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尹渼瑄-
dc.creator尹渼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91-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조선후기에 가사 담당층이 서민층으로 확대되면서 형식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으며 그 의미가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단순한 형식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장르의 성격 변모와 관련하여 역사적 맥락 위에서 해명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그간에 이루어진 운율론의 연구성과를 적극 수용하여 방법론을 확고히 하는 데서 논의를 출발하였다. 논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논의의 전제적 측면으로, 조선후기 서민화지향가사의 위상을 살피고 논의에 적합한 대상자료를 선정하였다. 조선후기 서민화지향가사는 조선후기 가사 변화의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담당층 확대의 전범이라는 사실에서 그 위상을 찾을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형식연구는 대상과 방법 및 그 결과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이에 운율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 것이다. 본 고는 기존 형식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작품에서 드러나는 의식과 세계관이 서민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표현과 관련 서민미학에 기반 하여 형상화하고 있는 일련의 작품들을 서민화지향가사로 범주화하고, 운율적 접근이라는 방법론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자료를 한정하였다. Ⅲ장에서는 이렇게 선정한 자료를 중심으로 서민화지향가사 운율의 전반적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두드러지는 운율적 변주를 유형화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동시대 양반사대부가사와 비교해 볼 때 서민화지향가사의 운율 양상이 의견상 크게 다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양자간에는 분명 질적으로 다른 차이가 존재하는데, 이를 규명하려면 운율적 변주차원에서 보아야 한다. 서민화지향가사에서 두드러지는 운율적 변주는 행의 통사적 완결성의 약화, 음량증가에 따른 보격의 속성 변화, 다른 보격으로의 교체 등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체계화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서민화지향가사에서 왜 이러한 운율적 변주가 일어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우선 서민층 향유장르의 표현방식을 차용함으로서 운율적 변주를 형성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운율적 변주의 일부를 통해 직접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부분적인 차원의 것이다. 반면 모든 운율적 변주는 반행의식을 표면화시킴으로서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운율적 변주에서 뿐만 아니라 작품 전반을 통해서도 특징적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이처럼 서민화지향가사에서 반행의식이 표면화되고 있는 이유는, 바로 서민층의 운율의식이 2보격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표면화되는 반행이 그 크기를 확장해 가는 양상도 서민층 운율 변주패턴과 동일한 것이다. Ⅴ장에서는 변주의 의미와 시가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서민화지향가사의 운율적 변주를 통해 볼 때 가사의 장르적 성격이 변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서민화지향가사가 작품의 전반에서 양반사대부가사와는 다른 율동 특성을 보인다는 사실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장르적 성격 변모는 가사의 기록방식을 통해서도 살필 수 있다. 한편 운율적 변주는 서민적 미의식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서민층의 의식과 세계관이 운율과 직접적인 상관아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가사의 일반적인 미적 범주를 넘어서 장르의 확산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조선후기 서민화지향가사의 운율적 변주가 단순히 형식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4보격과 2보격이 혼효되면서 가사장르의 성격변모와 관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나아가 장르확산과 연결되면서, 시가사적으로는 넓은 범주의 가사문학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orms were changed according as people who enjoyed Gasa has been extending to Seomin class, and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this. This is not the formal problem but the very important thing since the character of Genre has been changed each ages. To do this, I accepted positive research completion of metrics and I put the start point of discussion on firm methodology. The process of discussion is as follows : In chapter Ⅱ, this study considers the status of Gas in terms of literature has been changed.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Seomin class was so assimilated to Gasa that often discussed the subjects of it. The most important reason why forms of Gasa were changed is Gasa had belonged to Seomin class not just Yangban-Sadaibu(양반사대부). But the existing study had a lot of problems on materials, method, and the result of it, so the necessity of study on rhythm had been suggested. This thesis defined Gasa which intends to be assimilated to Seomin class as literary formation which is based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Seomin class. Since the spirit which is shown by writers and view of the world are inclining to characters of Seomin. I selected the materials considering the special qualities of methodology, the access to rhythm. In chapter Ⅲ, I investigated generally rhythmic aspects of Gasa which intends to be assimilated to Seomin class and considered distinctive rhythmic variation systematically. Compared with YangBan-Sadaibu-Gasa of the same age, there is no distinct difference. But in quality there are clear differences, so we have to investigate it in the aspect of rhythmic variation. Among rhythmic variation, this study systematizes three types. (the weekened syntactical conclusion of line, the change of meter according to increase mora than 4-mora, and the change into other meter) Chapter Ⅳ was concerned with the reason why those rhythmic variations happen. Most of all, I could know rhythmic variation had been formed by borrowing the way of expression of Genre that was enjoyed by Seomin class. This could be detected directly through the part of rhythmic variation. On the other hand all the rhythmic variations are due to exposing the conscioussness of half-line, we can see such kinds of characters not only rhythmic variation but also the whole of works. Also, these characters are due to dimeter in rhythmic consciousness of Seomin class. The range of the line which was once half-line has extended is same as pattern of rhythmic variation in Seomin class. Chapter Ⅴ dealt with the meaning of variation and the significances in the history of Si-ga(시가). We can see that the characters of Gasa Genre have been changed through the rhythmic variation of Gasa which intends to be assimilated to Seomin class. As a proof of it, I can present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s of rhythm compared with YangBan-Sadaibu Gasa in the range of works of Gasa which intends to be assimilated to Seomin Gasa. Besides, we can know the changes of characters in Gasa Genre through how to record Gasa. In addition, I confirmed rhythm has direct relations with the consciouness of Seomin class and the view of the world. This is connected with the extension of Genre beyond the range of aesthetic consciouness in Gasa. In conclusion the rhythmic variation of Gasa which intends to be assimilated to Seomin class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characters in Gasa Genre because of mixing between tetrameter and dimeter. This study is connected with the extension of Genre. As a result of it, we know this study has the important significance to understand Gasa Literature was extended synthetic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서론 = 1 Ⅱ. 조선후기 서민화지향가사의 위상과 자료 = 6 A. 조선후기 서민화지향가사의 위상과 운율연구의 필요성 = 6 B. 조선후기 서민화지향가사의 성격과 대상자료 = 14 Ⅲ. 서민화지향가사 운율의 전반적 양상과 변주 유형 = 24 A. 서민화지향가사 운율의 전반적 양상 = 24 B. 변주의 유형 = 33 1. 행의 통사적 완결성의 약화 = 34 2. 음량증가에 따른 보격의 속성변화 = 40 3. 다른 보격으로의 교체 = 46 Ⅳ. 서민화지향가사의 변주형성 동인 = 65 A. 서민층 향유장르의 표현방식 차용 = 66 1. 반복과 병렬 = 68 2. 열거 = 85 3. 관용적 표현 = 93 B. 서민층 운율성향의 표면화 = 102 1. 반행의식의 표면화 = 102 2. 서민층 운율 변주패턴의 표면화 = 109 Ⅴ. 변주의 의미와 시가사적 의의 = 113 A. 가사의 장르적 성격 변모 = 113 B. 서민적 미의식의 문학적 형상화 = 125 C. 담당층 확대에 따른 운율적 변주의 시가사적 의의 = 139 Ⅵ. 결론 = 146 참고문헌 = 150 ABSTRACT = 1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933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후기-
dc.subject서민화-
dc.subject지향가사-
dc.subject운율적 변주-
dc.title조선후기 서민화 지향가사의 운율적 변주와 그 의미-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i, 15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