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1 Download: 0

하버마스의 합리성으로 본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의 소통적 성격에 관한 연구

Title
하버마스의 합리성으로 본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의 소통적 성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municational Characteristics of Netherlands Structuralism Architecture in the view of the communication theory of Harbermas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의 연구의 배경에는 소통이라는 일관적인 예술에 있어서의 문제가 발단으로 작용하였다. 예술이라는 장르에서는 소통이라는 화두는 예술의 가치를 결정지을 수 있는 하나의 평가수단이 되기도 한다. 소통이라는 문제는 오늘날 비단 예술의 문제만은 아니다. 이것은 사회적, 철학적 연구과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나 근대이후의 사회에서는 이러한 가치가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합리성과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을 분석하여 인간과 건축의 소통적 이상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근대이후 사회는 이성의 폐허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새로운 대안을 찾으러 노력하였는데, 철학에서는 소통적 화두를 가지는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합리성과 건축에서는 네덜란드 구조주의 운동이 그것이다. 하버마스는 의사소통합리성을 기획하였고, 그는 이 의사소통합리성을 통해 합리적인 사회를 지향한다. 이 의사소통합리성에 이르는 길은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하여, 그 이론적 행위개념과 형식 화용론이라는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인지, 도구적 합리성을 아우르는 포괄적 합리성 개념으로서 의사소통행위가 작동하는 토대이다. 또한 하버마스는 합리성 이론을 사회이론의 지평으로 확장될 수 있는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네 가지의 행위개념-목적론적 행위개념, 규범 규제적 행위 개념, 연출적·표현적 행위개념, 의사소통적 행위개념-을 검토한다. 네덜란드 구조주의는 근대건축이후의 획일화되고 엘리트주의적인 것에 반발하여 사회와 인간과 건축의 소통에 의의를 두고 건축을 전개한다. 이에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의 건축사상은 고대 도시의 영향으로 다양화되고 근본적인 원형 및 사상에 그 기반을 두고 쌍자현상, 공동결정, 수의미학과 같은 사상을 발전시켰고, 그에 따른 사상에 따른 건축적 요소로서, 매개공간, 공용공간, 분절된 형태, 미로의 공간과 같은 건축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건축적 요소를 하버마스의 4가지 행위이론과 대응시켜 그 유사점을 살펴보면 목적론적 합리성과 진리성과 원형사상의 건축어휘들은‘본질성’이라는 의의를 추출해 낼 수가 있다. 또한 규범론적 합리성과 공공결정의 건축어휘는 다의성과 미완성개념에 따라‘공공의 참여’와 같은 의의를 추출해 낼 수 있으며, 극적합리성과 수의미학과 같은 건축어휘는 ‘표현의 진실성’과 ‘미학적 표현’이라는 의의를 추출해 낼 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을 분석해보면 결국엔 목적론적 합리성과 원형의 성격을 강하게 띠는 건축물과 규범론적 합리성과 공공결정의 성격을 내포하는 건축물, 극적합리성과 수의미학의 성격의 건축물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며, 쌍자현상은 그 건축적 어휘와 특징이 공공결정과 수의미학의 극적합리성과 다 대응되지만, 수의미학이 극적합리성의 사상과 더욱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은 결국에는 하버마스가 주장하는 ‘소통’의 개념을 건축적으로 표현하였다는 것은 이론적 배경으로 밝혀낼 수가 있는데,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은 자신들의 소통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합리화된 건축을 추구하였다. 이것을 밝혀내는 것은 네덜란드 구조주의 건축을 철학적 이론을 토대로 그 의의를 더욱 견고히 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나, 이 논문을 통해 밝혀내고 싶은 것은 현대 건축에서의 인간과 건축과 사회의 소통적 이상에 계획적인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는 사상적 체계를 제의하고자 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al communicational way in architecture with society and human or architecture between human. Communication is the purpose of art and architecture even in society phenomenon. modernism is base on the strong rationality but it made a lot of ruins for human. in the philosophy. Harbermas made a new rationality the Communication Theory and to solve the problem dehumanizes. In architecture modernism had a lot of problem which elitism and mass- housing, functional problem. Netherlands Structuralism architect : Aldo van eyck, Herman Hertzberger, Piet blom, made an effort to solve these problem 'disconnected with human and architecture'. They insist 4 ideal phenomenon: Twin phenomenon, Co-determination, Aesthetic of number, Archetype. Harbermas communication theory is consist of 4 rationality: Cognitive-Instrumental rationality, Moral practical rationality, Aesthetic-practical rationality, when they are being 'Ideal speech condition' can be the communicational rationality. and the rationality be corresponded Propositional Truth, Normative rightness, Subjective truthfulness. This research has shown conclusively that there is a link between the Harbermas Communication Theory and Netherlands structuralism in inner connection. Netherlands structuralism has show that the way to communication with human between architecture and huma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