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특허권과 관련된 거래거절에 관한 연구

Title
특허권과 관련된 거래거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Unilateral refusals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Authors
박수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regulations on unilateral refusals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in Korea and decisions by the Korea Fair Trade Commission(KFTC) in comparison of statutes, decisions, judicial precedents and guidelines in the U.S. and the E.U. concerning regulations under the Antimonopoly Law against unilateral refusals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In Korea, unilateral refusals to deal are regulated as a type of abuse of and unfair trade. As a patent right is characteristically monopolistic and exclusive, it is controversial whether unilateral refusals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can be regulated by the Antitrust Law. A patent is a right to use a technologically created and patented invention monopolistically and exclusively for a specific period (Article 94 of the Patent Act), but if unilateral refusals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restrict competition beyond the purpose of the patent system they should be regulated by the Antitrust Law. In the U.S., the court assumes tha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not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by Antitrust Law. Article 271(d) of the 35 U. S. C revised in 1988 provides that a patent right holder’s refusal to license is not the abuse of the patent right or the illegal expansion of the patent right. However, ‘Antitrust Guidelines for the Licensing of Intellectual Property' established by U.S. Department of Justice and Federal Trade Commission declared that like other property right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e ruled by the Antitrust Law. The Supreme Court also ruled in its decision on the Kodak case in 1997 that a unilateral refusal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may violate Article 2 of the Sherman Act. On the other hand, on the Xerox case in 2000, the US Court of Appeal criticized the decision on Kodak and ruled that a patent right is given by the Patent Act and is exclud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Antitrust Law. In the E.U.,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and the European Commission assume the position that refusal to license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legal in principle but, in exceptional situation, it may violate Article 82 of the EU Treaty under the Essential Facility Doctrine. The Magill case in 1995 made it clear that refusal to license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can be subject to the Essential Facility Doctrine. Afterwards, the decisions on IMS and Microsoft were all made based on the Essential Facility Doctrine. By establishing ‘Guidelines of reviewing undue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KFTC made the Antitrust Law applicable to cases that competition is limited by actions that are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system, which is for encouraging invention and creation, and cannot be regarded as the fair exercise of rights, and presented a number of cases that can be considered unfair trade practises. Refusal to license an intellectual property right was also included in the cases. Unilateral refusals to deal related to patent rights are legal in principle, but if they restrict competition they should be prohibited as the abuse of market‐dominate position. In the decision on the abuse of market‐dominate position by Royal Information Technology Corporation in 2006, the Fair Trade Commission decides that the traded item was not included in the scope of patent, but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make more strict examination on whether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patent and, if included, whether to be the abuse of market‐dominate position.;본 논문에서는 특허권과 관련된 거래거절행위에 대한 독점규제법상의 규제에 관하여 미국과 유럽연합의 입법례와 심결ㆍ판례, 가이드라인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특허권 관련 거래거절 규제에 대하여 검토하고, 아울러 공정거래위원회의 심결을 분석해본다. 우리나라에서 거래거절은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와 불공정거래행위의 한 유형으로 규제되고 있다. 특허권은 독점배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특허권과 관련된 거래거절의 경우에도 독점규제법상 규제가 가능한지 문제 된다. 특허권은 기술적 창조에 대한 특허발명을 일정기간 독점적ㆍ배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특허법 제94조)이지만 특허권과 관련된 거래거절행위가 특허제도의 취지를 벗어나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독점규제법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미국에서는 지적재산권을 독점규제법의 적용제외영역으로 여기는 것이 법원의 입장이었다. 1988년 개정된 특허법 제271(d)조는 특허권자가 특허발명의 실시허락을 거절한 것 자체만으로는 특허권의 남용이나 특허권의 위법한 확장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규정하였다. 그러나 1995년 미국 법무부와 연방거래위원회가 제정한 ‘지적재산권의 이용허락에 관한 독점규제법 시행지침’은 지적재산권에도 다른 재산권과 동일하게 독점규제법이 적용된다는 점을 선언하였다. 법원도 1997년 Kodak판결에서는 특허권과 관련한 거래거절이 셔먼법 2조에 위반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반면 2000년 Xerox 판결에서 연방항소법원은 Kodak 판결을 비판하면서 원칙적으로는 특허법에 부여된 본연의 권리이며, 독점금지법의 제외영역임을 판시하였다. 유럽연합의 경우 법원과 집행위원회는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스거절은 원칙적으로 적법한 것이지만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필수설비이론의 적용을 받아 EU조약 제82조위반이 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1995년 Magill 판결에서는 지적재산권의 라이센스거절행위가 필수설비이론이 적용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하였다. 이후의 IMS 판결과 Microsoft 심결은 모두 필수설비이론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00년 ‘지적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대한 지침’을 제정하여 발명과 창작을 장려하는 지적재산권제도의 취지를 벗어나 정당한 권리의 행사로 볼 수 없는 일정한 행위가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 독점규제법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불공정거래행위로 인정될 수 있는 사유들을 예시하였다. 지적재산권의 실시허락의 거절도 그러한 사유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특허권과 관련된 거래거절은 원칙적으로 적법한 행위이나, 경쟁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엄격한 요건 하에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금지규정을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2006년 로얄정보기술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 심결에서 공정거래위원회는 거래물품이 특허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았으나 특허권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좀더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특허권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보다 엄격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