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안혜원-
dc.creator안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6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04-
dc.description.abstract세계적으로 금융 기업의 발전이 확대되고 있으며 한국도 IMF이후 해외자본의 유입과 함께 금융시장이 거대해지면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와 함께 금융계 진출자 및 진출 희망자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2008년 금융시장 개방으로 인하여 금융인력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지식 기반 산업인 금융업이 고도화, 다각화, 국제화 됨에 따라 금융 기관 종사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은 금융 전문 인력에서 요구되고 있는 중요한 역량으로써 국가 경제 및 금융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금융기관 종사자들의 업무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고 있다. 특히 금융 시장의 확대와 세계화로 인하여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은 필수적인 능력으로 요구될 것이며 조직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서는 우리말의 경우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는지, 영어의 경우에는 어떠한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지는 파악하는 것과 그에 따른 교육 요구를 알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업무에서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기초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더욱이 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조직에서 영어 사용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외국계 금융 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업무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였다. 먼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업무커뮤니케이션을 영어와 우리말로 분류하여 살펴보며 이 때 발생하는 업무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훈련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현직 외국계 금융 기관 종사자 2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결과를 내용분석을 통하여 분류하였다. 인터뷰의 답변을 아이디어 별로 분류하여 하나의 단위로 나눈 후, 각각에 데이터 코드를 부여한 후 카테고리를 나누어 MS- EXCEL(MS-Office 2002)에 입력하고 빈도 계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말과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의 빈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말 업무커뮤니케이션에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빈번하였으며 특히 그 중 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빈도가 높게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문서 작성 커뮤니케이션이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에선 정반대로 문서 작성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었으며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그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는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업무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에서는 우리말 업무커뮤니케이션 경우 상향 커뮤니케이션과 부서의 분위기, 상사에 대한 눈치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따른 부담감에 의해 장애가 나타났다. 그러나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에서는 외국어를 사용함으로써 가지는 영어 사용 자체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과 함께 문서 작성과 같은 언어적인 차이에 의한 영어 사용의 한계점이 장애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말 업무커뮤니케이션에서는 대인관계에 대한 장애가 나타난 반면,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에서는 언어적 문제에 의한 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사려된다. 셋째, 업무커뮤니케이션의 교육 요구에서는 우리말의 경우 조직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처세술, 화술과 같은 대인관계 관련 교육 요구가 높았던 반면,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에서는 문서 작성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영어 작문 교육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업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국내 초기연구라는데 의의를 가진다. 특히 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들의 업무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의 경우, 그 사례가 전무하였다. 또한 업무커뮤니케이션을 사내 커뮤니케이션 및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하부 범주로써만이 아닌 독립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둘째, 증가하고 있는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분석함과 동시에 현재 필요로 하는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 교육을 파악하였다는 것에 데에 의의를 가진다. 현재 다양한 영어 교육이 이루어 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외국계 금융기관의 업무에서 영어 작문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들 및 진출 희망자들에게는 전반적인 영어 교육도 필요하지만 그 중 문서 작성에서 필요한 '쓰기'기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외국계 금융 기관 종사자들의 업무커뮤니케이션을 탐색해보는 실증적 연구로서 외국계 금융 기관 종사자들의 대한 포괄적이고 막연한 의구심 해소에 대한 기초적 연구였다. 따라서 효율적인 업무커뮤니케이션으로 발전 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수단에 대한 연구와 효과적인 교육 방안 및 방향을 제시하는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Financial institutions are developing ever rapid speed, and it is no exception in Korea where the interest in the field has been intensifying ever since foreign asset started flowing in after IMF crisis, increase the size of financial markets. As intelligence based industry, financial services, become more advanced/multi-functional/international, communication skills of those who work in the industry become even more essential with direct consequences to the end result; as a result the importance on the communication skills can not be over-emphasized. Given the continued expansion of financial markets with tighter integration into global markets,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skills will be essential and will directly lead to organizational succes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at kind performance is performance in English/Korean and how the communication process takes place in both English and Korean. There has been, however, lack of basic studies in the skills necessary in communication in professional settings, and studies on professional in foreign financial firms have been non-existence.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s education has become ever increasingly discussed topic in the education practitioners in the field. Throughout this study, I intend to examine current environment surrounding the English usage within a financial industry and how one can improve current education system to better fit the needs. In order to gain proper set of data, I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29 individuals employed with non-domestic financial firms(investment/insurance/brokerage/etc) based on an open-ended questionnaire. I categorized responses into different ideas and divide them into each unit. After that, I assigned data code to each unit and put that data into MS Excel(MS-Office 2002) and analyzed it by using frequency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is as follows. First, having analyzed occurrence of English/Korean workplace communication in professional settings, Korean workplace communication took place more frequently in face-to-face setting, especially with co-workers. Following face-to-face setting was written communication format. Looking at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written communication took place more frequently and face-to-face communication second. Also, in face-to-face commutation was mostly taking place in client interaction settings. Second, in case of workplace communication in Korea, the primary factors causing workplace communication barrier were mostly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like hierarchical communication structure, the atmosphere of the department that one works in, and studying each other's face at work. In case of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barrier was owing to the psychological burden that Koreans often have when using English at work because of the fact that English is not their mother tongue. On top of psychological burden, document preparation and language differences shows the limitation of fully utilizing English language at workplace, which was the major barrier in workplace communication. Hence, to sum up, the communication barrier was mainly caused by human network in Korean workplace communication, whereas, the limitation of utilizing foreign language was prominent in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Third, in case of Korean workplace communication, the educational demand on workplace communication were networking related issues like conversation skills, or developing worldly wisdom at work which today's organizational society demands. For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there was high demand for English composition trainings which helps written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t work. Significant meanings that this study ha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s the research at initial stage in Korea regarding workplace communication. Especially,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on workplace communication for Korean workers in foreign financial institutions, is in total absence. Also, this study takes its meaning by focusing on independent study regarding workplace communication, not as the sub-topics for within-firm or internal communication at work. Secondly, the means of this study lies on analyzing the increasing problems of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and also simultaneously grasping the education that is in need now for English workplace communication. Even though various English education is conducted currently in many firms; however, in reality, non-domestic financial firms in Korea need to put immediate attention on English composition trainings to improve practical, everyday business routines. Therefore, overall English education is required but especially, written communication skill should be strengthened for both current and prospective workers in non-domestic financial firms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arching and studying workplace communication practiced by workers in non-domestic financial firms, but it only proved and answered vague doubts regarding workers in financial firms. Hence, to develop effective workplace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and researches must be conducted hereafter, which can propose concrete directions and methods for effective English education in financial indust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iv 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5 II. 이론적 배경 8 A. 커뮤니케이션 개념 8 B. 커뮤니케이션 형태 9 C. 업무커뮤니케이션 11 D. 금융계 종사자에 관한 연구 12 1. 국내 연구 12 2. 해외 연구 13 E. 면접법 (인터뷰기법) 14 III. 연구방법 16 A. 연구 대상 16 B. 자료 수집 방법 19 C. 분석 방법 20 IV. 연구 결과 22 A. 업무커뮤니케이션 빈도 분석 결과 22 1. 우리말 업무커뮤니케이션 빈도 22 2.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 빈도 25 3. 우리말 업무커뮤니케이션과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의 빈도 비교 30 B. 업무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 33 1. 우리말 업무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 33 2. 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 장애요인 38 3. 우리말/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 비교 42 C. 업무커뮤니케이션 교육 요구 분석 결과 51 D. 우리말/영어 업무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과 교육 요구 비교 55 V. 결론 및 제언 61 A. 연구 결과 요약 및 논의 61 B. 연구의 한계 및 제언 62 참고문헌 65 부록: 설문지 74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56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외국계 금융기관 종사자에 관한 업무커뮤니케이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about Workplace Communication at Non-Domestic Financial Firms-
dc.creator.othernameAhn, Haewon-
dc.format.pagevi,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비서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