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4 Download: 0

사회과에서의 미래교육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Title
사회과에서의 미래교육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n the Fu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uthors
박은혜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Keywords
사회과미래교육내용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very social change is accelerating with high speed, and each area of society such as science and technology is changing human life patterns and every thoughts. That is, the future of the youth sill he a very different society from now, and its feature will depend on young people's choi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ew curriculum to help young people create a desirable future by introducing views of future to present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future study which has been done so far to maximize the effect of future education, and I'm going to examine the reason why social studies should mainly charge in future education.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uture education in Korean social studies, and to suggest proper and desirable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 To achieve those goals, 1 analyzed and examined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6th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I first studied the character of each course and its gravity of future education in the whole social studies. Finally I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gravity of future education in the 4th · 5th · 6th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the portion of future education from the 4th to 6th curriculum is very low. This shows that fu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has not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 Secondly, major concepts chosen in analytical standards were not equally treated. Also, the major concepts and portions on future education were not equal in each grade. Thirdly, the future education in the 6th curriculum is outstandingly progressed compared with the 4th and th 5th educational course. The view of whole text books is future-forward, and especially, the contents on future studies haw appeared. I suggest some tasks which future education should solve to understand the fu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better and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s follows. Firstly, the portion of futur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hould be elevated. Secondly, the main concepts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equally distributed, and intensified through K-12. Thirdly, we shoul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thod to increase experiences related to various future at school, and avoid knowledge-focused contents. Finally and most of all, teachers should change their attitud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uture educational course.;100년전에 전망하던 미래와 지금의 미래는 크게 다르다. 이제 미래는 옛날의 미래보다 더 빨리 더 많이 더욱 다양하게 달라지고 있다. 모든 사회변동은 점점 가속화되고 있으며, 사회 각 영역의 변화와 과학·기술의 진보는 우리 인간의 생활패턴 그 자체뿐만이 아니라 사고까지도 바꾸어 놓고 있다. 즉, 현재의 청소년들이 살아갈 미래는 지금과는 아주 다른 사회가 될 것이며, 청소년들이 어떠한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미래의 모습은 매우 달라질 것이다. 따라서 개인이 사회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가치·태도·가치관 등을 가르치는 교육은 더욱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며 그 역할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학생들이 장래의 생활에 대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미래지향적인 활동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살아가야 하는 미래사회를 알맞게 전망하고 통제하는데 필요한 지식이나, 자신의 미래를 내다보는 능력과 적응력을 길러주어야 한다. 즉 미래의 관점을 현재의 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이 바람직한 미래를 창출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가치·태도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교과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래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미래연구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하여, 미래교육의 필요성과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에서 미래교육을 핵심적으로 담당해야 하는 이유를 살펴보는 한편, 한국의 사회과에서 미래교육을 살펴보고, 나아가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적합하고 바람직한 미래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미래교육의 핵심이 사회과가 되어야만 하는 이유는 청소년들이 미래사회에 적합한 올바른 민주시민으로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 미래사회에 대해 가르치는 것이 미래교육이라고 할 때,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목적인 사회과가 미래교육을 담당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사회가 급변하는 시대의 사회과 교육의 목표는 사회변동에 개혁적으로 개입하며, 더 나아가 미래사회에 적응해서 살아가기에 적합한 민주시민의 실천적 역량을 함양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급격한 사회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시대인 1980년대의 제 4차 교육과정부터 현재의 제 6차 교육과정까지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검토해 보았다. 교과서 분석은 우선 각 교육과정의 성격들을 알아본 후 각 교과서에 나타난 미래에 관한 내용들이 분석의 기준으로 제시한 미래교육의 주요개념과 얼마나 부합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전체 사회과 교육에서 미래교육 내용과 비중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제 4·5·6차 교육과정의 미래교육 내용과 비중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4차 교육과정기부터 제 6차 교육과정기까지의 미래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았다. 이는 우리 나라의 사회과교육에서 미래교육이 중요하지 않은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음을 말해준다. 즉, 교과서 전체가 미래지향적이라기보다는 현재·과거지향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분석기준에서 설정한 주요개념을 중심으로 미래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주요개념들이 골고루 다루어지지 않았음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래에 관한 주요개념들이 학년간에 골고루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학년별로 볼 때 미래교육에 관한 내용과 그 비중이 균형적이지 못했다. 세째, 제 4·5·6차 교육과정기의 미래교육을 비교, 분석해 보았을 때, 4·5차에 비해 6차 교육과정기의 미래교육이 내용과 비중 면에서 월등히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 전체의 시각이 미래지향적이며, 특히 미래연구에 관한 내용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사회과교육에서의 미래교육을 바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미래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사회과교육에서 미래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야 한다. 둘째, 미래교육의 기본적인 주요 개념들이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고, 그러한 내용들은 국민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년을 올라가면서 심화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세째, 학생들이 기능과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할 수 있는 미래교육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지식위주의 내용을 지양하고, 학교교육에서도 다양한 미래 관련 내용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도록 교육방법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미래의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려면 무엇보다도 교사의 태도를 바꾸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