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오태석 희곡에 나타난 서술적 화자 연구

Title
오태석 희곡에 나타난 서술적 화자 연구
Authors
김현정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오태석희곡서술화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실주의적 연극이 대다수를 차지하던 한국 연극계에서 반사실주의 희곡이 거론되고 활발히 공연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로, 한국 연극의 서사적 경향은 연극계 전반의 실험적 움직임과 더불어 대두되었으며, 70년대 이후 정부의 '전통의 재발굴' 시책에 힘입어 '전통극 부활', '한국적 연극의 재창조'라는 명제 아래 한국 전통극에 대한 막연한 추종과 서구 서사극 이론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 속에 크게 가속화된다. 오태석은 특히 70년대 중반 이후 한국적 정서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형식의 작품들을 다수 발표하였는데, 이러한 창작 방향의 전환은 사실주의적인 극작법에 대한 반발로부터 비롯되었다. 오태석은 한국인 고유의 심성과 삶의 근원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현대 희곡의 일반적 경향인 서사성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개방희곡의 한 특성으로서 서술적 화자를 등장시켜 다양한 극 형식과 독창적인 극 구조를 실험하였다. 그의 희곡에서는 서술의 관점을 지닌 저술적 화자가 등장하여 사건과 적당히 분리된 위치에서 발언을 행함으로써 연극의 허구적 체계를 노출하고 극 진행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다수 지적된다. 오태석 작품에서 서술적 화자의 양상은 관객과의 거리 및 극과의 거리를 염두에 둘 때 화자의 위치와 역할에 따라 극 전면에 노출된 서술적 화자, 진행자로서의 서술적 화자, 극 중 인물로서의 서술적 화자, 은폐된 서술적 화자로 나타난다. 극 전면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서술적 화자는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려는 적극성과 서술성이 두드러지며 극 중 극 형식을 빌어 자유자재로 변신을 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행사한다. 이러한 양상의 서술적 화자는 극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언술에 깊이 의존하므로 극은 서술적 화자의 서술 층위와 극적 층위가 교차되는 구조를 보여주었다. 진행자로서의 서술적 화자는 서사적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극과 관객 사이의 중개자적 역할을 수행하며 전지적인 권한으로 극 진행에 관여한다 이 경우 극의 구조는 서술적 화자의 나레이션과 독려된 극이 병렬되는 형식을 띠었다. 극 중 인물로서의 서술적 화자는 극과 상당히 밀착되어 다른 등장인물들과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사건 전개에 깊이 개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서술적 화자는 역할 변화를 통해 존재론적인 전환을 이룸으로써 관객에게 통과의례적인 체험을 선사하는데, 극은 서술적 화자의 역할이 고정되어 있는 층위가 서술적 화자의 역할 변화가 이루어지는 층위를 앞뒤로 감싸고 있는 구조를 보였다. 은폐된 서술적 화자는 가장 연극적인 형태로 극 진행을 담당하는 인물의 개입 없이 연극적 장치들이 각 장면을 전환하거나 연결하는 경우이다. 조명, 소리, 무대 장치 등으로 가장된 서술적 화자는 몽타쥬 효과로서 시공이 다른 장면들의 통합과 새로운 의미를 얻어내었다. 이상에서 볼 때 서술적 화자는 첫째, 극 서술에 대한 시점을 형성함으로써 희곡의 내적 의사 전달 체계를 중개적 의사 전달 체계로 전환시킨다. 둘째, 서술적 화자는 연극성을 노출함으로써 극적 환상을 파괴하고 관객이 직접 참여하고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소외효과는 현실적 판단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고양된 극적 상상력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서구 서사극 이론과의 차이를 가진다. 세째, 서술적 화자는 시공을 재구성하고 장면의 연결과 전환을 해결한다. 네째, 서술적 화자는 작품의 호흡을 조절함으로써 극의 긴장과 이완을 조정한다. 오태석 희곡에서의 서술적 화자는 폐쇄희곡의 제약을 극복하고 광범위한 소재의 수용과 시공의 확대를 가져왔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논리적 질서를 넘어서 초월적, 본능적인 세계, 관객과 한데 어울어지는 한마당의 놀이를 추구하는 오태석의 통합적인 세계관과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the aftermath of 1960, anti-realistic play was an absolute trend in Korea. The epical tendency of Korean play was originated from the favor of anti-realistic play and accelerated by the policy of Korean government. 're-finding tradition'. Tae-sok oh, a Korean play writer, showed several plays based on Korean emotion in the mid 1970s. In the course of finding Korean emotional basis, he adopted the epical tendency which constitutes a characteristics of modern play. He experimented various forms of plays by putting descriptive narrators in his plays. The descriptive narrator usually plays an improtant role in his plays. It speaks at the objective point of view and thus, makes spectators to realize that the story is a fiction. The descriptive narrators in his plays are characterized into one of the followings, a recognizable descriptive narrator, a descriptive narrator as a commentator, a descriptive natttor as a cast, and an unrecognizable descriptive narrator. The recognizable narrator induces spectators to participate eagerly in the play. It changes its role throughout "the plays within the play". Because the speech makes a progress in the play, it creates an unusual structure of play that narration and acting are standing in a line. The descriptive narrator as a commentator makes a progress in the play by the absolute power, and connects acting on the stage and spectators. In this case, narration and acting which stand in a line, make progresses two different stories respectively. The descriptive narrator of a cast becomes an important cast who is correlated to other casts. In this case, it makes a unique structure by changing its role in certain parts of play. The unrecognizable descriptive narrator is the one that connects scenes by using light and effect for example. In this case, it can create a "montage effect". Followings can be concluded. First, the descriptive narrator has a "telling" point of view. Second, it destroys the dramatic illusion of spectators, and leads them participate into the plays. As a result, 'Verfremdung' promotes their imagination power instead of actual judgement. Third, it restructures time and space. Furthermore, it connects and changes scenes. Fourth, it controls speed of play. The descriptive narrator of play of Tae-sok Oh is extremely valuable in which it extends matter, time, and space. It also reflects the united view of Tae-sok Oh's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