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貞林-
dc.creator金貞林-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8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6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850-
dc.description.abstract本 論文은 奚琴散調 리듬硏究의 基礎作業의 하나로서, 한범수류 奚琴散調와 지영희류 奚琴散調의 리듬에 관한 考察을 위하여 各 長短의 리듬形형과 서로의 相關關係를 살피고자 한다. 리듬의 가장 기본적인 形態는 鼓動拍이다. 그러므로 各 長短別로 鼓動拍들이 어떻게 分割되고 結合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散調리듬의 分析時., 진양조와 중중모리, 굿거리, 자진모리는 두 鼓動拍을 한 單位로 보았고, 중모리는 세 鼓動拍을 한 단위로 하였다. 또한 헤미올라와 싱코페이션에 의해 두 鼓動拍 또는 세 鼓動拍 이상으로만 구성되는 리듬형태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한범수류와 지영희류의 奚琴散調리듬을 考察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한 고동박의 리듬형태를 살펴보면 한범수류의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에서는 기본 고동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지영희류의 진양(♩.), 중모리(♩), 굿거리(♩.)에서는 기본 고동박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중중모리(♩.)에서는 기본 고동박이 단한번만의 출현을 보이고, 자진모리 (♩.)에서는 기본 고동박이 두번째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는 두고동박 또는 세고동박을 악장별로 살펴 보았다. 1. 진양조 두 鼓動拍으로 리듬을 分割할 때는 한범수류에서는 45 가지, 지영희류에서는 81 가지의 리듬형이 출현하는데 이중 한범수류에만 출현하는 리듬형은 14 가지이고 지영희류에만 출현하는 리듬형은 22 가지였다. 또한 가장 많이 출현하는 세가지의 리듬형을 합한(한범수류 40.97 %, 지영희류 26.67 %)수를 보더라도 한범수류는 주된 리듬의 反復이 주가 되고 지영희류는 다양한 리듬요소의 結合이 진양조의 틀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중모리 세 鼓動拍이 결합되어 출현하는 리듬형의 수는 한범수류는 42 가지이고 지영희류는 91 가지로서 매우 多樣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 鼓動拍으로 구분되지 않는 리듬형은 한범수류는 28.16 % 이고, 지영희류는 33.48 % 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나, 세 鼓動拍으로 分割할 경우, 세 鼓動拍으로 구분이 되지 않는 리듬은 한범수류 1.72 %, 지영희류 2.68 % 로 그리 많지 않았다. 3. 중중모리 두 鼓動拍의 單位로 이루어지는 경우 ♩♩♩, □♩♪ 의 리듬을 제외하고는 두 流에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리름형태가 없다. 또한 한 鼓動拍 이상으로 구분되는 鼓動拍은 한범수류는 39.73 % 이고, 지영희류는 59.7 % 이다. 두 鼓動拍 이상으로만 구분되는 鼓動拍은 각각 15.18 %, 8.33 % 로 앞장에 비하여 중중모리의 리듬은 헤미올라, 싱코페이션, 불규척 分割 리듬의 특징을 많이 나타내주는 樂章임을 알 수 있다. 4. 굿거리 두 鼓動拍의 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중중모리에서와 같이 주된 리듬형태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한 鼓動拍 이상으로만 구분되는 鼓動拍은 전채 중 24.02 % 로 나타나며 두 鼓動拍 이상으로만 구분되는 리듬형태는 19.61 % 로 두 鼓動拍이상으로 볼 때에는 奚琴散調 다섯 樂章중 가장 많은 싱코페이션, 헤미올라, 불규칙 분할 리듬이 나타남을 暗示하고 있다. 특히 굿거리의 독특한 形態인 엇박形이 많이 나타난다. 5. 자진모리 두 鼓動拍의 단위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범수류에서는 주요리듬으로 분류되는 ♩♩♩이 지영희류에서는 단 두번만 출현하고 있어 한범수류와의 差異를 보여주고 있다. 한 鼓動拍으로 구분되지 않는 리듬형태는 한범수류와 지영희류에 각각 39.13 % , 49.55 % 로 나타나며, 두 鼓動拍 이상으로만 구분되는 리듬형태는 13.04 % 와 19.09 % 로 싱코페이션과 헤미올라, 불규칙 리듬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리듬외 變形은 특히 한범수류보다는 지영희류에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考察을 다시한번 살펴보면 한 鼓動拍으로 구분하였을 경우에는 진양조가 가장 많은 리듬형을 보이고 있으며 싱코페이션과 헤미올라, 불규칙리듬은 중중모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鼓動拍이 두 鼓動拍이상으로 결합되어 나타나는 리듬형을 살펴볼 때는 중중모리에서 가장 많은 리듬형을 보이며 헤미올라, 싱코페이션의 리듬이 많이 나타나는 악장은 굿거리 > 자진모리 > 중중모리 > 종모리 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奚琴散調의 樂章 全般的으로 리듬은 지영희류에서 더 多樣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잘게 細分된 리듬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한범수류에서는 細分된 리듬은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고 주요 리듬의 反復이 눈에 띄며 反復되는 리듬도 기본리듬에 가까운 形態가 많이 사용됨을 볼 수 있다. 이로부터 한범수류는 리듬형태상으로는 단순하며 細分된 리듬보다는 주된리듬에 가까운 음의 反復使用으로 인해 重厚한 멋을 주며, 지영희류는 다양한 리듬형태를 바탕으로 잘게 細分된 리듬의 사용으로 纖細하고 여성적인 맛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鼓動拍의 分割 방법은 진양조와 중모리에서 더욱 연구가 이루어져야 되며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취급하지 않았지만 始作과 終止形에 대한 연구도 竝行되어야만 더 확실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ep towards investigating into the rhythm of haegum sanjo. I will focus on examining and comparing unique structure and relationship of each rhythmic pattern in the haegum sanjo of Han Po^m-su school and Chi Yong-hu^i school. The basic rhythmic patterns in a sanjo are devided by and composed of basic unit. When analyzing the sanjo rhythms, in Chinyangjo, Chungjungmori, Kutko^ri, and Chajinmori, two pulses are grouped as one unit and ,while in Chungmori, three pulses are grouped together. Also, rhythmic forms consisting more than two or three pulses due to hemiolas or syncopations are analyzed. At first, I investigated the rhythmic pattern with one pulse. In Chinyangjo (♩.), Chungmori(♩), Chungjungmori(♩.), and Chajinmori(♩.) of Han Po^m-su, the basic pulse appears most frequently. In Chinyangjo(♩.), Chungmori(♩), Kutko^ri(♩.) of Chi Yong-hu^i, basic pulse consists of most part of each section. In Chungjungmori(♩.) of Chi Yong-hu^i, however, the basic pulse appears once and for all. In Chajinmori(♩.) of Chi Yong-hu^i, the basic pulse appears as the second majority. I also analyzed the sections on the forms of two or three puls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Chinyangjo In terms of two pulses as the basic unit, Chinyangjo in Han Po^m-su's sanjo has 45 different rhythmic forms while that of Chi Young-hu^i's sanjo , 81. 14 out of 45 rhythmic forms in Han's Chinyangjo, and 22 out of 81 rhythmic forms in Chi's are unique in each school. The sum of the three basic rhythms' percentages in Han is 40.97 %, while in Chi, 26.67 %, which means that Han features more repetitive rhythms than Chi. 2. Chungmori With a rhythmic form having three pulses, there are 42 different forms in Han, and 91 in Chi. Regarding the forms that are definable only in terms of more than one pulse, Han had 28.16 % and Chi, no less than 33.48 % . However, on the forms definable as consisting of more than three beats, Han has 1.72 % and Chi, 2.68 %, which is relatively insignificant. 3. Chunjungmori When we divided this pattern into units consisting of two pulses, the two schools have no form in commcm except ♩♩♩,♩♩♩♩♪. Han has 39.73 % and Chi, 59.7 % of more-than-one pulse forms. On the forms of more than two beats, Han has 15.18 %, and Chi, 8.33 %. This means that Chunjungmori, compared to other sections of the sanjo, has large percent of irregular rhythms, syncopations, and hemiolas. 4. Kutko^ri Like in the Chungjungmori section, Kutko^ri does not have major rhythmic forms when devided into two pulse units. It has 24.02 % of more-than-one pulse forms and 19.61 % of more-than-two pulse forms. In the latter case, Kutko^ri has the most syncopations, hemiolas, and irregular rhythms compared to the other sanjo sections. The o^ttpak form, a rhythm that is unique to Kutk^ori, is featured here. 5. Chajinmori In the case of two pulses rhythmic forms the important form ♩♩♩ in Han is found only twice in Chi, which shows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Han has 13.04 % and Chi, 19.09 % with much syncopations, hemiolas, and irregular rhythms. Such rhythmic variety is featured more often in Chi than in Han. In conclusion, when we devide the rhythmic patterns of haegum sanjo in terms of the basic 'pulse', it is in the chinyangjo that we have the largest number of different rhythmic forms, and in the Chunjungmori that we have irregular rhythmic forms, syncopations, and hemiolas. However, if we devided in terms of two succeeding pulses as the basic unit, it is the Chunjungmori that has the most rhythmic forms. The comparison of the two sanjos revealed that the rhythms of Chi Yong-Hu^i's sanjo is more variated and detailed than those of Han Po^m-su's sanjo, which is more repetitive and simplistic. As a result, Han Pam-su's sounds grave and sincere while Chi Yong-Hu^i's is more refined and feminine. The method of deviding the rhythmic patterns into basic pulse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in the case of Chinyangjo and Chunjungmori. Research into the incipats and cadences of rhythms, although beyond the scope of this paper, will also deepen our knowledge of sanjo rhyth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ⅲ Ⅰ. 序論 = 1 1. 硏究目的 = 1 2. 硏究方法 = 3 Ⅱ. 각 樂章별로 나타난 리듬形態 = 5 1. 진양조 = 6 1) 한鼓動拍의 리듬형태 = 6 2) 두鼓動抽의 리듬형태 = 10 2. 중모리 = 16 1) 한 鼓動抽의 리듬형태 = 16 2) 세 鼓動拍의 리듬형태 = 19 3. 중중모리 = 25 1) 한 鼓動抽의 리듬형태 = 25 2) 두 鼓動抽의 리듬형태 = 31 4. 굿거리 = 36 1) 한 鼓動抽의 리듬형태 = 36 2) 두 鼓動抽의 리듬형태 = 38 5. 자진모리 = 43 1) 한 鼓動抽의 리듬형태 = 43 2) 두 鼓動抽의 리듬형태 = 48 Ⅲ. 結論 = 53 參考文獻 = 56 지영희류 = 57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79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해금산조-
dc.subject리듬-
dc.subject한범수류-
dc.subject지영희류-
dc.title奚琴散調의 리듬에 관한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범수류와 지영희류를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hythmic patterns of Haegum sanjo : Focused on Han Po^m-su school and Chi Yong-hu^i school-
dc.format.pagev,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