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용후란-
dc.creator용후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87-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알콜중독자의 정신과 입원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들인 보고되면서 알콜중독은 점차 중요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알콜중독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고 임상양상도 다양하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특별하고 단일한 치료법이 없으며 다른 어떤 정신질환보다도 쉽게 재발하기 때문에 환자와 가족은 물론 치료자 역시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선입관을 가지고 쉽게 실망하고 포기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은 입원시의 성공적인 치료이후에도 높은 재발위험이 따른다고 알려져있다. 재발의 원인은, 알코올중독의 원인이 불분명한 것처럼, 잘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많은 학자들이 각자의 입장에서 재발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그 가운데 Marlatt은 퇴원후에 알코올중독자가 경험하게 되는 높은 위험상황과 그에 대한 대처능력의 결여를 들고 있다. 그에 의하면 재발은 '술을 마셔서 치료전의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것'으로, 문제음주로 인해 재입원하거나 다시 과음하고 술로 인해 다른 문제가 생긴 경우를 말한다. 높은 위험상황은 개인이 자기통제력을 위협받아 재발가능성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스트레스 상황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는 Marlatt의 재발예방접근을 실제 사례에 적용시키기 전에, 알콜중독자들이 술을 마시게 되는 높은 위험상황, 즉 문제음주를 야기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대처행동을 알아보고자한다. 이는 알콜중독자의 재발요인으로서의 스트레스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좀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종합병원 정신과에 입원한, 정신질환이 없는 순수한 알콜 중독자로 본 논문의 취지에 협조적이며 설문지의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입원 전 경험했던 스트레스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이평숙이 제작한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 척도를, 스트레스 지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GARS을 고경봉(1988)이 번안한 척도를, 그리고 대처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Lazarous와 Folkman이 개발한 척도를, 김정희가 수정한 척도(1986)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을 묻는 문항을 첨가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Pearson's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콜중독자들이 입원 전에 경험했던 스트레스 상황은 평균 5가지 였다. 그 가운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일 및 직업상황에 관한 것이었다. 그 다음이 가족이나 친척, 친구등과의 대인관계상황, 세 번째가 가까운 사람의 사망이나 이혼 등과 같은 대인관계의 변화상황, 네 번째가 자신이나 타인의 질병이나 상해상황, 다섯째가 성공·성취, 가정생활 등의 기타 상황이다. 2. 각 상황에 대한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살펴본 결과는 알콜중독자가 경험한 상황과는 다르게, 대인관계의 변환(사망, 이혼 등)에서 가장 심한 스트레스를 느꼈다. 이는 알콜중독자의 사회지지체계가 재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하다고 할 수 있다. 두번째는 가족간의 갈등이나 불화, 자녀문제 등의 기타 상황이며, 그 다음이 일 및 직업생활, 대인관계, 질병 및 상해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알콜중독자들의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대처방법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문제중심적 대처는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을 수록 낮게 사용되었고(p<.001), 정서중심적 대처는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많이 사용되었다.(p<.05) 소망적사고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사회적지지추구는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많이 사용되었다.(p<.05) 즉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을 수록 정서중심적대처를 많이 사용하고 상대적으로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 지지추구의 대처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회사업의 실천적 측면에서의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콜중독자들이 가장 심각하게 지각한 스트레스는 가까운 친구의 사망 또는 배우자와의 이혼, 별거와 같은 대인관계변화상황이므로, 치료과정에서 알콜중독자의 행동수정·변화와 함께 사회지지체계를 확보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사업가는 알콜중독자의 가족모임이나 A.A. 등의 집단을 구성하도록 도움을 주는 촉매자, 가능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알콜중독자의 활용가능한 사회지지체계 가운데에서도 배우자의 역할이 중요시 되는 바, 남편의 행위에 대한 불신, 의심을 갖고 있는 알콜중독자의 아내에게 feedback 기전을 통한 조언, 지도 및 인정을 통해 자신감을 심어주는 접근이 필요하다. 더불어 Al-Anon 등의 자조집단을 구성하여 상호연계 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셋째,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대처행동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알콜중독자는 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문제중심적, 사회적 지지추구 등의 적극적 대처방법이 낮게 나타났음으로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추구의 적극적 대처방법을 높이기 위해 치료과정에서 알콜중독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방법에 대한 인정, 지지, 지도 등의 평가적 개입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더불어 feedback 기전 활용에 있어서 회복되는 가는 알콜중독자를 치료과정에 참여시켜 알콜중독자의 대처능력을 증대시키고 자조체계를 이룰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Recent reports that the percentage of the alcoholics to be hospitalized for psychotherapy has been increasing calls upon to put alcoholism in the agenda of social problem. Alcoholism caused by complicated factors hzs variegated clinical symptoms with no one specific once-for-all remedy. Therapists as well as the alcoholics and their families are easily disappointed to the point of cessation, jumping to the conclusion on remedy and prognosis. The relapse of the alcoholics, specifically, is found in quite a few cases after successful treatment in hospitals. The causes of relapse are know little, as those of alcoholism are, though some scholars bring up several possible causes from their respective points of view, one of which is Marlatt's relapse-prevent approach. Marlatt propounds the lack of capacity to cope with high-risk situation that the alcoholics are to go through out of hospital. He observed that relapse is 'back to the state before treatment by drinking', when problem drinking makes some troubles as in the case that ex-pathological alcoholics should be re-hospitalized. High-risk situation is defined as stress situation in which the possibility of relapse are increased for an individual threatened against his/her self-discipline. High-risk situation when the alcoholics drink or stress situation effecting problem drinking and their behavior to deal with are investigated in the following sections before the application of Marlatt's approach, to take in stress situation as the relapse cause of the alcoholics and to look for effective solutions. Samples are taken from 63 alcoholics in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who do not suffer mental illness, cooperate in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and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tools used are: life-event scale as stress factors devised by Lee, Pyungsook(l984) to look for stress situation which they had been exposed to before their hospitalization; adapted GARS scale by Goh, Kyungbong(l988) for the level of stress-perception; Lazarous and Folkman scale adjusted by Kim, Junghee(l986) for the coping behavior, and the questions to know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Data processed by SPSS PC^(+) are analysed by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r. Meaningful result of this survey are: 1. Out of the 5 stress situations which the alcoholics were in before hospitalization, work-related situation turn out to be the most frequent case. Personal-relationship situation with family, relatives or friends, then appears. The third situation is change in relationship such as death of one who used to be close relationship with him/her or divorce, which is followed by disease/injury situation. Success, achievement, family life and so forth ranks the last. 2. The survey of the level of stress-perception in each situation shows that the alcoholics suffer th most severe stress from change of personal relationship (death, divorc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of situations. It demonstrates that social-support system of the alcoholics could determine relapse. Family/children troubles and etc. ranks a second and then, work, personal relationship, and disease/injury follow in turn. 3.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the alcoholics' stress-perception and means of coping reveal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perception, the less problem-centered coping is employed(p< .001), the appearance of emotion-centered increases as the level of stress perception grows higher(p< .05). Wishful thinking shows any relevant relation, and the number of pursuit of social-support grows as the level of stress-perception gets higher(p< .05). In short, the higher the level of stress-perception, the more emotion-centered coping is employed and to the contrary, the less problem-centered coping and pursuit of social support. Survey results lead us to the following propositions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of social work: First thing is that the alcoholics suffer most from the change of personal relationship situation, which requires of behavior modificationㆍchange of the alcoholics and building social-support system during the treatment. This calls for social workers to be ablers to make alcoholics' family session, A.A. like groups. Among the social-support system for the alcoholics, spouse's role has significant meaning and help those who do not have trust in husbands' behavior, to have self-esteem with advice, instruction and recognition through feedback mechanism along with Al-Anon like self-support group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3, to strengthen the active coping behavior like pursuit of social-support, appraisal intervention-recognition, support, instruction of the alcoholics' coping behavior in their stress situation should be put emphasis. Furthermore, in the application of feedback mechanism, recovering alcoholics need to be assisted to take part in the treatment session to augment their coping ability and to form self-help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표목차 = ⅲ 그림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재발요인의 이론적 근거 = 5 1. 사회학습모델 = 5 2. 재발과 높은 위험상황 = 9 B.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생활사건 = 12 C. 스트레스 지각 : 관계론적 입장 = 13 D.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행동 = 15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조사도구 = 20 C. 자료분석방법 = 21 Ⅳ. 연구결과 및 분석 = 23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3 B. 스트레스 생활사건 = 25 C. 스트레스 지각 = 28 D. 대처방법 = 31 Ⅴ. 결론 = 33 A. 연구결과 요약 = 33 B. 제언 = 34 참고문헌 = 36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방법에 관한 설문지 = 40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907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알콜중독자-
dc.subject재발요인-
dc.subject스트레스-
dc.subject사회사업-
dc.title알콜중독자의 재발요인으로서의 스트레스 상황, 지각 및 대처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ress Situation, Perception and Coping Behavior as a Relapse Factor of the Alchoholics-
dc.format.pagevi, 5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