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자영-
dc.creator이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9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7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9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대 미혼 여성의 섭식장애 문제를 미누친의 구조적 관점에서 살펴본 논문이다. 미누친의 가족구조와 상호작용, 그리고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가족이 섭식장애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섭식장애와 가족의 관계성을 확인하고 섭식장애 치료에서 가족의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가족치료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섭식장애에서 부족한 사회사업적 가족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족치료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섭식장애 전문병원 하나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이 병원에서 가족치료를 받은 3명의 사례를 선택하여 환자, 가족 및 치료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은 2006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에게 동의서를 받은 뒤 미리 준비된 면접 지침을 가지고 심층 면접하여 녹취하였다. 면담내용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및 환경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하는 Yin의 사례분석 형식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섭식장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섭식장애 환자 개인의 부정적 자아상, 문제해결능력의 미숙과 함께 강압적인 가족분위기 등의 문제가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은 개인 및 가족간의 문제 해결 능력도 저하시켰다. 둘째, 섭식장애 환자와 가족의 관계에서 환자의 불안과 혼란, 가족의 구조 및 상호작용의 문제가 나타났다. 특히, 가족의 구조적 측면에서는 경계선에서 경직되고 혼돈된 모습이 나타났고, 근접성에서는 심리적, 정서적으로 밀착되어 있거나 분리된 모습이 나타났다. 위계질서에서는 부모와 자녀간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자녀들이 부모로부터 보호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측면에서는 명확성 혹은 개방성, 감정의 정도, 관계의 질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자와 가족 모두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갈등의 폭이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감정의 정도에서는 심리적, 정서적으로 이해받지 못하는 부분으로 인한 위축, 신뢰감 상실이 나타났고 관계의 질에서는 지지적이지 못한 가족 내의 분위기로 인해 잘못된 의견 주장 방식, 가족으로부터 버림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었다. 셋째, 섭식장애 환자와 가족의 전문적인 치료 과정을 통한 변화를 살펴보았다. 가족은 섭식장애 전문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서 치료자에 대해 신뢰를 갖게 되었다. 섭식장애에 대한 진행과정을 알게 됨으로써 적극적으로 치료에 참여하는 동기를 갖게 되었다. 가족 전체에 개입함으로써 구조 및 상호작용 방식이 변하게 되고 환자도 적극적으로 치료에 동참하는 개방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넷째, 치료를 통한 변화는 가족의 구조적인 측면, 의사소통 측면, 인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기존의 경직, 혼돈으로 인한 개인 경계의 침범, 밀착 혹은 분리로 인한 감정 교류의 단절이 적절한 분화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경계가 명확해지면서 자신의 의사표현이 보다 자유로워지고 이것이 받아들여지는 가족 내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졌다. 인식적인 측면에서는 가족과 환자가 섭식장애에 대한 지식을 갖게 되고 병의 진행 및 회복 과정에 대한 인식, 가족의 중요성을 알게 되면서 치료에 대한 적극성과 신뢰도를 갖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환자가 회복 단계에 들어서고 가족이 전체적으로 안정되면서 섭식장애라는 주제에서 벗어나 새로운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섭식장애의 문제는 환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해 고려해야하며 섭식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족의 구조와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부족한 가족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사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섭식장애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에 대한 부정적 자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른체형을 성공과 자신감의 척도로 인식하고 추구하는 사회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도록 올바른 자아 정체감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청소년 시기에서 성인 초기로 넘어가면서 이 시기에 가장 필요한 것은 앞으로의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태도이다. 무조건 마른 것이 아니라 나의 장점을 나타내고 발전시킬 수 있는 것들을 알아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노력하는 분위기를 만들고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여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자아상과 정체감을 확립하도록 돕는다. 둘째, 섭식장애 환자와 가족의 역기능적 구조, 상호작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부모와 자녀의 대화의 기회를 마련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족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족 및 외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 가족간의 문제와 갈등의 해결은 서로의 노력이 함께 필요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서로 함께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성숙한 가족체계는 가족 내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일차적 자원이 되며 가정이 제 기능을 수행할 때 이를 확대, 발전시켜 이차적, 삼차적 사회를 구성할 수 있다. 셋째, 현재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섭식장애에 환자와 가족의 치료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전문적인 치료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섭식장애는 단순히 개인의 치료로 해결될 수 있는 병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위해 현재 제한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심리, 상담 치료와 함께 거시적인 시각에서 사회복지적인 가족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 체계적인 치료과정을 가지고 가족이 함께 치료에 동참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회복과 가족기능의 향상을 도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families in eating disorder of women in their twenties. Especially, I have researched family structure, intervention and change of cognition in Minuchin's structural theory. Recently, the concern with eating disorder has been increasing and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serious problem of eating disorder. In spite of those importance and seriousness, the research on the eating disorder in family structural perspective has been scarcely conducted. Whil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personal and medical perspective such as eating disorder, this study was shifted from previous view to family structural perspective. So, first, researcher have undergone research factors of eating disorder and family relation. Second, researcher will find importance and influence of family therapy in eat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result, outcome has shown that family therapy of eating disorder is essential part in social work perspective and develop treatment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interview was conducted 3 families from eating disorder in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ic and a psychiatrist. The interview proceed from October, 2006 to November, and one session lasted about one hour and half. After interview, it has made full-recording by audio record and it has analyzed by Yin's case study for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factors of eating disorder have been negative self-image, oppressive family, low level of solving problem and communication skill. 2. The phenomenon of eating disorder family have experienced anxiety and fear. Especially, Family structure confused its boundary and they had communication problem. Therefore the family misunderstood their meaning and faced conflict getting serious. 3. Eating disorder patients and families got family treatment, changed their negative recognition and understood why family therapy is important in eating disorder. Therefore, patient have had motivation and effort to get better. 4. Eating disorder patients and families changed structure and interaction problem. They had more time to talk about family issue and understood other suggestions. And Parents gave their children the right to decide, respect their opinions. 5. The patients got better and thought about their future and talk about the issue with their family. These finding have provided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ers of family treatment. This study have showed that family therapy of eating disorder is very important. That result would illustrates that intervention of family perspective on eating disorder treatment is effective on improving family structure and sloving problem skill. Therefore, the role of social work provides various family perspective programs in eating disorder.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youth self-esteem developing program and communication skill developing program for parents. And it is needed more systemic family intervention in eating disorder patients and families. Consequently, the problem of eating disorder should be considered about individual as well family in order to overcome it and recognized the change for the way family interaction and structure. For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extend knowledge of insufficient family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ⅵ 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및 연구의 의의 3 1. 연구목적 3 2. 연구의 의의 4 Ⅱ. 이론적 배경 5 A. 섭식장애 5 1. 섭식장애의 특징 5 2. 섭식장애와 가족관계 11 3. 섭식장애와 가족치료 13 B. 미누친의 구조적 모델 14 1. 미누친의 구조적 모델 14 2. 섭식장애에서 미누친의 구조적 모델 17 C. 가족과 관련된 섭식장애 연구 및 가족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선행연구 20 D. 연구의 틀 22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방법 23 1. 사례연구 23 2. 연구대상 24 3. 자료 수집 및 절차 25 4. 자료의 분석 26 B. 연구질문 28 Ⅳ. 연구분석 29 A. 섭식장애 발생원인(인과적 조건) 29 1. 자신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기대감 29 2. 강압적인 가족분위기에 대한 부담감 34 3. 타인과의 감정문제 해결에서의 어려움 36 B. 섭식장애 문제 현상과 가족 구조(현상) 40 1. 불안과 혼란을 경험 40 2. 가족구조에서의 미분화되고 갈등적인 모습 41 1) 가족문제의 결정에서 절대적 영향력을 가지는 부모님(경계선) 41 2) 가족 구성원 간의 감정적 이해가 어려움(근접성) 46 3) 부모, 자녀간의 위계질서의 문제가 생김(위계질서) 52 3. 가족 내의 낮은 의사소통 수준(interaction) 54 1) 자기감정에 대한 개방이 어려움(명확성 혹은 개방성) 54 2) 가족의 감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감정의 강도) 56 3) 가족에 대한 기대감의 저하(관계의 질; 자존감, 신뢰, 분노의 표현) 58 C. 섭식장애 환자의 치료(맥락적 조건) 60 1. 치료의 제공 60 2. 가족의 지원 62 D. 가족치료를 통한 섭식장애 환자와 가족의 변화(중재적 조건) 66 1. 가족구조의 변화에 대한 노력이 보임(가족구조의 재설정) 66 2. 가족간 의사소통 기회의 증가에 대한 노력이 나타남 68 1) 명확성 68 2) 감정의 정도 68 3) 관계의 질 68 3. 환자와 가족의 섭식장애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남 72 4. 회복에 대한 동기, 의지가 생김 74 E. 회복단계(결과) 75 1.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게 됨 75 F. 섭식장애 환자와 가족의 관계 76 Ⅴ. 연구결과 및 제언 82 A. 연구결과 요약 82 B. 제언 84 참고문헌 88 부록 1 92 부록 2 95 부록 3 96 ABSTRACT 1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96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20대 미혼 여성 섭식장애 가족치료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ating Disorder of Women in their twenties Case study-
dc.creator.othernameLee, Ja-young-
dc.format.pageviii, 1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