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尹貞琇-
dc.creator尹貞琇-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1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144-
dc.description.abstractIt is no exaggeration to state that the concept of God is one of the most hotly discussed theological topics of our days. Today, As old social prejudices are breaking dow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new, more adequate image of God. Black theology emphasized the blackness of God who could only be known through the black experience. For example, Africans developed new concepts of God through the incorpoation of native oral traditions. As for Feminist theologians, they protested against the patriarchal concept of God which was thought to be patterned after the antiquated model of Israel's patriarchal society. some even proposed to expand the canon with Ugaritic myths in which goddesses of love and motherhood would have a respected place It would be ease to multiply these examples. In response to these calls to change the metaphorical nature of all the God-talks, including that of the Bible, received much attention. As a result, also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monotheistic faith of Israel were drawn into the discussion over and over again In this thesis, the main reserch is concentrated on the religion of the Israelite Monarchy. As for this purpose, the narrative of 2kings 23 is selected as the basic premise, because it provides the most comprehensive list of Cultic objects foumd in the Hebrew Bible. In chapter Ⅱ, the narrative of 2kings 23:1-27 is analyzed. And it is proved that the text of 2Kings 23:l-27, especially 2Kings 23:4-20, has great historical value. That is, the text of 2Kings 23:1-27 shows the cult of the Israelite Monarchical age In chaper Ⅲ,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Assyria is mentioned as the political ' and social background of Josiah's Reform. Considering the Assyrian Imperial Policy, there is no evidence of a direct religious pressure by the Assyrians on the Vassl-state Judah. Instead by Mass Deportation, Judah was indirectly influenced religiously and led Judah to a complicated religious situation. Chapter Ⅳ investigates the cultic item of the monarchial age that were eliminated in the Josiah's Reform(item such as High place, Asherah, Altar of Ahaz, Molek Cult, Worship of Celestial Bodies). In doing so, a point can be drawn that suggests a great diverisity not only in the number of deities, but also in the religious practices and cult. Especially not only speaking of the religious practices of other deities, but also for the Yahweh Religion, the religion practices ware also complex and diverse. Namely, the religion of Israelite Monarchical age was in a very complex situation. That is to say, it was not mono-Yahwism but a poly-Yahwism. In such a situation, Josiah's reform was to unite the power and allegiance into a centralized struture, one place-one God-one people. In conclusion, the result from the thesis claim that the situation of the israelite religion and the concept of God in the old-testament have always changed by the different epochs.;본 연구의 목적은 이스라엘 왕정 시대의 종교적 상황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필자는 세 가지 물음들을 던지고, 이에 의거하여 세 단계로 논의를 진행시켰다. 이스라엘 왕정 시대의 종교적 행위들을 반영하는 가장 적절한 성서 본문은 무엇인가? 필자는 논의의 기본 근거가 되는 성서 본문으로서 열왕기하 23장을 선택하였다. 그것은 열왕기하 23장의 보도가 구약성서에서 발견되는 가장 포괄적인 제의 대상의 목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lⅡ장에서는 2열왕 23:1-27이 지니는 자료로서의 가치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2열왕 23:1-27의 본문은 그 기본 구조가 왕정 시대 요시아 때의 편집자에 의해 형성되었고, 특히 제의 대상이 언급되고 있는 2열왕 23:4-20의 본문은 아마도 유다의 연대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신명기 편집 이전 자료(pre-Dtr)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요시아 개혁 설화는 이 연구를 위한 기본 토대로서 적합함이 판명되었다. 기본적 성서 본문을 요시아 종교개혁으로 선택한 것은 본 연구의 논의에 있어서 또 하나의 변수로 작용하게 하였다. 그 변수는 바로 요시아 종교개혁의 정치-사회적 배경이다. 그러므로 Ⅲ 장에서 앗시리아와 이스라엘과의 관계 그리고 앗시리아 제국정책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앗시리아의 제국정책은 속국과 속주에 대해 차별적인 정책을 실행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속주 앗시리아의 일부분으로 편입되어 =1들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없었지만 속국은 주권이 인정되었고 따라서 정체성과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속국이었던 유다에서는 공식적 차원에서의 앗시리아의 종교적 강요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앗시리아가 이스라엘과 유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이스라엘과 유다가 간접적으로 이에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할 수는 없다. 정치, 군사, 경제적 목적을 띤 앗시리아의 피정복지 주민 강제 이주 정책과 앗시리아의 종교 방임주의는 유다의 종교 상황에서 내적인 다원주의적 성향을 심화시키고, 혼합주의적 요소를 낳게 하는 충분한 토양을 제공하였다. 그렇다면 이스라엘 왕정 시대의 종교적 상황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Ⅳ장에서는 이스라엘 왕정 시대의 종교적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척도로서, 요시아 종교개혁에서 제거의 대상이 되었던 대표적인 종교 행위들-산당, 아세라 그리고 앗시리아가 유다에게 미쳤던 종교적 영향으로 여겨지는 아하스의 제단 개축, 몰렉제의, 일월성신숭배-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이스라엘 왕정 시대의 상황은 다층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가나안에 정착하고 왕정이 설립되면서 이스라엘의 종교상황은 국가종교와 가족종교로 분리되었고, 또한 야웨종교내에서의 다원주의적 성향과 다신론적인 성향을 발달시켰다. 요시아 종교개혁은 이스라엘의 다원적 종교상황을 야웨 한 하느님으로 결속시키고 이를 통해 전 이스라엘의 연대를 이루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이스라엘의 종교적 상황과 구약성서의 하느님 사상이 시대와 상황에 따라 늘 변화하였고 불변적 요소와 함께 수용적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상대성과 다양성이 혼재하는 20세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한편으로는 고유의 전통문화와 타 문화에 대한 포용적인 태도를, 다른 한편으로는 기독교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제언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약어표 = ⅴ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3 C. 연구사 = 6 1. 이스라엘의 신 개념과 유일신 사상에 대한 연구 = 6 2. 앗시리아의 제국 정책과 유다의 종교개혁의 관계에 대한 연구 = 13 Ⅱ. 2열왕 23:1-27에 대한 본문 분석 = 16 A. 텍스트의 구조 = 18 B. 2열왕 23;1-27에 대한 본문 분석 = 24 Ⅲ. 요시아 종교개혁의 정치 - 사회적 배경 = 34 A. 앗시리아와 이스라엘의 역사적 관계 = 35 B. 앗시리아의 제국 정책과 종교 정책 = 41 1. 속주와 속국에 관한 정책 = 43 2. 피정복지 주민 강제 이주 정책 = 52 Ⅳ. 이스라엘의 왕정 시대의 다원주의적 종교 상황과 요시아 종교개혁의 의의 = 59 A. 산당 (□□□) = 60 1. 산당(□□□)의 어원적 의미 = 60 2. 성서에 나타난 산당(□□□)에 대한 일반적 고찰 = 61 3. 산당의 혼합주의적 요소와 야웨의 배타적 제의 = 65 4. Poly-Yahwism과 산당철폐 = 69 B. 아세라 (□□□□) = 73 1. 여신으로서의 아세라 = 74 2. 제의 대상으로서의 아세라 (□□□□) = 78 3. 왕정 시대의 여신숭배의 현상과 요시아 종교개혁의 의의 = 82 C. 앗시리아가 유다의 종교에 미친 영향 = 89 1. 아하스의 예루살렘 제단 개축 = 91 2. 몰렉 제의 = 93 3. 일월성신 숭배 = 98 Ⅴ. 결론 = 107 참고문헌 = 112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205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요시아-
dc.subject종교개혁-
dc.subject이스라엘-
dc.subject왕정 시대-
dc.subject신관-
dc.title요시아 종교개혁을 통해 본 이스라엘 왕정 시대의 종교적 상황과 신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cept of God and The Religion of the Israelite Monarchy : The Cult Reform of Josiah of Judah 2Kings 23 as a Source for the History of Israelite Religion-
dc.format.pageviii, 12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