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현대여성의 소비욕망 고찰을 통한 자아표현 연구

Title
현대여성의 소비욕망 고찰을 통한 자아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lf-Expression through Consideration on Desire for Consumption of Modern Day Women
Authors
김아나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나는 쇼핑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I Shop Therefore I Am) 윗 글은 1987년 바바라 크루거(Barbara Kruger)가 제작한 포토몽타주에서 유래한 것으로, 데카르트의 명제' 코기토 에르고 숨' 즉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의 패러디이다. 근대의 문을 열었던 데카르트가 자신의 명제를 통하여 인간의 이성을 내세우며 신에게 대항하였다면, 본 연구자를 비롯한 현대 여성들은 쇼핑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증명하고 있는 듯하다. 인구학자 에드몬슨(Edmondson)은 한 세대는 그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의 정신 속에 존재하며, 한 세대는 일상적인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하였다. 어느 순간부터 우리는 패션 잡지 보그(Vogue)를 즐겨 보며, 뉴욕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섹스 앤 더 시티(sex & the city)의 캐리가 신은 구두 마놀로블라닉(Manolo Blahnik)에 대하여 이야기하게 되었다. 최근 개봉한 영화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Devil wears Prada)는 올 겨울 패션 트랜드(Trend)의 교과서가 되었고, 바로 전 베스트셀러는 현대 사회의 젊은 여성들이 꿈꾸는 라이프스타일과 쇼핑 취향이 반영된 소설 쇼퍼홀릭(Shopaholic)이었다. 연구자는 2006년도를 살고 있는 20대 여성으로,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나라는 존재의 이러한 소비적 특성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선행하여, 시대 문화적 배경을 근거한 동시대 20대 현대 여성들의 소비 욕망을 고찰하여 보았다. 2006년 기준의 20대 여성들은 시기적으로 돈 댑스콧(Don Tapscott)이 정의한 20대 N세대 여성과 중복되는 세대적 개념이다. 이들은 뉴미디어의 영향을 받은 N세대적 문화를 갖는다. 보드리야르(Baudrillard)가 말했듯 현대는 소비사회이며 현대의 소비는 이미 일차적인 사용을 넘어선 사회적 의미를 갖는 기호 가치를 지닌 이미지의 소비이다. 무엇을 소비하느냐는 자신이 누구인가를 말하는 수단이며, 자신을 어떻게 가꾸는가는 그 사람의 지적 수준과 존재 가치까지 판단하게 한다. 이러한 현대 사회 속에서 여성들의 삶은 소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현대 여성들의 소비를 통한 이미지 만들기는 정체성과 연결되고 궁극적으로는 자아실현을 이루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현대 여성들의 소비 욕망은 몸에 대한 관심과 외모관리로 나타나며, 명품구매를 통한 자기과시의 모습을 보인다. 또한 소비의 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트레이딩 업(Trading up), 소비와 오락을 한 개념으로 묶은 쇼퍼테인먼트(shoppertain -ment) 의 등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현대 20대 여성들의 소비 욕망은 동시대를 살아가는 자아의 모습을 비추어 볼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이를 통하여, 연구자가 이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취향과 표현 성향의 근본을 좀 더 선명히 밝혀보고, 현대 소비사회 속 자아의 모습을 정리하여 이를 작품의 주제와 내용으로 재구성해 볼 수 있었다. 작품 표현에서는 전체적으로 펼친 도형형태의 배경 면을 의도하여 사용하였다. 기본적으로는 단순화시킨 형태의 면들을 장식적인 소재들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단순한 면으로 전달되는 형태들은 게슈탈트 심리학에 기본을 둔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positive & Negative)의 착시 및 중복 이미지 등을 사용하여 이중성을 지닌 주제들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질감 및 소재 사용에 있어서는 현재 영국의 테이트(Tate) 갤러리에 전시되어 있는 크리스 오필리(Chris Ofili)의 더 어퍼 룸(The upper Room)의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와의 공통점을 참고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자의 특유의 표현 성향을 가진 재료 및 표현법으로 발전시켜 보았는데,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는 에폭시(Epoxy)소재의 사용과 그 물성을 통해 전달되어지는 느낌이라 할 수 있겠다. 한 세대를 살아가는 자신의 의미를 생각해 볼 때 삶이 의미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작가에게 자아를 고찰 과정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정체성확립과 자아실현의 수단으로서 소비를 하는 현대 여성들을 고찰해 보고, 그들이 가진 소비 욕망에 본 연구자의 모습을 비추어 명확히 해 보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론 고찰을 통해 자아의 모습을 밝혀내고 표현하는 과정과 이를 근거로 제작한 작품의 주제와 내용, 표현 방법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I Shop Therefore I Am. The above sentence came from a photo montage by Barbara Kruger in 1987, which is a parody of 'I think, therefore I am(Cogito ergo sum)', a proposition by Decartes. If he opened the door to modern era, advocating human reason and opposing to God, modern day women, including myself, seem to prove our existence by shopping. Demographic expert Edmondson said that a generation existed in the spirit of the people living in the generation and was formed by daily experience. No one knows when; but we started to read Vogue magazine and talk about Manolo Blahnik, the shoes that Carry in the TV show, Sex & the City, wears. Devil wears PRADA, the movie that came out recently, became a textbook of fashion trend for this winter; right before the movie, it was Shopaholic, the best selling novel about dream life style of modern day women and shopping preference. As a 20-something woman living in 2006, I started this study by questioning on my consuming patterns in this modern society. Prior to research on literature, I studied on the desire for consumption among contemporary 20-something women based on the background of time and culture. 20-something woman in 2006 is an overlapped concept with 20-something N(Net) generation woman defined by Don Tapscott. These women represent N generation culture influenced by new media. As Baudrillard suggested, modern society is a society of consumption and modern day consumption is about image that contains symbolic values of social significance beyond one time use. What to consume is the means to represent yourself and how to represent yourself shows your intellectual level and value. In modern society, life of women is closely linked to consumption. Image making of modern day women through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women's identities and ultimately used for self realization. Modern day women's desire for consumption is about interest in their bodies and managing their looks through buying designer brands to show themselves off. This is followed by trading up, which shows two extremes of consumption pattern; and shoppertainment that binds consumption and entertainment as one concept. Such desire for consumption among modern day 20-something women became the basis of reflecting themselves.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clarify further the foundation of existing preference and expression inclination; to reflect myself in modern society of consumption; and to reorganize the result by the theme and content. In my work, I used geometric shapes to cover the background. Basic simplified shapes with decorative motifs were used. Simple shapes were used to express dual theme using optical illusion of negative & positive and repeated image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In texture and material, I considered The Upper Room by Chris Ofili currently at Tate in the UK. I considered the common ground, based on which I developed unique materials and expressions; the most distinctive is the feel delivered through the use of Epoxy and its property. Thinking of self image living in an era makes the living meaningful and the process of self reflection is essential, especially to an artist. This paper is a means to study modern day women whose consuming behavior is a means to establish identity and self realization; to clarify desire for consumption to reflect self image; and to identify self image, theme, content and expression of the piece through theoretical study based on th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