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지현-
dc.creator이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99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가진 가족에게 있어 부부관계는 가족기능의 수준을 결정하고 장애아동의 치료와 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부부관계에 초점을 둔 실증적인 연구의 필요성에서 시도되었다. 따라서 발달장애아동을 가진 어머니들의 부부적응 정도와 개인변인인 양육부담감, 가족변인인 아버지의 양육참여, 사회환경변인인 자조집단 및 전문가의 지지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서 부부개입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부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 긍정적인 부부적응을 통해 발달장애아동 가족의 건강한 가족생활과 성공적인 재활교육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3세-12세의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 총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종속변수인 부부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DAS(Dyadic Adjustment Scales)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 중 양육부담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양육부담감 척도,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측정하기 위하여 생산적 아버지역할척도, 자조집단 및 전문가의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적 통계, t검증 및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부적응의 정도는 문항별 점수총합기준으로 151점 만점에 평균 92.8점으로 평균적인 부부적응 정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개인변인인 양육부담감, 가족변인인 아버지의 양육참여, 사회환경변인인 자조집단 및 전문가의 지지가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양육부담감 19.0%, 아버지의 양육참여 47.0%, 자조집단의 지지 19.6%, 전문가의 지지 18.2%로 나타나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부부적응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의 변인들과 부부적응의 하위영역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부간의 의견일치에서는 아버지의 양육책임감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양육참여활동, 자조집단의 지지, 전문가의 지지 순으로 부부간의 의견일치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육부담감은 부부간의 의견일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응집력에서는 아버지의 양육책임감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양육참여활동, 전문가의 지지 순으로 부부간의 응집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사회적 부담감은 부부의 응집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이었다. 관계만족도에서는 아버지의 양육참여활동, 아버지의 양육책임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부간의 애정표현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준 변인으로는 아버지의 양육참여활동이었고 아버지의 양육책임감, 전문가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부적응은 양육부담감보다는 가족변인인 아버지의 양육참여, 사회환경 변인인 자조집단 및 전문가의 지지에 의해 보다 잘 설명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실천에서 긍정적인 부부적응을 위해서는 양육부담감에 대한 개입보다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자조집단의 활성화, 전문가에 의한 구조화된 서비스가 보다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부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아버지의 양육참여활동으로 조사되었고 아버지의 양육책임감, 자조집단의 지지, 전문가의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긍정적인 부부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구성이나 개입 시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개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이론적 함의는 아버지양육참여와 자조집단 및 전문가의 지지라는 변인을 장애아동어머니의 부부적응에 처음으로 적용하였으며 특히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부적응에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밝혀냄으로써 장애아동가족의 부부관계연구의 범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둘째, 임상적 함의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긍정적인 부부적응을 도모하기 위해서 발달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며 자조집단의 활성화와 효과적인 전문가 지지의 형태인 parent to parent program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dictive factors for a marital adjustment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isabil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upon 376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ly disability with the range of 3 year old through 12 year old who are members of rehabilitation center. The survey tools was Dyadic Adjustment Scale, Care Giving Burden, Generative Fathering, and Social Network Grid. Collec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2.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marital adjustment perceived by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92.8(of 151) on the average. 2.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out influence of care giving burden, paternal involvement, social support from self-help group and professional on the marital adjustment, giving burden, paternal involvement, social support from self-help group and professional were identified as statis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The most powerful influence factor for marital adjustment perceived by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was paternal involvement, which 47.0% explanatory power.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s of each sub-areas of marital adjustment, it was found that marital dyadic consensus was affected most significantly by father'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are giving, followed by hi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support from self-help group and support from professionals in their order. On the other hand, care giving burde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arital consensus. And dyadic cohesion was also affected most by father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are giving, followed by hi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and support from professionals in their order. In addition, social sense of responsibility was a significant factor, too, affecting dyadic cohesion. Dyadic satisfaction was influenced significantly by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and hi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are giving. The variable affecting affectional expression between couples most significantly was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followed by father'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are giving and support from professional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1.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s mothers' marital adjustment would be best explained by such family variables as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and such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as supports from self-help group and professionals rather than care giving burden. Such a conclusion may well suggest that a positive marital adjustment to the social work practices require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activation of self-help groups and professionals' services more than intervention to relief of care giving burden. 2. The factor affecting these mothers' marital adjustment most significantly was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followed by father'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are giving, support from self-help group and support from professionals in their order. Hence, it is deemed necessary to refer to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to enhanc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when designing a program for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s mothers' better marital adjustment. The above conclusion may have the following social welfare implications. 1. Th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such variables as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and supports from self-help group and professionals were applied to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s mothers' marital adjustment for the first time, and particularly, that father's participation in care giving was found most important for those mother's marital adjustment, and therefore, that this study seemed to conduce to expanded scope of future researches into marital relationships of the families with developmental retarded children. 2.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fathers to participate in care giving and its programs for developmental disabled children's mothers' marital adjustment, and particularly, activate self-help groups and expand the 'parent-to-parent' program or a kind of effective professional suppo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xi I. 서론 1 A. 문제제기 및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6 C. 연구의 의의와 한계 7 II. 이론적 배경 9 A. 발달장애 9 1. 발달장애의 개념 9 2.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특성 14 B. 부부적응(Marital Adjustment) 18 1. 부부적응의 개념 18 2. 부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 20 III. 연구방법 29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9 B. 연구질문 및 연구모형 31 1. 연구질문 31 2. 연구모형 32 C.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33 1. 독립변수 33 2. 종속변수 38 D. 자료분석방법 42 IV. 연구결과 43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3 1. 발달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3 2. 발달장애아동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5 3. 발달장애아동가족의 특성 46 B. 측정변인의 수준 47 1. 양육부담감 47 2. 아버지의 양육참여 49 3. 자조집단의 지지 50 4. 전문가 지지 52 5. 부부적응 53 C. 주요 변수들의 상관관계 69 D. 발달장애아동어머니의 부부적응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 72 1.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73 2. 독립변수들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78 V. 결론 90 A. 연구결과 90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90 2. 연구대상자의 측정변인 수준 91 3. 연구대상자의 부부적응 수준 93 4.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부부적응 94 5.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94 B. 실천적 함의 96 1. 이론적 함의 96 2. 임상적 함의 97 C. 제언 102 참고문헌 104 설문지 122 Abstract 1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70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rital Adjustment Perceived by Mothers with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Focused on the Paternal Involvement, Support from Self-Help Group and Professionals-
dc.creator.othernameLee, Ji-Hyun-
dc.format.pagexiii, 13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