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6 Download: 0

원격교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관한 연구

Title
원격교육 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petencies for Teacher in Distance Education
Authors
김소희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원격교육원격교사Distance Education교육공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advances of information and commumications technology bring a structual changes in educational systems. Moreover,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Superhighway, which recently mainy people are concerned, also accelerated these changes. The Korean government is pursuing several pilot projects in various The introduction of distance fields using of Information Superhighway. education system is one of these project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distance education is still in its infancy in Korea. There are needs for research in aspects of hardware, software, faculty members to accomplis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istance education system. However,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part of teacher preparation in distanc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competent areas of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that formulated based on the culture, educational enviornment, and need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list of competencies and content of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through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opinions of distance education experts. The findings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raining and certifi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several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major knowledge areas required by the teacher in distance education a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haracters of respondents? Second, what are the major skill areas required by the teacher in distance education a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haracters of respondents? Third, what are the major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Fifth, what kind of attitudes are suggested to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a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haracters of respondents? Sixth, what are some of the difficulties the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might face and what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raining program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fifty-two distance education experts currently working in academic institution s and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ions in Korea. There were five teachers currently teaching at Naechon elementary school and forty-seven distance educators associated with academic institutions and education centers. Response rate was 86.5% (45 survey forms have returned). Firs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e one with experienced educators in distance education and the other who doesn't have any experience in the distance education. Second, the subjects who have experiences in distance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ages of students: one with the teachers who teach in schools and the other who teach adults. The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mportant knowledge areas needled for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are (1) abundant knowledge of subject matter(M=4.76), (2)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M=4.64), (3) knowledge of composition principles of visual materials(M=4.3 I), (4)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process(M=4.24) and (5) knowledge about distance education system(M=4.24). But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n distance edu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camera shot received relatively low ratings. Second, important skill areas needed for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are (1) to facilitat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M=4.47), (2) to organize contents of learning(M=4.38), (3) to present contents of learning(M=4.3 8), which many inexperienced respondents answered, (4.) to keep pace in teaching-learning process(M=4.33) and (5) to facilitate interactiv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hich many experienced respondents who taught elementary students answered and speaking skills and feedback skills received the same response rate(M=4.27). Third, the top ten competencies for the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are defined as following. 1. Abundant knowledge of subject matter. 2.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3 . Skills to facilitat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4. Skill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learning. 4. Skills to present the contents of learning. 6. Skills to adequately keep the pace. 7. Knowledge to make up visual materialls. 8. Skills to facilitate interactive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8. Speaking skills. 8. Feedback skills. Forth, most respondents recognized that attitude is important Especially, the positive qualification for the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attitude shown by teachers received a high rating. Fifth, this study analyz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necessity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cording to characters of respon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are concerned,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s. But the skills were found to be more needed by the experienced respondents. Sixth, the difficulties of distance education teachers are facing were: a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ppeared as 33.3% and geographical distance was 20.0%. Besides these difficulties, 26.7% of respondents answered were also difficult. that the effort and time needed in preparing instruction However, only 4.4,% of them responded that it was difficult to operate distance education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er was able to conclude that the difficulty can be removed when the teachers are trained properly. Seventh, the contents of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are concerned, most respondents want to include contents of producing and guiding how to use learning materials(62.3%). Understanding about characters of distance education(51.1 %) and operating skills and knowledge of system(44.4%) was rated relatively high, and the former was answered by many inexperienced respondents while the latter was answered by many experienced respon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differentiate competency areas for teachers who are engaged in elementary education and are engaged in adult education. Second, this researcher suggests more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o provide means for minimizing psychological distances that are existe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distance education. Third, this study was limited to identify competency areas for teachers in distance education. Therefore, following studies should be focused on finding answers to provide practical and detailed guidelines to increase teachers' capabilities in distance education based on the preceded study. Particulary, studies on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organizing contents of learning, presenting contents of learning, and using proper speech skills for the class are followed. Forth,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ducate teachers, and these programs should contain practical contents and hands-on experience rather than abstract and theoretical ones.;정보통신 공학의 급속한 발달은 교육체제에 구조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고 이 변화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초고속 정보통신망(Information Superhighway) 구축 사업이다. 정부는 2015년까지 국가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구축하고자 단계별 계획하에 사회 여러 분야에서 관련 시범 사업을 추진중에 있으며(이종호, 1994), 교육부문에서 실시되고 있는 시범 사업의 한 예가 원격교육 시스템의 도입이다. 원격교육(Distance Education)은 원격지에 있는 사람들에게 실시간에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동화상으로 상대방 모습 및 다양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어 교육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면 무한한 잠재성이 발휘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원격교육의 실시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원격교육을 현실적으로 교육에 활용하여 성공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인 면이나 소프트웨어, 인적자원 측면에서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원격교사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국외의 경우라할지라도 구체적인 연구물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교육문화와 특성, 원격교육 환경에서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원격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연구가 실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중요 능력을 10위까지 정의내리고 아울러 원격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원격교육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 지식은 무엇이며,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의견 차이가 있는가? 둘째,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 기술은 무엇이며,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의견 차이가 있는가? 세째,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 능력 10가지는 무엇인가? 네째, 원격교사가 지녀야 할 태도는 무엇이며, 조사대상자 특성에 따른 의견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원격수업시 교사의 어려운 점은 무엇이며, 원격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포함되어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1995학년도 원격교육 시범학교로 지정된 내촌초등학교의 교사 5명과 방송통신대학 및 기타 대학교수 27명, 한국교육개발원과 방송통신연구소 연구원 20명의 총 52명을 설문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내촌 초등학교 교사 5명을 제외한 47명은 현재 원격교육 학회 회원에 소속되어 있고 최소 1년 이상의 연구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원격교육 관련 교수 2명과 연구원 1명의 추천을 통하여 선정되었다. 설문조사는1996년 3월 14일부터 4월 9일까지 27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배부된 총 52부 중 45부가 회수되어 86.5%의 회수율을 보였고 Cronbach's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지식영역은 .74, 기술영역은 .86, 태도영역은 .8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으며 연구의 결과 분석시 조사대상자들의 특성 즉, 원격교육을 해 본 경험자와 원격수업을 해 본 경험이 없는자 또, 경험자 중에서도 학습대상자가 초등학생인 경우와 성인인 경우에 따라 의견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고려되어 문항에 따라 집단간 의견차이를 분석해 보았으나 분석결과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은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관계없이 (1) 주제에 대한 충분한 지식, (2) 수업전략에 대한 지식, (3) 시각자료 구성원리에 대한 지식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4)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지식과 (4) 시스템에 대한 지식이 동일 순위를 이루었다. 그러나 원격교육에 대한 철학적인 이해나 카메라 shot 구성에 대한 지식은 상대적으로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 영역에 있어서는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관계없이 (1)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2) 학습내용을 조직하는 기술, (2) 학습내용 제시 기술이 동일 순위를 이루었다. 다음 순위는 (4) 적절한 수업진행 속도 유지 기술인 것으로 나타났고 (5) 학습자간 상호작용 촉진기술,(5) 적절한 어휘와 말투구사 능력, (5) 피드백 제공 기술이 동일 순위로 나타났다. 세째, 지식과 기술 영역을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얻어진 각각의 평균점수를 토대로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 능력을 10위까지 정의내리면 다음과 같다. 1. 주제에 대한 충분한 지식 2 수업전략에 대한 지식 3. 교사와 학습자간 상호작용 촉진기술 4. 학습내용 조직 기술(동일순위) 5. 학습내용 제시 기술(동일순위) 6. 적절한 수업 진행속도 유지 기술 7. 시각자료 구성원리에 대한 지식 8. 학습자간 상호작용 촉진기술 8. 적절한 어휘와 말투구사 기술(동일순위) 8. 피드백 제공기술(동일순위) 네째, 원격교사가 갖추어야 할 태도는 (1) 원격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2) 시스템에 대한 여유와 편안함을 보이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고, 이외에 다양하고 다각적인 관점을 수용하는 태도, 단정하고 호감있는 태도도 평균점수로 볼 때 비교적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격교사에게 있어 태도적인 요건은 지식과 기술이외에 원격교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이라고 해석된다. 다섯째, 조사대상자를 원격수업 경험자와 원격수업 무경험자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이 지식, 기술, 태도 영역에 대해 나타낸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식과 태도에서는 집단간 차이가 없었으나 기술에 있어서는 원격수업 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원격수업시 교사의 어려운 점을 교사와 학습자간 존재하는 심리적인 거리감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33.3%), 수업계획에 드는 시간과 노력(26.7%), 교사와 학습자간 존재하는 물리적인 거리감(20.0%), 학습자료의 제작(15.6%)이 다음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격교육 시스템 조작이라는 의견이 4.4%로 가장 낮았다. 일곱째, 원격교사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은 조사대상자 특성에 관계없이 학습자료 제작과 활용법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62.3%)이 가장 많았고 원격교육 특성에 대한 이해(51.1%), 시스템에 대한 지식과 작동법(44.4%)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원격수업 경험자들의 경우에는 시스템에 대한 지식과 작동법, 학습자료 제작과 활용법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기를 바라는 비율이 높은 반면 원격수업 무경험자들은 많은 경우 원격교육 특성에 대한 내용이 연수 프로그램에 포함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이상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원격교사에게 요구되는 중요 능력을 연구함에 있어 초등학생 대상 교수자와 성인대상 교수자의 경우로 구분하여 학습대상자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나 아직 원격교육이 실시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답을 제공해 줄 풍부한 경험을 가진 원격교사가 매우 소수였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으나 앞으로 원격교육이 확대, 보급됨에 따라 경험을 가진 원격교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으로 원격교사가 지녀야 할 능력을 정의함에 있어 학습대상자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원격교육에 있어 교사와 학습자간 존재하는 심리적인 거리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간적인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피드백 제공방법이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하겠다. 세째, 본 연구에서는 원격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을 포괄적으로 정의내렸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실제 원격수업에서 이러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특히, 원격교육의 교수-학습과정에 적합한 수업전략, 학습내용 조직방법, 학습내용 제시방법, 어휘나 말투구사법 등에 대해 효과적인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네째,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수 프로그램 내용이나 원격교사의 중요능력들을 기초자료로 앞으로는 우수한 원격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은 추상적이거나 이론적이지 않은 구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고 연수에 참가한 교사들의 활동중심으로 구성된 실제적인 프로그램이어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