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8 Download: 0

여창가곡의 노래선율과 해금선율비교연구

Title
여창가곡의 노래선율과 해금선율비교연구
Other Titles
STUDY ON RELATION BETWEEN THE SONG MELODY AND THE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OF KOREAN WOMANS' TRADITIONAL SONGS : WOORAK, HWANGYERAK AND GYERAK
Authors
김윤이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 prepare this thesis , I have examined intensively on Woorak, Hwangyerak and Gyerak among Korean Women's Traditional Song(Lied). Wi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ve found what the song melody has to do with the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and how much similar the both kinds of melodies are to each other as follows; 1. With the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part of the melody of the song and the Haegeum accompaniment on the above mentioned 3 kinds of songs, it is revealed that some of them go same each other with the following ratio ; Woorak : 59%(119/203) Hwangyerak : 60%(117/195) Gyerak : 53%(87/165) 2. The above 3 kinds of songs have some parts of song melody repeating more than 2 times respectively, among which Woorak and Gyerak have 8 parts of song melody, while Hwangyerak has 7. The song which has repeating melody part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and the one has two accompaniment melodies while the other has one In case of the song melody which has two Haegeum accompaniment melodies, the result shows there are 3 out of 8 on Woorak , 4 out of 7 on Hwangyerak and 6 out of 8 on Gyerak, whereas the rest of them have only one accompaniment melody. 3. Through the relevancy analysis among the 3 kinds of songs, it is revealed that the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goes with the song melody perfectly same in Chpt 2 and 4 of Woorak, and the song melody also goes very similarly on main part of melody with only a little difference from increase and decrease or omission of grace note, and the same case goes for Chapt 1,2 of Woorak, Hwangyerak, and Chpt 4 of Hwangyerak, Gyerak, Chpter 5-3-11 of Hwangyerak and Gyerak. 4.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song melody and the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of the above 3 kinds of songs are classified into 3 types which are called as the same melody type with same rhythm and melody, the similar melody type with same melody but different rhythm, and the different melody type with same rhythm but different melody. Following is the result of research showing percentage of the 3 melody types by the above 3 kinds of songs ; Song Same melody Different melody Similar melody Woorak : 14% 8% 78% Hwangyerak : 9% 1% 90% Gyerak : 5% 6% 89% 5. With the result of research on main melody note relating among the 3 kinds of songs, the following data are also revealed ; Chpt 2 and 4 of Woorak : 22% different(6박/27박) Chpt 1 of Woorak and Hwangyerak : all same Chpt 2 of Woorak and Hwangyrak : 4% different(1박/27박) Chpt 4 of Hwangyerak and Gyerak : 7% different(2박/27박) Chpt 5 of Hwangyerak and Gyerak : 17% different(7박/47박) As pointed above item 4, the relation between the song melody and the Haegeum accompaniment melody of the 3 kinds of songs is shown with 3 different types such as being same, different, similar and therefore,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go together with various types of melodies. Judging from the inte-relation among the 3 kinds of songs as indicated above item 5, it is also concluded that Hwangyerak is basically derived from Woorak and Gyerak in view of the followings - Melody of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of Chpt 1,2 of Woorak and Hwangyerak, and Chpt 4,5 of Hwangyerak and Gyerak is almost same. - Hwangyerak is usually sung between Woorak and Gyerak.;우리나라 성악곡의 장르에는 정가와 가사 시조를 비롯하여 판소리 잡가 입창 민요 범패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런데 관악기와 현악기 반주가 동반되고 그 관현악 반주선율위에 시조시를 얹어 연창되는 곡은 유일하게 가곡뿐이다. 정가의 가사나 시조의 경우에는 장구반주만으로 족하며 시조와 같은 경우, 장구도 갖추지 못할 경우에는 무릎장단으로도 무관하다. 이에 비해 가곡의 반주악기로 가야금, 거문고, 세피리, 대금, 해금, 장구는 반드시 편성되며 단소와 양금은 형편에 따라 포함되며 각 악기들은 하나씩 편성함을 원칙으로 한다. 가사나 시조가 간혹 선율악기들의 반주가 취해질 때에는 그 반주 악기들은 가사창이나 시조창의 선율을 따라가는 수성가락을 연주하지만 가곡의 경우에는 이와 다르다. 즉 가곡에서는 반주 악기군이 연주해야 하는 대 여음과 중 여음이 있고, 가곡의 진행에 따른 부분적으로 노래선율과 4도 혹은 5도 차이가 나게 연주하며 때로는 전혀 다른 선율을 연주하기도 한다. 또 반주 악기들끼리도 각각 다른 선율 진행을 하여 노래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가곡의 반주는 수성가락이 아닌 노래와 동일함과 상이함을 골고루 갖추어 조화로운 선율진행을 하면서 노래선율을 꾸며준다. 그리하여 가곡에는 관현악기들의 반주를 반드시 필요로 하며 노래를 돕는 관계라 하겠다. 그 동안 가곡은 고 악보 해독과 노래선율 부분에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반주악기의 선율 특히 해금선율에 관한 연구는 적었다. 따라서 본 고 에서는 가곡에서의 노래선율과 해금반주 선율이 얼마나 유사한지, 노래선율에 따른 해금반주선율은 어떤 구성으로 되어있는지 알아보았다. 앞으로 연구될 가곡은 여창가곡의 우락, 환계락, 계락 으로 3 곡의 노래선율에 대한 반주악기로서의 해금반주선율을 연구해 보았다. 해금반주선율과 노래선율을 비교하면서 두 선율간의 주요 음과 상이 음 그에 따른 동일선율형과 유사선율형을 살펴보았고 우락과 계락에서 파생된 환계락 등 3 곡간의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첫째, 우락, 환계락, 계락의 노래선율과 해금선율의 주요 음을 살펴본 결과 우락은 63%, 환계락은 60%, 계락은 53%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둘째, 우락과 환계락, 계락에는 각 곡마다 2회 이상 반복되는 노래선율형들이 있다. 그에 따른 해금선율은 노래선율 하나에 한 가지 반주선율을 가지는 것과 두 가지 반주선율을 가지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다. 셋째, 3 곡의 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살펴본 결과 우락은 2장과 4장, 우락 초장과 환계락 초장, 우락 2장과 환계락 2장, 환계락 4장과 계락 4장, 환계락 5장과 계락 5장은 해금반주선율이 완전 동일했고 노래선율은 간음과 장식음의 첨가 혹은 생략으로 차이가 있을 뿐 주요 음이 같아 대부분 유사한 진행을 하고 있다. 넷째, 각 곡 마다 노래선율과 해금반주선율은 리듬과 주요 음이 같은 동일선율형, 그리고 리듬은 같지만 주요 음이 다르게 진행되는 상이선율형이 나타났다. 다섯째, 우락, 환계락, 계락 각 곡의 연관성이 있는 장을 주요 음표로 비교한 결과 우락의 2장과 4장의 주요 음의 구성이 같음을 알 수 있었는데 두 장은 각 27박 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당부분의 주요 음이 동일하게 진행하나, 1각의 3, 6, 7, 8, 11박과 2각의 4박 총 6박 22%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우락2장과 환계락 2장의 1각 13박, 총1박이 1%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환계락 4장과 계락 4장의 1각 3박, 2각 8박 총2박으로 7%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계락 5장 환계락 5장의 1각 12박, 3각의 6, 7, 8, 13박과 4각 1, 2박 총 7박으로 17%가 상이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