shows that the status of Buddhism is raised without the explosion of the conflicts in the course of clarifying the identification of Gods of aboriginal faith. The third chapter reveals several aspects of people's realisation of truth through the religious experience. Section A treated Faith for Amitabha, Faith for th Avalokitesvara and Buddhist assembly for fortelling people's good and evil by Buddhist scripture(占察法會), accepted largely in the Age of Unified Silla from the Royal family to the common people and section B make an analysis of the narratives concerned in terms of the story of miracle experience and that of self-examination experience. The story of miracle experience mostly means that man experiences the help of God in the time of trouble and achieves the realisation of truth and the story of self-examination experience shows the similar examples of the contents above through the self-examination experience. Narratives form such world of faith in so various wats. The fourth chapter is made up of the narratives revealing the Buddhist truth through symbols. The symbols have merits to represent the profound truth effectively because they show the highly conceptual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exact interpretation of this sumbols is so difficult that it is necessary to trace their meaning with the aid of th religious tradition, cultural backgrounds and the narrative context. The fourth chapter tried to make it clear how the symbols work in narratives,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interpretation of symbols and finally discovered that the flow of narratives became relaxed when symbols are inserted into narratives. The fifth chapter reveal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terary characterization of Buddhist narratives in Sam-Kuk Yu Sa in the basis of all the discussions developed above and examines the effectual representation of ideas by Byddhist narratives. The discussion of each chapter shows the flow of Buddhist history, that is, the acceptance and settlement of Buddhism. This means that narratives reflect history very well. The various methods used in narratives not only display the ideas effectively but also clar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significance in the consistution of an article. As a result, Buddhist narratives in Sam-Kuk Yu Sa are able to find their values in that they are the archtype of Korean old literature, covering widely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그간 삼국유사 설화에 관한 연구는 설화분류, 편찬의식, 체재와 주제, 및 구비설화와 연관성을 살피는 데에까지 그 폭을 넓혀왔다. 이제 불교사상과 관련을 지어봄으로써 설화가 사상을 어떻게 형상화시키고 있는지 점검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본고는 이 점에 착안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토착신앙과 불교 간의 대립을 갈등구조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우선 A절에서 토착신앙에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개괄하고, B절에서 갈등의 표면화, 갈등의 잠재, 토착신앙의 불교적 통합으로 항목을 나누어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했다. 갈등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은 주술적 세계관에 기반한 토착신앙 세력에 대하여 불교 역시 주술로써 대응해가기 때문이다. 갈등의 잠재에서는 갈등이 텍스트 표면에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토착신앙과 불교가 서로 융합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개성을 주장하고 있음을 밝혔다. 불교적 통합에서는 갈등의 표출없이 토착신격의 정체성을 밝히는 과정에서 불교의 위상을 간접적으로 높이고 있다. Ⅲ장에서는 신앙체험을 통해서 사람들이 진리를 인식하게 되는 여러 가지 모습들을 살펴 보았다. A절에서는 통일신라 시대 왕실에서부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수용되었던 아미타 신앙, 관음 신앙, 점찰법회를 개괄하고 B절에서는 대상 설화를 영험담과 수행담의 두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영험담은 주로 인간이 고난상황에서 신의 도움을 체험하고 진리의식에까지 이른다는 내용이고 수행담은 수행정진의 과정에서 道를 깨우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설화는 이런 신앙세계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佛法이 상징을 통해 구현되는 향상을 살폈다. 상징은 고도로 관념적인 내용들을 압축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심오한 진리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확한 해석을 기하기 어려우므로 종교전통, 사회적 문화적 배경, 서사적 문맥을 함께 고려해서 의미를 찾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상징해석의 과정을 통해서 불교적인 의미와 아울러 상징이 서사 안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주목해 보았다. 그 결과 상징이 서사 안에 개일될때 의미파악이 난해해질 뿐 아니라 서사의 흐름이 느슨해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Ⅴ장에서는 위에서 전개해 왔던 논의들을 바탕으로 삼국유사 소재 불교 설화의 역사적 의의와 문화적 특성을 밝혔다. 각 장에서 진행되어 왔던 논의들이 불교의 수용과 정착이라는 불교사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설화가 역사를 잘 반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설화 속에 사용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상을 효과적으로 표출해내었을 뿐 아니라 한 조목의 구성에 있어서 사회적, 사상적 의미를 충분히 살리고 있다. 따라서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는 文, 史, 哲을 아우르는 고대 문학의 典範이라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