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중국 컨벤션 전문가 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Title
중국 컨벤션 전문가 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A Needs Assessment for the Convention Industry in China
Authors
고요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growth of convention planning management college courses in China, it may be argued whether the college curricula are providing graduates with required competencies for the convention industry. Ar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industry being taught? and specifically what are the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erform an assessment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convention industry as viewed by the industry itself, identify competencies now and compare the needs of the industry to the responsiveness to these needs by college education programs to satisfy these needs. Two groups, industry professionals and college professors, were surveyed as to compar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e two groups were both selected from CCES(China Convention & Exhibition Society), the largest association for convention planners, boasts over 300 members. The survey instrument was modified from Appelbaum's(1998) questionnair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mong the 43 competencies the top eleven competencies items required by the industry practitioners were: (1) Long range/strategic planning, (2) Risk management, (3) Information Analysis, (4) Budget Establishment, (5) Problem Solving, (6) Negotiation, (7) Communication(external), (8) Marketing, (8) Exhibits/Trade show arrangements, (9) Cultural Awareness, (10) Time Management. The college education program did not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competencies needed by the industry itself.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to develop convention curriculum for university in China.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최근 중국에서는 컨벤션 산업의 빠른 발전으로 인해 기획력과 연출력을 갖춘 컨벤션 전문가의 수요가 급증하였다. 현재 중국 컨벤션 산업 종사자들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획․운영의 경험이 매우 부족하고 이는 전반적인 컨벤션 산업 발전의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컨벤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교를 비롯한 각종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고 있다. 그러나 양적인 증가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향상이 뒷받침 되지 않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그렇다면 과연 중국 컨벤션 산업 전문가들에게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지,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어떠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또한 이러한 교육요구가 대학교 교육과정에서 반영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컨벤션 전문가에게 교육 요구되는 능력이 무엇인지를 파악한 후, 이러한 능력들이 현재의 중국 컨벤션 대학교 교육에서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여, 중국 컨벤션 전문가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컨벤션 산업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컨벤션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능력의 중요도와 현재수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산업계의 실질적인 교육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고, 산업계와 교육계의 "컨벤션 전문가의 능력 중요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학교교육과 산업계의 수요간 차이를 알아봤다. 산업계와 교육계의 조사대상자는 모두 CCES(China Convention & Exhibition Society)의 회원으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작된 설문지를 이메일로 배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산업계와 교육계에 각각 150부, 53부이며, 회수된 설문지 중 사용 가능한 자료는 각각 97부, 33부였다. 회수율은 산업계가 64%였고, 교육계가62.3%였다. 회수된 유효자료를 SPSS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컨벤션 전문가들은 설문지에서 제시된 6영역의 43개 항목의 능력에 대해 모두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고 이에 비해 현재 자신의 능력을 매우 낮게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관련 교육에 있어 모든 영역의 능력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켜야 한다. 둘째, 설문에서 제시한 6개 영역 중 일반경영영역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재무경영, 커뮤니케이션, 인간관계, 과학기술, 컨벤션 기획 및 운영의 순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반경영영역에서 장기운영계획, 정보분석, 마케팅 항목이, 재무경영영역에서 예산설정, 예산관리, 예산과 실제 사용액의 일치 항목이 상위 순위를 차지하였고, 커뮤니케이션영역에서는 협상능력, 외적 커뮤니케이션, 타문화에 대한 이해가, 인간관계영역에서 문제해결능력, 시간관리,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과학기술영역에서 화상/위성회의관리, 소프트웨어사용, 인터넷/이메일 사용 능력이, 마지막으로 컨벤션 기획 및 운영 영역에서 위기관리, 전시/무역 쇼 수배, 현장관리가, 각 영역 교육요구의 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셋째, 산업계와 교육계를 대상으로 각 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43개 항목 중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13개 항목이었다. 그 중 산업계 응답자가 의사결정, 리더십, 종업원의 선발 및 지원, 스트레스관리, 장기운영계획, 단기운영계획, 정보 분석, 예산과 실제 사용액의 일치, 전시/무역 쇼 수배, 회의시설 관리, 현장관리, 소프트웨어사용의 12개 항목에 대해 교육계가 인식하고 있는 중요도에 비해 높은 교육요구를 보였으며, 목적설립에 대해서는 교육계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낮은 교육요구를 보였다. 넷째, 산업계의 교육요구와 교육계의 중요도에 대한 상위 14개 항목과 하위 14개 항목을 각각 비교․분석한 결과 약 50% 정도만이 일치하였다. 따라서 각 교육기관은 컨벤션 교육에 있어서 산업계의 교육요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현 교과과정을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의 컨벤션 전문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현 학계의 컨벤션 전문가에 대한 정의가 모호하며 조사대상의 선정 또한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혀둔다. 이는 향후 전반적인 연구심화에 따라 컨벤션 전문가에 대한 정의 및 유형정의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지면 함께 보완될 것이다. 둘째, 설문지의 각 항목은 컨벤션 전문가의 능력에 대한 것으로 컨벤션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업무 영역에 대한 지식과 업무태도에 대한 연구 또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컨벤션 전문가 능력에 관한 선행 연구의 미비로 국외 자료를 기초로 제작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용함에 따라 체계적이고 정확한 설문문항의 구성이나 분류가 미흡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