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1 Download: 0

폭력행동 감소와 관계개선을 위한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과정분석과 효과성 연구

Title
폭력행동 감소와 관계개선을 위한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과정분석과 효과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ocess Analysis and Effectiveness of Couples Group Treatment to Reduce Violent Behaviors and Improve Conjugal Relationship
Authors
현진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고 부부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화된 부부집단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가정폭력 부부에게 적용한 후, 부부의 폭력행동 감소와 부부관계 개선에 미친 영향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 가정폭력의 문제는 심각하며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의 범위도 점차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가정폭력행동의 방지를 위한 다양한 개입방식 중의 하나로서 피해자와 행위자를 함께 개입하는 것이 임상경험과 선행연구를 통해 필요하다고 인식되었지만, 현실적으로 이들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와 개입노력은 활발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 하에 가정폭력 부부집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살펴 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구성과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 4가지의 연구질문을 구성하였고, 각 연구질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질문 1. 가정폭력 부부집단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하여 부부간 폭력행동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문헌연구의 결과, 이 프로그램은 체계론적 관점과 사회학습이론을 이론적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부부의 개인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 간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고 부부관계를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헌연구의 결과로 구성된 예비프로그램은 가정폭력 실무 현장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포커스 그룹 연구를 통하여 수정 보완된 후 최종 가정폭력 부부 집단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검찰청으로부터 가정폭력행동에 대해 상담조건부 기소유예 처분으로 행위자 상담을 받고 있는 행위자들 중 행위자의 폭력의 정도가 심각하지 않고, 행위자와 그 배우자 모두가 폭력행동을 중단하고 부부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동기가 있으며, 피해자가 행위자와 함께 상담을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알코올중독 및 정신질환의 문제가 없는 부부 4쌍의 실험집단과 동일 조건의 부부 5쌍의 비교집단이다. 본 프로그램은 전체 10회기로 프로그램의 내용은 가정폭력의 특성과 그 세대간 전이에 관한 교육과 분노조절, 의사소통, 갈등해결, 스트레스관리 기술의 향상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한 과제제시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10회기의 프로그램 종결 후 매월 1회의 사후모임을 진행하여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이루어낸 변화를 지속시키고 도전되는 이슈에 대한 개입과 원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프로그램을 실험집단에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다음 프로그램 시작 시기까지 대기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사전, 사후조사와 프로그램 종결 후 3개월에 추후조사가 실시되었고, 비교집단에는 사전조사와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행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사실험설계와 질적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의 연구질문에 답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질문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해 측정한 가정폭력행동 관련 변수의 사전⋅사후 변화량은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가정폭력행동 관련변수란 가정폭력행동 및 갈등해결기술, 분노조절, 스트레스 수준을 의미한다. 가정폭력행동 관련 변수들에 대한 집단 간 변화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갈등협상기술, 심리적 공격성, 경미한 수준의 신체적 폭력, 분노 수준, 스트레스 수준의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입증되었다. 이는 프로그램 실행의 결과 직접적인 폭력행동의 감소 뿐 아니라 관련 대처기술들인 분노조절이나 스트레스 수준 등의 변수에서도 집단간의 변화량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행동의 감소라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는 데 본 집단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한편 심각한 신체적 폭력과 신체적 상해에 관해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폭력행동 감소를 위한 개입프로그램과 함께 사법체계의 관여가 폭력행동의 중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연구질문 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해 측정한 부부관계 관련 변수의 사전⋅사후 변화량은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질문 3에 해당하는 부부관계 관련 변수란 의사소통수준과 부부관계만족도를 의미한다. 프로그램 전후 비교에서 의사소통수준의 경우 집단간의 사전․사후 변화량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집단의 부부들이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하여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킴으로써 부부관계 개선에 중요한 대처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 부부관계만족도의 경우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폭력행동의 감소나 다른 대처기술들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부부관계의 만족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연구질문 4. 부부집단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 내에서 어떤 질적인 변화가 있는가? 실험집단 내에서 일어난 질적변화의 양상을 발견하기 위하여 집단과정에 대한 내용분석과 각 개별 사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집단과정에 대한 내용분석의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정폭력부부에게서 나타난 부부의 상호작용은 의사소통하는 방식, 부부갈등을 유발하는 요인, 부부갈등을 해결해온 방식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부부관계의 양상은 첫 번째로 의사소통 방식으로서,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집중하고 언어적 표현이 제한되어 있으며, 의사소통을 단절시키며 일방적인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로는 부부갈등의 요인으로 과거의 문제를 반복해서 다룸으로 인해 갈등이 야기된다는 점이었다. 남성에게만 나타난 부부관계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들은 일방적 의사소통 중에서도 거친 표현을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부부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은 남성들이 지닌 가부장적인 사고였다. 셋째, 남성들의 폭력에 대한 반응은 폭력행동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거나 폭력행동 자체를 왜곡 또는 축소하는 반응이었다. 넷째, 남성들이 지금까지 주로 갈등을 해결해온 방식은 술을 마심으로써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었다. 여성들에게만 나타난 특성으로는 첫째, 시댁식구들과의 갈등이 부부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라는 점이다. 둘째, 여성들은 자신들이 지금까지 희생해왔고, 관심받고 싶으며, 소외감을 느낀다는 정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여성들의 폭력에 대한 반응은 주변인이 해결해주기를 의존하는 반응과 폭력으로 맞서는 반응이었다. 넷째, 여성들이 지금까지 주로 갈등을 해결해온 방식은 대화를 피하거나 상황을 피함으로써 갈등을 회피하거나, 자녀나 다른 주변인이 해결해주기를 의존하는 방식이었다. 이상과 같이 가정폭력부부의 부부관계의 양상은 남성과 여성이 유사한 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임상적 함의를 끌어낼 수 있었다. 내용분석의 결과, 본 프로그램이 가정폭력부부의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고 부부관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점은 사고를 변화시킬 수 있었던 점, 행동의 변화, 의사소통의 변화, 갈등상황 대처방법의 변화를 이끌 수 있었던 점들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존중하고 이해하려는 사고의 변화가 부부관계 개선에 가장 도움이 되었던 점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내용분석의 결과들은 본 연구의 양적 분석에서 나왔던 결과들을 뒷받침하여주는 결과로서 더욱 의미가 있었다. 집단과정에서 관찰된 개별사례에 대한 분석의 결과, 프로그램의 개입 전에 남성들은 부부의 폭력행동을 축소 보고하고 높은 부부관계만족도를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부부의 폭력행동을 남성들 보다 심각하게 보고하고 낮은 부부관계만족도를 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남녀간의 차이는 프로그램의 개입 후와 3개월 후 추후조사로 가면서 서로 합의되어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개별 사례분석의 결과, 본 부부집단프로그램은 다양한 영역에서 부부간의 상호 합의도를 향상시켜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가정폭력부부를 함께 개입하는 것의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탐색해보았다. 실제로 대부분의 여성들은 가정폭력 사건이후에도 다시 결혼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현실이므로, 부부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부부를 함께 개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효과가 있는지 살펴본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와 함의를 통해 앞으로 가정폭력 연구와 실천, 정책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is to compose a couples group program for those who had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find ou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ncerning reducing their violent behaviors and improving conjugal relationship. The problem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Korea is significant. The social services and interventions provided to reduce this violence are evolving and various. Couples conjoint treatment is one of those progressive treatment options to reduce intimate partner violence used in many countries. However, the effort to consider conjoint treatment for couples as a standard treatment option has met with resistance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ose a couples group program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in Korean sample. There are four questions need to be considered to accomplish this research. The questions and answers are as follows. Study Question 1: How was the couples' group program compos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concern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was completed. Using the information gathered, a pilot program was composed based on systems perspective and social learning theory. The composition of this pilot program was revised after the discussion with the focus group whose members were professionals in family violence area in Korea and finalized as a group program. The sample group of this study was referred from court mandated counseling center. The offenders who had moderate level of violence and their spouse were screened to see if they met the criteria to attend this couples conjoint program. They were accepted to attend this program when; there were only moderate level of violence, both offenders and their spouse were willing to stop violence, improve their conjugal relationship, the victim did not fear for their safety in close proximity with the offender, and both offender and victim were not diagnosed with either substance abuse or mental disorder. Four couple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five couples to comparison group. This group program was composed of 10 sessions, which ran weekly with booster sessions provided monthly after termination of 10 sessions to reinforce the changes made and to assist in problem solving challenges. The interventions of program were; psycho-education of family violence, anger management,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conflict resolution, stress management and home assignments were given to practice interventions presented in group. This program was only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mparison group was not. The pre and post test measurements were taken in both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A post post test was executed only in experimental group 3 months after termination of program. The quasi-experimental design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for qualitative analysis were executed to verify the program effect. Study Question 2: Are there significant pre and post test variation in violent behavior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The violent behavior variable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instruments; violent behaviors and conflict tactic skills, anger management, and level of stress. As a result of analysis of pre and pos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d levels of violence over the comparison group. Meaning that the conjoin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ping skills such as anger management and stress management as well as reducing violent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in severe physical assault and severe injury variables. This result could be interpreted that involvement with law enforcement system contributed in stopping severe physical violence as no matter whether they received treatment or not. Study question 3: Are there significant pre and post variation in conjug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The conjugal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effectiveness of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and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re and post variation,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improved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over the comparison group. This result showed that the couple was able to learn communication skills, which is important coping skills in conjugal relationship.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in conjugal relationship. This could imply that long term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even after improvement in other coping skills and reduced violent behaviors. Study question 4: What kind of qualitative changes occurr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conjoint program? The content analysis of group process and analysis for each couple's responses were designed to identify qualitativ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munication styles, factors leading into marital conflicts, and ways that couple resolve their conflicts were used to measure qualitative changes. The common factors in both men and men were communication styles: (1) Both men and women focused on non-verbal communications, had very little verbal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were not interactive and effective in communication. (2) A main source of conflict often came from bringing up past issues into their current life. The traits appearing more common in men were: (1) The men used one way communication, especially verbal abuse. A main source of conflict came from men's patriarchal thought. (3) Men either tended to avoid their responsibilities for their violent behaviors or distorted and minimized them. (4) Men usually avoided dealing with conflicts by drinking. The traits appeared predominantly in women were: (1) Conflicts with their in-laws creating marital discord. (2) Women felt that they sacrificed themselves for their marriage, their husbands were not emotionally supportive, and felt lonely. (3) Women either depended on their children or significant others to resolve husband's violence or responded back to husband with same violent behaviors. (4) Women tended to deal with marital conflict by avoidance and relying on their children. As showed above, the conjugal interactions of these four couples have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genders, which brought up some clinical implications. Content analysis of couples' report reveale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ttending group and changes in their thoughts, behaviors, communication styles, and ways to resolve conflicts. These results also supported the results from quantitative analysis. The qualitative analysis of each couple showed that men tend to minimize violence of both self and their spouse and report high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women tend to report more severe violence and low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men do. Thes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became dissipated after attending conjoint program.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conjoint program helped the couples to construct more reality based view of their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conjoint program for the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Korea was tested. Since most of women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tend to return their relationship, the notion of using conjoint treatment can not be ignored. It was meaningful to test whether this conjoint program was feasible and effective to reduce their violence and improve conjugal relationship in Korean samp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