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9 Download: 0

高麗 ‘龍樹殿閣文’鏡 硏究

Title
高麗 ‘龍樹殿閣文’鏡 硏究
Other Titles
Studies on the Bronze mirrors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from the Goryeo Dynasty
Authors
고유민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고려시대의 동경은 형태와 문양에 있어서 多種多樣하게 나타나며 그 수량 또한 방대하여 고려시대 前後의 樣相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고려에 銅이 많이 생산되던 특징과, 대량생산이 가능한 동경의 제작 방식, 부장풍습의 상관관계와 더불어 중국 동경의 영향도 반영하고 있다. 즉, 중국으로부터 수입되어온 舶載鏡, 기존의 동경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再鑄鏡, 모방하거나 일부를 변형하여 제작한 倣製鏡 등 중국과 같은 형태로 등장하는 동경이 다수이다. 高麗 ‘龍樹殿閣文’鏡은 이러한 배경 속에 고려에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지는 동경이다. 용수전각문경은 중국 동경의 일차적인 영향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새로운 표현으로 제작된 동경으로, 본 논문에서는 규격과 문양, 도상과 양식에 있어서 용수전각문경의 특징을 분석하고,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동경으로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한 용수전각문경 48점은 소장기관마다 그 명칭을 다르게 기록하고 있는데, 가장 적합한 명칭으로 龍樹殿閣文鏡을 제시하였고, 龍樹殿閣月宮故事文鏡 혹은 龍樹殿閣人物文鏡 등의 명칭에 대한 여지를 두었다. 출토자료를고찰해보면, 용수전각문경 1형식은 11세기 말, 2형식은 12세기 중반에 제작되어고려말까지 유행한 것으로 여겨지며, 개성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전국에서 산발적으로 확인되는 모습으로 미루어 개성에서 제작되어 지방으로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黑龍江省과 대마도에서도 출토되어 넓은 교역의 범위를 추측해 볼 수 있다. 형태는 모두 圓形으로 界圈의 유무와 도상의 표현에 따라 1형식과 2형식으로 구분된다. 지름의 크기는 1형식과 2형식이 그 범위를 달리하고 있는데, 1형식은19.8cm에서 21.8cm의 범위, 2형식은 18.6cm에서 21cm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다. 고려 동경 1248점을 대상으로 하여 도출한 통계에 의거하면, 용수전각문경은 전체 비율 중 약 16% 정도를 차지하는 20cm 이상의 큰 동경에 속하며, 무게에 있어서도, 3%에 해당하는 1000g 이상의 무게로, 섬세하고 수려하게 제작한 크고 무거운 동경이다. 또한 人物畵像ㆍ故事文鏡系에서 약 33%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20cm이상의 人物畵像ㆍ故事文鏡系 동경 중에서는 78%를 차지하며, 다른 인물고사문계의 동경들과는 달리 고려에서만 보이고 있어 고려에서 제작되고 애호된 대표적인 동경이다. 용수전각문경 도상의 연원은 월궁신화와 도가 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중국의 月宮故事文鏡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용수전각문경에서 도상의 종류와 표현은뚜렷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중국의 월궁고사문경에 나타난 전각과 인물, 나무는 용수전각문경에서 모두 다르게 표현되고 있으며, 용과 화염보주, 토끼의 화염문양 광배와 두꺼비, 구름 등은 새로운 도상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도상을 통해 용수전각문경을 새롭게 제작하면서 부여하고자 하였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우선, 중국의 월궁고사문경의 山의 도상 대신 구름을 표현하여 天界의 의미를, 두꺼비의 도상을 넣음으로써 달의 세계라는 의미를 강화하였다. 月宮이라는 세계와 그 안에서 구름을 타고 다니는 선인의 모습, 하늘로 오를 수 있게 해 주는 대상인용은 도가 사상을 더욱 뚜렷하게 표현하고 있다. 또한, 불교에서 불법을 수호하는 용과 佛國을 비추는 화염보주, 본생경의 설화와 관련지어볼 수 있는 토끼의 화염문은 불교사상의 표현으로도 볼 수 있어, 고려시대에 성행하던 도교와 불교를 조화롭게 담아내고 있다. 용수전각문경의 양식은 중국 월궁고사문경과 그 방제경 및 박재경, 월궁고사문경에서 토끼의 도상을 제외시켜 방제한 고려의 인물전각문경 양식의 영향을 받아 1형식이 제작되고, 1형식을 모방한 2형식이 주조되었다. 중국의 월궁고사문경과 반대되는 구도는 용수전각문경이 직접 음각되었을 가능성을 짐작해 볼 수 있게한다. 또한 1형식과 2형식 내에서 크기와 문양의 분석을 통하여 여러 번 再鑄된상황을 고찰하고, 1형식을 모방하여 제작한 2형식뿐만 아니라 중국 월궁고사문경에 용의 도상을 넣은 동경도 확인함으로써 용수전각문경이 애호되고 모방의 대상이 된 동경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용수전각문경은 중국 동경의 영향은 받았으나 새로운 도상으로 더욱 세밀하고 우수하게 주조된 고려의 대표적인 동경이며, 한 문양 내에서 재주와 번안이 이루어지며 유행한 동경이다. 출토 자료와, 크기와 무게, 문양의 우수함, 용의 도상이 포함되어 있음으로 미루어 고려시대 상류 계층에서 유행된 동경으로 여겨지며, 그에 대한 모방 또한 확인되어 여러 계층에서 애호된 동경으로 짐작된다. 중국 동경의 영향이 광범위한 가운데 용수전각문경과 같이 우수한 동경이 주조되었다는 것은 고려시대 동경에 대한 해석을 새롭게 해주며 고려의 사상을 담아 고려의 표현으로 제작되었다는 것은 그 가치를 더욱 의미 있게 한다.;Many bronze mirrors were cast in a large variety of shapes, sizes, and designs in the Goryeo dynasty. This aspect reflects the influence of Chinese bronze mirrors. That is, many Goryeo bronze mirrors were Chinese imports or Goryeo recasts(copies) based on Chinese originals,and some of them were modified in part. The bronze mirror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or 龍樹殿閣文鏡(Yong-Su-Jeon-Gak-Mun-Gyeong)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Goryeo bronze mirror because they were designed and cast in Goryeo. These mirrors are imbued with new thought of Goryeo and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distinguishable from Chinese mirrors. In this thesis, I have analyzed these mirrors as a way to learn more about Goryeo taste and thought. I have studied 48 bronze mirrors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They are all round. One can divide them into two types based on their decoration and the existence of a lin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arts. The two types have different size ranges: Type 1 mirrors are 19.8cm to 21.8cm, while Type 2 mirrors are 18.6cm to 21cm. 16% of the 1248 and 3% of the 162 Goryeo bronze mirrors in a statistical database are larger than 20cm and heavier than 1000g. Bronze mirrors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are belong to large and heavy bronze mirrors that take a small percentage of Goryeo bronze mirrors. They make up the largest percentage(about 33%) among the mirrors with figural or narrative decoration, and especially 78% among the mirrors with figural or narrative decoration that are over 20cm. Excavation information allows us to date this type of bronze mirror. We can assume that Type 1 mirrors date from the late 11C and Type 2 mirrors date from the mid 12C. About 47% of them were found near Gaesung, that was the capital city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rest of them were found in localities sporadically. This means they were centered in Gaesung, and expanded to other localities. Additionally,examples of this type of mirror have been found in Heilongjiang(黑龍江省) and Tsushima Island(對馬島), and it means that the range of trade in these mirrors was wide. The Origins of motifs on the Bronze mirror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are based on Chinese bronze mirrors, which are related to Lunar Palace myth and Taoism. However, the types and expressions of Goryeo motifs are certainly different form Chinese ones. Motifs such as people, a palace, and a tree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Goryeo. Some motifs (including a dragon, a toad, clouds, a flame-shapedmani, and an expression of flame behind a rabbit) appear in the Goryeo style but not in the Chinese style. The difference of motifs let us to read what Goryeo wanted to express newly. First, the added motifs, the clouds and the toad (asymbol of the moon) refer to the celestial sphere and lunar place. The people who ride clouds and the dragon that can ascend into heaven implies Taoism. Second, we can read Buddhism. The dragon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eight powerful spirits that protect Buddhism. The flame shape behind the rabbit is related to an old Buddhist story and the flame-shaped mani brightens a Buddhist world. These suggest that the Bronze mirror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express Buddhism and Taoism that were prevalent in the Goryeo dynasty. The stylistic feature of Type 1 is completed by some Chinese imports or Goryeo recasts. The composition of the Bronze mirror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however, is opposite from the Chinese style, and the Goryeo mirrors have new decorative motifs. It may indicates this bronze mirror was made by engraving an entirely new mold, instead of creating the mold from a Chinese model. Type 2 imitated Type 1, and the example of a Chinese bronze mirror(preservedat Gyungbuk University) into which a dragon shape was inserted shows that Bronze mirrors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were widely liked in Goryeo. Bronze mirrors with Dragon, Tree, and Palace designs are important types of Goryeo bronze mirrors that imply Goryeo taste andthought. Also, they display fine metal work and beautiful pictorial scenes. But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way that this type of mirror sublimates strong foreign influence in the distinguished way of the Goryeo dynas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