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

Title
개항이후 남자 모자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an's Hats in Korea from 1876 to 1945
Authors
김이든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남자 모자에 관한 것이다. 개항이후 우리나라는 서양문물의 유입과 함께 사회, 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으며 동시에 복식문화도 이전과는 다른 형태로 변화했다. 이 시기의 모자는 기존의 전통모자와 서양식 모자가 혼재하여 나타났다. 개항이후 들어온 서양식 모자는 점차 전통모자를 대신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착용하고 있다. 개항이후 혼재했던 전통모자와 서양식 모자에 대해 살펴보고 전통모자가 서양식 모자로 변화하는 요인을 몇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개항이후 남자 모자의 변화 요인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각종 의제개혁과 단발령, 신분제도의 변동으로 이는 제도적 요인에 속하고 둘째는 외래문물의 유입과 그것으로 인한 전통적 가치관의 변화, 언론매체의 영향으로 이는 문화적 요인에 속한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외국으로 시찰단을 보낸 정부는 부국강병을 위해 서양의 제도와 문물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다. 사회 전반에 걸쳐 실시된 개혁은 복식에도 영향을 미쳐 갑신, 갑오, 을미년의 의제개혁과 대한제국이 들어선 1900년의 의제개혁이 이루어졌다. 여러 차례의 의제개혁을 통해 전통적인 관복과 관모는 간소화되었고 양복이 도입되었다. 특히 1900년의 의제개혁을 통해 바뀐 문관의 복식에는 연미복, 색코트, 프록코트, 실크해트, 중절모, 중산모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관복의 변화는 전통복식이 서양식으로 변하게 되는 큰 계기라고 할 수 있다. 1895년에 내려진 단발령은 남자들의 머리모양과 모자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단발령이 내려진 시행초기에는 일제가 개입해 강제적으로 시행했기 때문에 국민들의 큰 반발을 일으켰다. 하지만 단발은 개화의 물결과 함께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고, 위생상의 이로움과 이를 지지하는 언론과 집단의 영향으로 가속화 되었다. 갑오경장은 엄격한 신분사회였던 조선에 있어 엄청난 개혁이었다. 조선은 양반, 중인, 양인, 천인으로 나뉜 계급사회였고 특히 복식에는 여러 금제가 있어서 이를 통해 계급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17세기 이후 사회, 경제적인 변화와 발전으로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는 흔들리기 시작했고 1894년 갑오경장을 통해 완전히 폐지되었다. 신분제도의 폐지로 인해 복식을 통한 신분의 구별이 불가능해졌고 갓, 망건, 탕건 등의 모자도 신분과 상관없이 착용하게 되었다. 19세기 중반 이후 서양의 몇몇 나라와 일본은 식민지에 대한 야욕을 드러냈고 조선도 외부의 압력에 의해 강화도 조약을 맺음으로써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 이후 양복, 모자, 구두 등의 외국문물이 조선으로 들어왔으며 점차 일반인들도 쉽게 외국문물을 접할 수 있었다. 처음에 양복을 입기 시작한 사람은 개화파 인사들로 이들의 양복신사 이미지는 부정적 이미지로 비춰진 동시에 새로운 남성상으로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이런 현상은 개항 이후 새롭게 형성된 가치관과 전통적 가치관이 충돌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에는 복식도 두루마기에 중절모를 쓰고 구두를 신는 등 전통적 복식과 서양식 복식이 혼용되는 복잡한 현상을 보였다. 한편 개항이후에 들어온 외국영화는 유행에 민감한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고 거기에 등장하는 외국 배우의 옷과 모자, 안경 등은 크게 유행을 했다. 박문국에서 한국 최초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가 만들어진 이후 신문은 국민의 개화를 담당하며 사람들에게 신기한 서양의 문물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였다. 당시의 근대 신문들은 서구의 학문과 문물을 받아들여 옳지 못한 옛 풍속을 버리고 문명을 진보하는 일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을 하였다. 이러한 주장은 논설과 기사를 통해 의제개혁과 단발령, 의복개량운동의 지지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 기사와 광고를 통해 서양식 모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개항이후 남자 모자는 크게 전통모자와 서양식 모자로 나눌 수 있다. 망건, 탕건, 갓, 관, 방립, 갈모 등이 전통관모에 속하는데 이와 같은 전통관모는 제도, 문화의 변화로 인해 점차 그 사용이 줄어들게 되었다. 망건은 조선 후기에 수요의 증가로 생산량이 많아지다가 단발령 시행 이후 사용하지 않게 되자 수요가 줄어들었다. 하지만 단발을 반대하는 사람들과 지방 사람들의 수요로 인해 20세기에 들어서도 제주도 등지에서 여전히 제작이 이루어졌다. 탕건은 단발로 짧아진 맨 머리에 망건 없이 쓰는 경우가 많았고 이와 같은 모습은 당시 사진자료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탕건 역시 20세기에 들어서도 계속 생산 되었는데 당시 인모로 만든 탕건은 20원에 이를 정도로 매우 비쌌다. 갑오경장으로 신분제도가 폐지되면서 천민들도 갓을 쓸 수 있게 되었는데 이때의 갓은 양태의 폭이 많이 줄어든 것이었다. 갓은 대우와 양태가 분리, 제작되는 특징이 있으며 당시 갓을 판매하는 상점을 찍은 사진 등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이밖에도 각종 관과 방립과 같은 전통관모는 20세기에 들어서도 여전히 생산되고 착용되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서양식 관모에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개항이후 남자들이 착용했던 서양식 모자는 1895년 단발령 이후 전통모자를 대신하여 착용하기 시작했는데 중절모자, 중산모자, 파나마모자, 맥고모자, 조타모자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들 모자는 영국, 중남미 등에서 들어온 것들로 1920년대에 들어 크게 인기를 끌었다. 중절모자는 모정 부분이 움푹 들어간 형태로 당시 교과서 삽화나 신문 광고의 삽화를 통해 19세기 말부터 착용 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중절모의 광고는 가을과 겨울에 많이 등장하였고 두루마기와 함께 착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중산모자는 영국의 승마모자에서 기원한 것으로 모정이 둥글고 챙이 좁은 것이 특징이다. 중산모자 역시 중절모자와 같이 가을, 겨울에 인기 있는 모자로 가격은 원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파나마모자는 맥고모자와 함께 여름용 모자로 순백모자라고도 하였으며 주로 중남미에서 생산되었다. 권(捲)파나마모자는 돌돌 말 수 있어서 휴대하기 편했는데 가격은 일반 파나마모자보다 비쌌다. 맥고모자는 유학생모자라고도 하였으며 모정이 납작해 일자모자라고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도리우치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알려진 조타모자는 19세기 중반부터 상류계급의 수렵용 모자로 사용되었다. 조타모자는 주로 모직으로 만들어졌으며 솔기의 유무에 따라 유행이 있었다. 이밖에도 서양식 모자에는 방한모, 목출모, 나파륜모자 등이 있었다. 당시 신문 광고에는 다양한 서양식 모자의 삽화나 사진, 가격 등이 묘사되었고 모자를 손질하는 법, 유행하는 모자의 형태, 가격 변화 등이 실린 기사도 종종 등장했다. 모자는 대체로 재료, 원산지, 품질에 따라 다양한 가격대를 보였다. 또 서양식 모자는 두루마기나 마고자와 같은 전통복식과 함께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현재까지 널리 착용되고 있다.;This study is for 1876 to 1945 man's hat in Korea. Since 1876, Joseon empire rapidly adapted western culture and it affected both social and cultural side of Korea. This western cultural effect changed Korea traditional custom especially man's hat. This new trend of western style hat gradually replaced and still people wore as man's hat. The factors of change on hats after an opening port were distinguished two sides, institutional and cultural ones. First, costume reform,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nd a change of social status system. Second, an inflow foreign culture,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the effect of mass media belong to cultural factors. After the Ganghwa Treaty of 1876(江華島條約), government sent a group of inspectors to foreign countries and tried to take western institution and culture for the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Costume reform of Gabsin(甲申), Gabo(甲午), Eulmi(乙未) and 1900 in Daehanjeguk(大韓帝國) was included in several modern reforms. Traditional costumes and hats were simplified through costume reform. Above all, through costume reform in 1900, Western dress and hats were introduced for the civil service, and it included tail coat, sack coat, frock cat, silk hat, bowler and soft hat. The change of an official uniform was an important turing point toward the change of traditional dress to Western style. The event that influenced most greatly on hair style and hats of men was the ordinance of prohibiting topknots in 1895. At the very beginning, there was a strong resistance to Japanese interference. However, people accepted haircutting with a symbol of civilization and accelerated due to a sanitary advantage, effects of mass media, and groups supporting it. Status system was a core for premodern social structure of Joseon and YangBan became unsteady.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status system change had been accelerated to the ascent status group. This change had an influence upon costume and hats which were means of social position. After Gabogyungjang of 1894(甲午更張) everyone could wear Gat(黑笠), Manggeon(網巾), Tanggeon(宕巾). After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 and some Western countries exposed the plot against their colonies, Joseon was forced to open the door by the Ganghwa Treaty. Since then, Western civilizations, such as suits, hats and shoes, were introduced to Joseon and the people had been gradually exposed to foreign civilizations and easily experienced them. The first western style suit was appeared by Reformists and they became not only an ideal of man but also a negative image in Korea, because adoption of western culture influenced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It explained well in people's customs such as wearing traditional suit, Durumagi(두루마기) with western style hats and shoes. And also the western movie is one of the effects that changed people's customs especially young generation. They changed their custom as the western movie star such as wearing glasses or dressing up like actor in the movie. Since Bangmunguk(博文局) published the first Korean modern newspaper Hanseongsunbo(漢城旬報), newspapers had been charge of enlightenment and taken a role in introducing knowledges and civilization to people. At that time the modern newspapers claimed necessity for costume reform and acceptation of western culture to progress civilization. This claim appeared from articles and newspaper reports in the ways of the support costume reform, the ordinance of prohibiting topknots, and costume improvement campaign. And newspapers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Western hats through articles and advertisements. There were two types of hats that existed after an opening of port. Manggeon, Tanggeon, Gat, Gwan, Bangnip(方笠), Galmo(雨帽) belong to traditional hats and soft felt hat, bowler, panama hat, hunting cap, winter cap belong to western hats. Traditional hats were gradually disappeared because cultural and institutional side has been changed in Korea. Especially after the ordinance of prohibiting topknots, demand of traditional hats has been decreased. However, traditional hats like Manggeon, Tanggeon, Gat, Gwan were still manufactured in Jeju Island until early in the 20th century. After an opening of port people start to wear western style hats such as soft felt hat, bowler, panama hat, straw hat, hunting cap. These hats were imported from the United Kingdom, Latin America and they were very popular early in the 20th century. The first soft hat appeared in newspapers in late 19th century in Korea. The advertisement of soft hats often appeared in the fall and winter seasons and they were worn with traditional dress, Durumagi. A bowler was originated from a horse-riding hat and characterized by its round top and narrow brim. Like the soft felt hats, the bowler were popular during the fall and winter seasons and their prices varied according to their places of origin. Panama hats and straw hats, called as snow-white hats, were worn during the summer season and mostly manufactured in Latin America. Gwon(捲) Panama hats were easy to carry and their prices were more expensive than general Panama hats. The straw hat was known as a student-studying-abroad hat and also called as Iljamo(一字帽). Hunting cap was generally known as 'Doriuchi' in Japanese, had been used as a hunting cap of the upper classes since the 19th century. The hunting cap was largely made out of wool. Illustrations, photos and price of western hats were described in newspapers. Also such news as the mending ways of hats, shapes of trendy hats, changes of price appeared in the newspaper. Normally, the price of hats were decided by the place of origin and the quality of material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