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송희-
dc.creator한송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0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비교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자기 평가에 반영하기 시작하는 아동기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비교 상황에서의 맥락적인 자기 해석 점화의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독립적 자기해석, 관계적 자기해석, 중립적 점화 조건에 따른 자기 평가의 차이 및 비교 대상과의 유사성 지각의 차이를 검증하여 인지 발달 단계에 따른 영향 및 맥락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아동기에 속하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8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자기 해석 점화 과제, 사회적 비교 정보, 자기 평가, 비교 대상과 유사성 지각 평정, 비교 대상 평정 질문으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구성하고 각 조건별로 피험자를 할당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과제에 적절하지 않은 응답을 보인 14명의 자료들을 제외한 166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로 독립적 · 관계적 · 중립적 점화 과제, 상향/하향 비교 대상, 연령, 성별 조건에 따라 자기평가 및 비교 대상과의 유사성 지각 반응을 변량 분석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화 자극을 제시하지 않은 통제 조건인 중립적 점화 조건에서 상향/하향 비교 조건에 따른 자기 평가 점수의 평균과 유사성 지각 점수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여 알아본 결과, 상향 비교시에는 자기 평가를 부정적으로 하고, 하향 비교시에는 자기 평가를 긍정적으로 하는 경향성이 드러났다. 또한 비교 조건에 따른 자기와 비교대상과의 유사성 지각 질문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면, 유의미하게 상향 비교대상을 하향 비교대상보다 자신과 유사하게 지각하였다. 둘째, 점화조건, 비교조건, 성별에 따른 자기 평가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점화 효과 및 성별에 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점화 조건과 비교 조건의 상호작용 경향성이 있어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점화조건, 비교조건, 성별에 따른 유사성 지각 반응을 삼원변량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비교조건의 주효과가 발생하여 실패한 타인보다 성공한 타인과 자신을 유사하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립적 점화 조건에서보다 관계적 점화 조건에서 비교 대상과 자신을 유사하게 지각하는 점화 조건의 주효과가 발생하였다.;The current study examined self construal priming effect in social comparison to self evaluation and similarity perception with comparison tar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xtual priming effect in social comparison considering self development and gender. Participants were gathered in primary school in Kyungggi-Do. The number of Fourth grade students was 180, and 14 data were excluded due to inappropriate responses to priming task. The participants supposed to write down the differences(independent priming condition) or simi -larities(interdependent or relational priming condition) with their family and friend or describe the way from home to school(control condition) as a priming tasks. Then, social comparison information, self-evaluation rating and self-target similarity perception rating were present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post test by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in control condition, contrast effect appeared on upward/downward comparison in self evaluation. In other words, participants tend to evaluate themselves positively in case they were compared with unsuccessful target and poorly in case they were compared with successful target. And participants felt significant similarity with successful target rather than unsuccessful target. Secondly, there was not significant main effect of interaction effect by priming condition, comparison condition and gender. There was interaction tendency by priming and comparison conditions, and further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this tendency. Thirdly, There was main effect of priming condition and comparison condition on similarity perception. Participants felt themselves more similar to successful target. And they felt more similar to comparison target in relational priming condition than control condition. There was no gender effect.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xtual self construal activation influences on self-other perception but not on self evaluation among Korean children. This result means self evaluation is stable from childhood. And it is needed to study in different age and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6 A. 사회적 비교와 자기평가의 발달 6 1. 사회적 비교의 발달 6 2. 자기 평가의 발달 9 3. 사회적 비교와 자기평가 10 B. 자기 해석 12 1. 독립적 · 상호의존적 자기 해석 12 2. 자기 해석의 문화차 및 성차 14 C. 자기 해석과 사회적 비교의 관계 17 Ⅲ. 연구 방법 21 A. 연구 대상 21 B. 연구 도구 22 1. 점화 과제 22 2. 사회적 비교 정보 22 3. 자기-평가 및 유사성 지각 평정 23 4. 비교 대상 평정 23 C. 연구 절차 24 D. 자료 분석 24 Ⅳ. 연구 결과 26 A. 비교조건에 대한 자기평가, 유사성 지각의 일반적 경향 26 B. 점화, 비교, 성별 조건에 따른 자기평가, 유사성 지각의 차이 27 1. 점화조건, 비교조건, 성별에 따른 자기평가의 차이 27 2. 점화조건, 비교조건, 성별에 따른 유사성 지각의 차이 28 Ⅴ. 결론 및 제언 31 A. 결과 요약 및 논의 31 참고문헌 40 부록 47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16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회적 비교상황에서 자기 해석 점화의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lf-Construal Priming Effect in Social Comparison: Self-evaluation and Similarity Perception of Children-
dc.creator.othernameHan, Song hee-
dc.format.pageⅵ,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