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부모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부모참여 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Childcare'
Authors
임우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공동육아협동조합부모참여신촌청주지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의 급격한 산업화에 따르는 기혼 여성의 취업율 증가 추세는 아동 보육시설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한편으로는 핵가족화의 심화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형제가 적거나 전혀 없게 되고 자녀 양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던 조 부모와 동거하지 않게 되면서 어머니의 취업 유무와 상관 없이 자녀의 사회성 발달 등의 이유로 또래와의 집단경험을 하며 자라기를 원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까지의 보육에 관한 기존연구들은 취업모 중심의 보육문제 해결과 보육시설 확충에만 집중되어 있어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아동양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보육욕구에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리고 새로운 요구에 따라 최근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육 방식에 관해서도 관심을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새롭게 발생하고 있는 보육욕구와 사회 구조적 배경을 살피고 새로운 보육 방법이 과연 어떠한 질적 향상을 모색하고 있는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기울이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부모가 중심이 되어 조합을 결성하여 공동육아의 터전을 마련하여 아이를 함께 키우는 장으로서 재정, 운영은 물론, 교육내용까지도 조합원들의 결정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육아협동조합'을 선정했다. '공동육아협동조합'의 조직적 특성이며 아울러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부모참여'의 측면을 중심으로 사례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육아협동조합'은 정부주도의 보육시설들이 구빈적 차원에 머물러 있어 저 소득층외의 다른 계층이 대다수 방치되고 있고 보육시설 확충에만 급급해 있는 현 실정을 극복하고자 했다. 핵가족화의 심화와 같은 변화로 인해 우리 사회에서 아이들을 바람직하게 키우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다양한 가치관 속에서 아이들의 양육을 개개인이 주체적으로 해결하기 힘들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부모들이 힘을 모아 공동작업으로 해결하자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것은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부모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새로운 보육욕구가 대두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공동육아협동조합 보육방식의 질적 향상을 위한 '부모참여'는 어린이집 설립을 위한 초기 단계에서는 대체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들어 아버지의 참여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물론 초기 단계의 아버지의 관심과 참여도 직접적인 자녀 양육과 관련되기 보다는 시설설비나 공간, 환경조성을 위한 영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것은 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성별역할 분리의 모습이 공동육아협동조합의 부모참여 활동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더우기 아버지의 참여도가 낮음에 관해 남성 조합원은 물론 여성조합원들도 관대하게 받아들이고 있어 공동육아협동조합 설립목표와는 달리 양육에 대한 책임을 어머니에게만 한정짓는 성별 고정관념이 조합 운영과정에서 극복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와 부모간의 상호교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의견제시와 운영 전반에 대한 결정 과정 대한 기회와 참여의 통로가 교사보다는 부모에게 훨씬 더 많이 열려 있었다. 이것은 '부모참여'의 확대가 지나친 '부모간섭'으로 왜곡된 결과라고 분석할 수 있다. 넷째, 조합 운영과정상의 몇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조합원의 예능교육과 인지교육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동육아협동조합의 설립취지에 위배되는 것으로 전반적인 사회풍토에 타협해 나갈 수 있는 우려를 가능하게 한다. 이밖에도 어린이집 공간의 지속적인 확보를 위한 재정적인 어려움과 조합 가입을 위해 갖추어야 할 적지 않은 출자금의 문제가 가지는 계층적 한계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보육문제의 접근에 있어 시설 확충에만 한정되어 있는 기존의 학문적 관심을 극복하고 보육욕구의 최근의 변화와 보육의 질적 측면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을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보육의 역할을 단순히 맡길데 없는 아이의 보호를 위한 장에 국한시키지 않고 오늘날 우리 가족이 안고 있는 고립화, 소외, 가족 이기주의의 문제 등의 해결이 가능한 가족 발달의 장으로 새롭게 인식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새롭게 등장한 다른 여러가지 보육 방법에 대한 관심을 갖지 못해 본 연구 결과가 그 밖의 다른 보육법과 비교 검토 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진다.;As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have increased, many employed women having children confront difficulties to bring up children. The need of childcare for employed women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However, childcare services for the employed women have not been sufficient, despite of the incresing demand of childcare. Childcare system has been focused on the simple daycare services without any qualitative improvement. Previous studies on the childcare system have mostly been focused on the expansion of childcare services. They have disregarded various methods and shapes of childcare. They have also paid no attention to various demands of par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ew ways of childcare based on the parental needs in o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This study examines the 'Cooperative Childcare' as a new emerging way of chi ldcare. ' Cooperative Childcare' is characterized by parent participation.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process of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ooperative Childca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oprative Childcare as well as the observation by the researcher. Members of 'Cooperative Childcare' pointed out that the quality of childcare depends on the parents' participation. But all parents do not have prticipated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the level which fathers participated in decision-making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s. In the beginning, parent participation in the childcare was an important issue and showed relatively active participation by both fathers and mothers. However, fathers recently have not participated in the childcare and the burden of childcare has been on the mothers' shoulder. Unlike the original idea, the stereo type of sex role in childcare has not been overcome. Moreover, there was a distortion of parent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icision-making. Distortion means that parents' intervention to the childcare program was so immoderative that teachers and caregivers in the Cooperative Childcare were not able to maintain good real tionships with parents. It is also found that there were financial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ooperative Childcare. Besides, there was an increasing demands of parents to adopt new progams focused on educating arts and knowledge. One of the problems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is that the lower class children may not have a chance to be accepted to the Cooperative Childcare due to the enterance cost of the childcare. However,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Childcare believed tha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to the childcare has mostly focused on the services for children of lower class and thus others were excluded in the childcare policy. In conclusion,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emerging demand of childcare is not just establishing more childcare services but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The quality of childcare is mainly depending on the parent participation as well as the need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therefore expands the concept of childcare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childcare is not just protecing children but the quality of care should be the main concern of the childcare servi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