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정선-
dc.creator윤정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8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interlibrary cooperation system and cooperation plans in medical libraries. This study is performed by giving a questionnaire to 97 medical libraries registered in Korean Medical Library Association and investigating their current interlibrary cooperation activities, document delivery services and medical librarians' opinion for desirable cooperation syst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edical libraries have a great deal of differences in the scale of holdings and library staffs. 2. At present, the causes of obstacle to interlibrary cooperation are inaccuracy of union list as a basic location tool, delays in acquiring the original articles, and heavy request loads of only a few libraries. 3. Librarians take the foundation of coordination center to lead cooperative libraries, the composition of library automation, and the building of speedy delivery system as a prerequisites for the establishment of interlibrary cooperation system. 4. The major functions of interlibrary cooperation are the building of union list database of periodicals and the conducting of online document delivery request through retrieval system of medical literature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to solve current problems and to establish a plan for an interlibrary cooperation of medical libraries in focus of sharing periodicals. 1. The structure of interlibrary cooperation have, as a basic frame, hierarchical model with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s a coordinator of cooperative system in the center, resource libraries and basic medical libraries in the subordinate structure. And on the whole,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have a mixed model enabling resource libraries to exchange information one another. 2. The libraries which possess many kinds of periodicals and handle document delivery requests in the large scale have to be designated as the resource library. And, in the mean time, it should include all regions over the nation but not limited to specific region. 3. Resource libraries go shares in collecting and providing core subjects of specific medical subjects. The core subjects of resource libraries are alloted according to the number and the results of study of medical professionals. 4.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and resource libraries have been much toward interlibrary cooperation activities. Accordingly, there should be apparatus to guarantee them a financial aid corresponding with their contribution. 5. For an efficient operation of cooperative system, a union list database is required to grasp and retrieve the proceedings and changes of information about holdings. And it is also desirable to make an appl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available with document delivery system which is the combination of union list database with document request system. An interlibrary cooperation system and plan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help medical libraries to share medical periodicals efficiently.;의학정보는 그 수명이 짧고, 신속성과 최신성을 생명으로 하기 때문에 학술잡지가 가장 중요한 정보원의 위치를 차지한다. 학술잡지는 의학연구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의학의 발전과 연구주제의 세분화로 인하여 출판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어느 한 도서관이 이용자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문헌을 구비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도서관간 상호협력을 통한 문헌제공서비스에 많은 의존을 하게 된다. 또한, 보유하고 있는 의학 학술잡지가 풍부하지 못한 국내 의 상황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의학도서관들의 장서를 하나로 연결하여 공동으로 활용할수 있는 협력체제가 구축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국내의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의학도서관 협력체제의 모형과 협력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연구, 실태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의학도서관 협력체제의 구조, 협력체제의 기능, 의학도서관 협력체제의 목적과 필요성 등을 고찰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외국의 의학도서관 협력체제의 기능과 구조를 조사하여, 한국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의학도서관협의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상호협력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의학도서관들의 특성과 문헌제공 서비스의 실태를 조사하고, 의학도서관 협력체제의 기능에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내용에 대한 정보관리 실무자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의학도서관들은 학술잡지의 소장현황과 인력 등 그 규모에 있어서 편차가 매우 심하였고, 전체적으로 소장하고 있는 학술잡지 종수는 부족한 반면, 중복소장률은 높았다. 둘째, 현재의 학술잡지 공유를 위한 협력활동의 장애요인은 공동활동의 가장 기본적인 도구인 학술잡지 종합목록의 부정확성, 원문입수기간의 지연, 소수의 특정 도서관으로 문헌복사의뢰가 집중되는 현상이었다. 셋째, 실무자들은 협력체제를 주도할 중앙조정기관의 설립과 도서관 전산화의 완성, 신속한 전달시스템의 마련 등을 협력체제 구축의 선결사항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넷째, 협력체제가 가장 중점적으로 수행해야 할 기능은 학술잡지 종합목록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국내 의학관계문헌의 검색도구를 개발하여, 이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호대차 업무 및 원문요청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에서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협력체제의 모형과 협력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협력활동 참여도서관들의 소장장서의 특성화를 통한 역할분담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의학도서관별로 연구자들의 의학하부주제의 연구실적과 연구자 수를 조사하였고, 이것을 각 도서관의 소장학술잡지 종수, 문헌복사 제공건수와 함께 자원(資源)도서관의 핵심주제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한국 의학자들의 세부주제별 연구실적에 대한 데이터는 MEDLINE(1992-1994)에 수록된 한국인 저자의 논문 1925편을 분석하여 수집하였고, 연구자 수는 전국의과대학진흥협회가 발간한 『의과대학현황』 에 실린 전임강사 이상의 연구자 수를 근거로 하였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하여 학술잡지 공유를 위한 의학도서관 협력체제 구축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협력체제의 구조는 각 의학도서관간의 규모에 있어서 편차가 심한 것을 감안하여, 협력체제의 중추조정기관인 국립의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자원도서관과 기타 의학도서관협의회 회원기관들을 하위기관으로 구성하는 계층형의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한편, 자원도서관간에는 자유로운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는 혼합형의 구조를 취한다. 둘째, 자원도서관들은 소장학술잡지 종수와 문헌복사 제공전수의 규모가 큰 대규모 도서관으로 지정하되, 한 지역에 편중되지 않게 모든 지역범위를 포함하여야 한다. 셋째, 자원도서관들은 각 기관의 핵심연구주제를 분담수서하고 이를 문헌복사 시스템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향에서 역할을 분담하여 문헌복사 요구의 분산을 유도한다. 넷째, 국립의학도서관과 자원도서관들은 협력활동에 있어서 기여도가 크므로 그 역할에 부합하는 재정적 지원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문헌제공서비스를 주기능으로 하는 협력체제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하여는 소장상황의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종합목록의 데이터베이스화가 시급하며,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와 문헌복사 요청업무를 결합한 문헌제공시스템을 마련하여 통신망을 통해 즉각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협력체제 구축방안을 토대로 국내의 상황에 적합한 의학도서관 협력체제 모형의 실례를 제시하였다. 제시한 실례는 국가차원의 지원이 용이하고 가장 연구활동이 활발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도서관을 협력체제의 중추기관인 국립의학도서관으로 하고 의학연구활동과 문헌제공에 있어서 기여도가 높은 24개의 자원도서관으로 구성되었으며, 기타 의학도서관들은 최하위계층으로 배정하였다. 자원도서관들을 선정하는 기준으로는 구독중인 학술잡지종수, 연간 문헌복사제공 건수, MEDLINE에 수록된 한국인 저자의 의학 세부주제별 논문수를 적용하였고, 자원도서관들은 그 규모나 협력활동의 기여도에 따라 1급과 2급으로 구분하였다. 2급 자원도서관들간에는 의학 세부주제별 분담수집을 통한 장서의 특성화가 이루어지며, 1급 자원도서관들과 국립의학도서관도 주제별 분담수집을 통해 문헌제공서비스를 위한 자원의 확보와 제공에 있어서 역할의 분담을 하게 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C. 선행연구 = 4 Ⅱ. 의학도서관의 상호협력 = 16 A. 상호협력의 필요성 = 16 B. 상호협력의 내용 = 20 C. 상호협력체제의 구조 = 27 D. 의학도서관 협력체제의 사례 = 34 Ⅲ. 한국 의학도서관의 상호협력 실태 = 50 A. 의학도서관의 한황 = 50 B. 학술잡지 공동활용 현황 = 63 C. 상호협력에 관한 인식 = 68 Ⅳ. 한국 의학도서관 협력처제 구축 방안 = 74 A. 구축방안의 원칙 = 74 B. 협력체제의 모형 = 76 Ⅴ. 결론 = 89 참고문헌 = 93 부록 = 98 ABSTRACT = 1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218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학술잡지-
dc.subject의학도서관-
dc.subject협력체제-
dc.title학술잡지 공유를 위한 의학도서관 협력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tablishment of Interlibrary Cooperation for Medical Libararies-
dc.format.pageviii, 12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