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90 Download: 0

국어의 음절구조와 음운규칙

Title
국어의 음절구조와 음운규칙
Other Titles
(The) Syllabic-Structure and Phonological Rule in Korean
Authors
김수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국어음절구조음운규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syllabic structure in Korean and to show phonological phenomena happen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syllabic structure. In chapter Ⅰ, I proposed that it is natural to explain the phonological phenomena in Korean by describing the syllabic structure. I divided the subject into two subsets: one deals with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yllabic structure and phonological phenomena as seen through consonantal cluster reduction and neutralization. The other deals with the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syllabic structure and phonological phenomena, namely vowel lenthening, yeon-eum, and aspiraion. In chapter Ⅱ, I showed the definition of the syllabic and the type of syllabic structure. This thesis proposes three-branches of syllabic structure in Korean which are outlined in chapters Ⅲ and Ⅳ. I showed the restriction of the syllabic structure which is the caus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e restrictions of the syllabic structure are as follows: In the onset, all consonants can be distributed except /6/. In the nucleus, only vowels can be distributed. In the coda, 7 consonants; /k, n, t, l, m, p, h,/ can be distributed. In the onset and coda, only one consonant can be distributed as one syllable. In chapter Ⅲ, I discussed how consonantal cluster reduction and neutralization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syllabic structure. In the case of consonantal cluster reduction,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the syllabic structure, when there are over two consonants they can not be distributed as one syllabic. To explain for their, I classified the three types of consonant cluster reduction: coda, complex-wore, and tensification of the consonant cluster reduction. I proposed a three-branch for the complex-word. On neutralization, I explained why I feel the implosive should be separated from neutralization. In chapter Ⅳ, I discussed lengthening, yeon-eum, aspiration. In vowel-deletion, it is not related to lengthening. There is not a accurate syllabic structure type for lengthening and aspiration. Yeom-eum is best suited a three-branches syllabic structure. Finally, I concluded with the fact that these phonological phenomena happen with the restriction of the syllabic structure, and that the syllabic unit is a good explanation for this.;본고는 국어의 음운현상과 음절의 상관관계를 밝혀 국어에 있어서의 적절한 음절구조가 어떠한 것인지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음절과 음운현상의 상관관계에 의해 음운현상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음절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자음군단순화와 중화를 하나의 장으로 묶어서 설명하며, 음절구조로 설명될 수 있는 장음화, 연음화, 기음화를 장을 달리하여 설명한다. 본고의 목적은 국어가 어떤 음절구조를 지니고 있는지를 각 음운규칙을 통해서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며, 음운현상이 음절구조의 제약으로 발생하는 것임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Ⅱ장에서는 음절의 개념과 음절구조의 유형을 개관한다. 음절구조의 세 유형(삼지적 구조, 좌분지 구조, 우분지 구조)과 이에 대한 여러 학자의 논의를 검토하고, 세 유형(삼지적 구조, 좌분지 구조, 우분지 구조)으로 음운규칙과 국어의 음절구조의 관련성을 제시한다. 음절구조제약이 음운현상에 대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국어의 음절구조제약은 다음과 같다. ① 음절초에는 'ㅇ'을 제외한 모든 자음이 올 수 있다. ② 음절핵은 모음 만이 올 수 있다. ③ 음절말에는 7개(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자음이 올 수 있다. ④ 음절초나 음절말에 하나의 자음 만이 올 수 있다. Ⅲ장에서는 자음군단순화와 중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장에서 살펴본 음절구조 유형을 각 음운규칙에 적용하여 음운규칙을 통한 국어의 음절구조 유형을 밝힌다. 자음군단순화에서는 3가지 경우로 나누어 논의한다. 그 중 음절말에서 나타나는 자음군단순화와, 경음화와 자음군단순화가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특정의 음절구조 유형과는 무관하다는 것을 밝혔다. 그러나 복합어에서의 자음군단순화를 통해 삼지적 구조가 국어의 음절구조 유형이라는 것을 밝혔다. 중화는 음절말에 7개의 자음 만이 올 수 있다는 음절구조제약을 토대로 하여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국어의 장음화와 연음화, 기음화를 논의한다. 장음화는 크게 용언과 체언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용언의 경우 모음탈락은 음장의 교체와는 무관하게 발생한다는 것을 밝혔다. 'ㅎ/ㅅ' 불규칙 용언과 '으'탈락에 이은 장음화의 과정을 통해 자음의 탈락이 장음화의 동기가 되는 것으로 이해했다. 연음화의 경우는 음절도출 과정을 통해 삼지적 구조가 적절한 음절구조임을 제시하여, 연음화를 통해서 국어의 적절한 음절구조 유형이 삼지적 구조임을 확인하였다. 연음화의 예외로 보아왔던 'ㅎ'불규칙 용언의 경우는 음운규칙의 적용 순서가 상이함으로 야기되는 현상으로 이해했으며, 연음화의 예외 현상이 아닌 것으로 보았다. 기음화는 음절말의 'h'가 음절초로 이동하여 음절초 자음을 기음화하는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국어의 많은 음운현상이 음절구조제약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임을 전제로 하여 음운현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음절을 단위로 하는 것이 그 음운규칙을 이해하는데 보다 자연스러울 수 있음을 밝혔다는데, 본고의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음운현상과 음절구조의 상관관계를 다룸으로써 연음화 이외의 음운현상은 특정한 음절구조 유형과는 무관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도 본고의 의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