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4 Download: 0

한국 귀향소설 연구

Title
한국 귀향소설 연구
Authors
박혜원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하근찬귀향소설이범선이호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귀향 소설은 대체로 일제 치하의 1920,30년대와 해방 직후의 소설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대부분이 정치적 혼란으로 심화된 궁핍상을 다루었으며, 깊은 향수에 잠긴 다는 데에 촛점을 맞추어 현실의 실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깊이 있는 성찰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그러나 일제 치하에서의 유이민 문제와 식민지의 조국 현실을 리얼하게 보여주려는 노력과, 해방 후의 정치적 혼란상에서 겪는 귀향인들의 삶의 절실한 문제는 많은 공감을 주었다. 이러한 문학사적 배경에서 나타난 전후 귀향 소설은, 전쟁으로 인한 상실감의 원형을 고향으로 보고 그 안에서 인간 내면의 구심점을 찾아 삶의 무의미성에 대한 자각과 극복 의지를 형상화한 점이 그 이전의 귀향 소설과 구별되며 이점은 나아가 분단문학 통일문학으로 이어진다. 본고에서는 이호철 이범선 하근찬을 중심으로 전후 귀향소설의 양상을 공간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 세 작가의 귀향 소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전쟁이라는 외부 상황에 의해 탈향할 수 밖에 없었던 인물들이 고향 상실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출발의 공간과 방향 상실의 공간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출발의 공간으로 인식한 소설은 이호철의「탈향」,「나상」으론 이 작품에서는 고향 상실에 얽매이지 않고 남한 사회를 하나의 새로운 삶의 장으로 인식하는 인물들의 적극적인 삶의 의지가 드러난다. 방향 상실의 공간으로 인식한 소설은 이호철의「무궤도 제 2장」,「파열구」,「먼지 속 서정」으로 월남하여 정착한 피난지가 중심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 작품은 고향을 잃은 실향민들이 삶에 정착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내부 세계로서의 집의 의미를 의식하고 있는 작품은 Ⅲ장에서 다루어지며 이는 외부세계에 비해 공간이 축소된다. 내부세계는 집공간으로 구체화되며 인물들의 내면 의식으로 심화된다. 또한 긍적적인 공간과 부정적인 공간으로 나뉘는데 집공간의 긍정성을 보여주는 작품은 인물들이, 임시적인 거주공간을 떠나온 고향과 어느정도 동일한 의미로 인식하면서 적응하고 안주하려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러한 거주와 정착시도는 집 공간이 지닌 본원적이고 긍적적인 의미를 되찾으려는 인물들의 의지로 나타난다. 작품은 이호철의「탈각」,「이단자 4」이다. 집공간이 부정적으로 나타나는 작품들은 집이 단순한 처소의 의미로 한정되며 집공간의 가족들 역시 흩어진다. 이러한 양상을 다룬 작품은 이범선의「오발탄」,「자살당한 개」, 이호철의「어떤 부자 이야기」,「타인의 땅」,「무너앉는 소리」,「큰산」이다. Ⅳ장에서는 이와 같은 공간의식을 통한 전후 귀향 소설의 현실 대응 양상을 살펴보았다. Ⅱ장과 Ⅲ장을 통해 드러나듯이 외부에서 내부로의, 즉 탈향에서 현실로의 공간의식의 협소화 과정은 작품의 미래 지향성 즉 귀향의 염원과 회복으로의 갈망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는 실향민들의 상처의 깊이와 치유 극복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이에 대한 세 작가의 현실 대응 양상이 Ⅳ장에서는 귀향 본향으로의 모색공간으로 드러난다. 이호철은 고향에의 그리움에만 집착한 감상주의와 결별하곤 단독자로 선 작가적 위치에서 뿌리 찾기라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러한 행로의 모색은 탐색과 점검으로 나타나고 이점은 그후 통일의지로 심화된다. 이범선에게 귀향은 성지 재생의 공간 환원으로서 인간의 근원적이고 궁극적인 터전의 회귀로 나타난단. 하근찬의 작품에 나타나는 귀향은 복귀와 회복의 공간으로의 돌아옴으로 전쟁 후 삶의 무의미성을 자각한 인물들의 모습과 극복의지가 담겨있다. 결국 1920.30년대, 해방직후의 귀향 소설과 전후의 귀향 소설은 시대성이라는 문학적 배경을 달리함으로써 그 양상이 조금은 다르게 나타난다 하더라도 인물의 내면 세계에서 <고향>이라는 하나의 일치점을 향하여 끊임없이 나아갔다는 점에서 같은 문학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Korean homecoming novels generally appeared during 1920's and 1930's 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Most of them just handled the destitution during those periods aggravated by political anarchy and focused on the deep nostalgia of those times, therefore could not advance to profound contemplation to solve the practical problems in reality. However, their efforts to show problems of immigration and displaced people under the rule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realistically and to describe urgent problems in lives of people coming back home in the situation of political anarchy after Liberation gathered the sympathy of many people. Post-War homecoming novels, which appeared in above literary backgrounds, are distinguished from earlier homecoming novels in that they consider home as the prototype of feeling of loss and by searching for the core of men's inner selves, they shape the awakening to the meaninglessness of life itself and the will for overcoming that problem. These aspects are also continued in literature of Partition and literature of Unification. This paper analizes the Post-War homecoming literature, especially those of H0-chul Lee, and Kun-chan Ha by applying concept of space and examines how the homecoming novels of these three writers present their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chapter, the spac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space of starting and the space of wandering and staraying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loss of home by the characters who could not but leave their home by the external force - the war. The space of starting is described in 'Leaving Home'. 'Nude Figure' by Ho-chul Lee, The characters in these novels don't stick to the loss of home but perceive the South Korean society as a new background of their lives and show the active will of life. On the contrary, in 'The Trackless Part Ⅱ', 'the Broken Hole', 'The Lyricism In the Dust' by Ho-chul Lee, the space is described as that of wandering and straying and the central spaces for these novel are where the refugees settles after leaving their home in north. These novels describe how they who lose their home, can't settle in their life and wander desperately. The works which perceive the meaning of 'house' as a inner world, are handled in chapter Ⅲ and the space in these works are rather contracted space, compared with external world. Inner world is embodied as the space of house and then developed as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Furthermore, this space is divided into positive space and negative space. In the works which show the positiveness of space of house, the characters somewhat identify their temporary shelter with their hone and try to adjust themselves and to settle. These exertion for living and settlement is demonstrated as the characters' will to recover the original and positive meaning of the space of house. The examples are ' The Exuviation', 'The Heretic 4' by Ho-chul Lee. Un the works which describe the space of house as negative one, the house is limited simply within the basic meaning of lodging and the members of the family in that house are also scattered. 'The Misloaded Bullets', 'The Dog Which Was Suicided', by Bum-sun Lee, 'A Story of a Father and Son', 'The Land of Others'. 'the Crumbling Sound' and 'The Huge Mountain' by Ho-chul Lee are the examples of this category. In chapter Ⅳ, this paper mainly examines how the Post-War homecoming novels face and handle the reality through the consciousness of the space. As already shown in chapter Ⅱ and chapter Ⅲ, the process of constricting the consciousness of space from outside to inside, namely, from the loss of hone to reality much more accelerates th future-orientedness of these works, that is, the wish for returning home and thirst for recovery. In chapter Ⅳ, the way each three writer copes with the reality is shown as the space of searching for the way to return home. Ho-chul Lee parts from the simple sentimentalism which only cling to the nostalgia towards home and try to find the root as a single man. This efforts are presented as searching and checking and are developed as will for unification. For Bum-sun Lee, returing home means the reduction to the space of Holy Land and rebirth and also it is presented as returing to the original and ultimate grounds. For Hun-chan Ha, returing hone means the returning to the original and ultimate grounds. For Kun-chan Ha, returning hone means the return to space of restoration and recovery. He describe the characters who understand the meaninglessness of life after war and the will for overcoming it. Ultimately, although the homecoming novel of 1920's, 1930's and just after liberation and Post-War homecoming novel show the slight difference on account of the different literary background of times, they have identical literary view in that they both advance continually to one point - home - in the insides of charac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