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李垠의 정략결혼 연구

Title
李垠의 정략결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HE MARRIGE OF EXPEDIENCY OF LEE-EUN: FOCUSING ON THE ARTICLES
Authors
송우혜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Lee-Eun(이은, 1897~1970), the last Crown Prince of Daehan Empire(대한제국) was a victim of the times. It was due to the hostage policy and the mixed-blood marriage policy with a Japanese woman which were led by YiDeungBakMun(이등박문), a Japanese politician, and his political successors. Japanese imperialists propelled the two policies intensely in order to invade Daehan Empire and to rule the colony. So they tracked down Lee-eun into the snare of those policies. This thesis tries what to investigate the real facts of the marriage of expediency for the purpose of executing the Japanese's mixed-blood marriage policy. On those days when the Japanese imperialists were driving Lee-Eun into the marriage of expediency, the most influential mass media was a newspaper. So the Japanese imperialists propelled and achieved the marriage of Lee-Eun by positive controlling and utilizing newspaper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relations between the Lee-Eun's marriage of expediency and the articles of newspapers on that marriage, and tried to clarif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of newspapers, the process about how Lee-Eun was politically forced to marry EiBonGung BangJa(이본궁 방자), a Japanese imperial woman. The articles on Lee-Eun's marriag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historical stages. The first period was that of Daehan empire(1907~1910); during this period the marriage of expediency was drafted and begun to propel by the Resident-General, EiDeungBakMun. In that period, numerous newspapers were issued and they were competing with one another in a turbulence of anti-Japanese newspapers and pro-Japanese newspapers. EideungBakMun prepared for the circumstances to propel the marriage of expediency through preparatory operations which could be called 'maneuvering in the press'. The second period was that of the military government(1910~1919); it was between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Samil Independence Movement(삼일운동). After the downfall of Daehan empire through the annexation, Japanese imperialists established Chosun Government-General(조선총독부) and suppressed the press most rapidly. Japanese imperialists prohibited publishing all Korean newspapers except one and permitted the only one Korean newspaper『Maeil Sinbo(매일신보)』, as the journal of Chosun Government-General to represent their needs. So in that period, the press reports on the marriage of expediency of Lee-Eun was characterized as unilateral distortion and infusion of information by Japanese authorities. The third period was that of so-called 'Cultural Government'(1920);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삼일운동), the Japanese imperialists changed their policy in governing the colony from military government to cultural one. And this kind of change was reflected in the press also. They altered press policy and approved publishing of multiple Korean newspapers. Hence three national newspapers; 『Chosunilbo』(조선일보), 『Dongailbo』(동아일보) and 『Sisasinmun』(시사신문) were founded. The change of situation that there were multiple press authorities and they were competing in writing the articles and acquiring readers permitted the circumstance that Chosun people could express their opinion and emotion in the newspapers to a certain extent. So the appearance of the period could be transmitted to posterity in a more exact form that we can find from the news that Japanese imperialists kept strict guard in Seoul on April 28th, 1920 when there was a wedding ceremony of Lee-Eun in Tokyo, and from the articles about MinGapWan(민갑완), the ex-fiancee of Lee-Eun...etc. Examining the feature of the reports, related with the marriage of expediecy of Lee-Eun, it could be classified as two characters; reports of 'maneuvering in the press' and 'inducement of public opinion'. Japanese authorities propelled the marriage of expediency of Lee-Eun through the press reports of the two characters. Those two characters of the reports were closely interlocked with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s. Reports of maneuvering in the press were generally used in the period of Daehan empire when EiDeungBakMun was residing in Korea as a Resident-General. EiDeungBakMun often used maneuvering techniques to repeal the Daehan Empire Imperial Household's process to select the spouse for Lee-Eun and to drive Lee-Eun who was already practically engaged into breaking off the engagement. The Imperial Household Family of Daehan Empire tried in vain to cope with and defend from them. The goal of Japanese imperialists to achieve through propelling the marriage of Lee-Eun in that period was to invade Daehan Empire and make her a colony. Reports of 'inducement of public opinion' were generally used after Japanese imperialists had overthrown Daehan Empire through the annexation and made her a colony. It is a distinctive character that the reports contained unilaterally infused and distorted information provided by Japanese authorities. Japanese imperialists attempted to make the circumstance through the reports of 'inducement of public opinion' in which the marriage of expediency between Lee-Eun and EiBonGung BangJa could be achieved naturally. The goal of Japanese imperialists to achieve through the marriage of expediency of Lee-Eun in that period was the model for the policy of binding Korean and Japanese together as one body and the policy of assimilation for Korean and Japanese. And the ultimate goal to propel such policies was to obliterate the Korean race.;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였던 이은(1897~1970)은 일본의 정치가인 이등박문과 그의 정치적 후계자들이 주도한 인질정책 및 일본 여성과 결혼시킨 혼혈결혼정책에 의해서 시대의 희생양이 되었다. 일제는 대한제국 침략 및 식민지 통치를 위해서 그 두 가지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본 논문이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혼혈결혼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정략결혼의 실상이다. 일제가 이은을 정략결혼으로 몰아가고 있던 시대에 가장 힘이 있었던 언론매체는 신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제는 신문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고 이용하면서 이은의 정략결혼을 추진하고 성사시켰다. 본 논문은 이은의 정략결혼과 언론보도와의 관계에 주목하고, 일제의 강요에 의해서 이은이 일본 황족 여성인 이본궁 방자와 정략결혼을 하기에 이른 과정을 신문보도기사의 분석이라는 방법에 의해서 고찰하고자 했다. 이은의 정략결혼과 관련된 신문보도기사들은 시기적으로 크게 세 단계로 분류된다. 첫째는 대한제국 시기(1907~1910)로서, 이 시기에 통감 이등박문에 의해서 정략결혼이 입안되고 추진되기 시작했다. 당시 언론계는 복수의 신문들이 발간되면서 항일 민족지와 친일지들이 뒤섞여서 경쟁하고 있었다. 이등박문은 그러한 언론계 상황에 대한 이용과 역이용을 통해서 ‘언론공작’에 해당하는 작업을 펼침으로써 정략결혼을 추진할 여건을 마련했다. 둘째는 무단통치 시기(1910~1919)로서, 한일합방 이후 삼일운동 때까지를 지칭한다. 일제는 합방으로 대한제국을 멸망시킨 뒤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고 가장 먼저 언론계에 탄압을 가했다. 일제는 모든 한국어 신문을 폐간시킨 뒤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 하나만 발간되도록 조치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은의 정략결혼에 관련된 이 시기의 보도기사들은 일제 당국에 의한 정보의 일방적인 왜곡과 주입이라는 특성을 보인다. 셋째는 세칭 ‘문화통치’ 시기(1920)로서, 삼일운동 이후 일본의 식민지 통치정책의 기본 구조가 무단통치에서 세칭 ‘문화통치’로 바뀐 변화가 언론계에도 반영되었다. 일제가 언론정책을 변경하여 복수의 한국어 신문 발간을 허용하게 됨에 따라서 ‘3대 민간지’로 불린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와 『시사신문』이 창간되었다. 복수의 언론기관들이 존재하면서 기사 제작과 독자 확보에서 경쟁체제에 들어가게 된 상황 변화는 조선 민중들의 여론과 정서가 신문지면에 표출되는 여건을 만들었다. 그리하여 1920년 4월 28일에 동경에서 거행된 이은의 결혼식날 일제에 의해서 서울에 삼엄한 경계태세가 취해졌던 사실과 이은의 약혼녀였던 민갑완에 대한 기사가 지면에 크게 실리는 등, 당대의 모습이 보다 정확한 형태로 후세에 전달될 수 있었다. 이은의 정략결혼 추진과 관련된 보도기사들의 성격을 고찰하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언론공작성 보도와 여론유도성 보도이다. 일제 당국은 그 두 가지 성격의 보도기사들을 통해서 이은의 정략결혼을 추진했다. 그 두 가지 성격의 기사들은 당대의 정치상황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 언론공작성 보도기사는 이등박문이 통감으로 한국에 주재하고 있던 대한제국 시기에 주로 사용되었다. 이등박문은 대한제국 황실의 간택 절차를 파괴하고 실질적인 약혼상태였던 이은을 파혼상태로 몰아가기 위해서 언론공작적 숫법을 자주 썼다. 대한제국 황실에서는 그에 대항하여 방어하려고 적극 노력했으나 실패했다. 이 시기에 일제가 이은의 정략결혼 추진을 통해서 달성하려고 했던 목표는 대한제국을 침략하여 식민지로 만드는 것이었다. 여론유도성 기사는 일제가 한일합방으로 대한제국이 멸망시켜서 식민지로 만든 뒤에 주로 이용되었다. 엄혹한 통제를 가하는 일제 당국이 제공하는 정보의 일방적인 주입과 왜곡을 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제는 여론유도성 기사들을 통해서 이은과 이본궁 방자의 정략결혼이 무리 없이 성사될 여건의 조성을 꾀했다. 이 시기에 일제가 이은의 정략결혼을 통해서 달성하려고 했던 목표는 한일 양 국민을 하나로 묶으려는 동화정책 내지 내선일치정책의 본보기였다. 그리고 일제가 그러한 정책의 추진을 통해서 달성하려고 했던 장기적인 목표는 한민족 말살정책이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