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로버트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Combine) 미학 연구

Title
로버트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Combine) 미학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f Robert Rauschenberg's Combine Aesthetics
Authors
윤자혜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195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로버트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 1925 - )의 콤바인 미학에 대한 연구이다. 콤바인 미학(combine aesthetic)이 그의 작품 전반을 이해하는 데에 가장 큰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음에 동의하고, 등장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그가 교류한 시대적 사상과 교육의 영향 관계를 이해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콤바인 미학을 등장시킨 당대 미국 미술의 성격과 시대적 영향을 밝혀, 콤바인 미학의 본질에 접근한다. 콤바인 미학이 형성된 배경을 이해한 연후에 라우셴버그가 콤바인 미학을 어떻게 발현하고자 했는지, 그 사례를 평면 작업에서의 시도와 평면 작업을 넘어선 확장된 영역을 다룬 시도로 나누어 알아본다. 각 시도의 경향과 주제, 표현 방식의 변화에 따라 콤바인 미학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자 했는지와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를 분석한다. 이 과정은 콤바인 미학의 성격이 삶과 예술사이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노력한 작가의 기본 목표와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으로는 콤바인 미학이 삶과의 교류를 드러내기에 어떤 식으로 적합한 미학이었는지를 밝히는 논의를 포함한다. 콤바인(combine)이란 이질적인 오브제와 이미지들을 한 공간 안에 통합시킨 작업을 일컫는 단어로 1950년대 이후로 그는 조각과 회화, 퍼포먼스와 오브제 등 이질적인 장르들을 끊임없이 통합하려 시도하였다. 지금까지의 다른 연구에서 논한 콤바인 연구는 주로 라우셴버그 스스로가 콤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으로 명명한 50년대 중반, 캔버스와 오브제를 결합한 작품에만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라우셴버그가 자신의 작업을 콤바인이라 명명하며 전반적인 작품의 성격을 이해할만한 기준으로 삼게 된 배경과 이를 현재에 이르기까지 고수하고 있는 근거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작가가 어떤 배경과 이유에서 콤바인 미학을 작품의 주된 동기로 삼고 있으며, 만약 이에 대한 시대의 요구가 있었다면 그가 왜 그 요구를 수용해야 했는지, 이를 어떻게 수긍하고 부정하였는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에 덧붙여 콤바인 미학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받은 사상이나 장르가 있었다면 작가가 이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작품을 통해 표출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본고에서 다루게 될 주된 내용이다. '결합(結合)하다', '통합(統合)하다', '조합(組合)하다'라는 동사의 의미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의미를 성립시킬 둘 이상의 사물이나 사람, 즉 대상이 필요하고 이들을 하나로 합하고자하는 의지와 노력이 요구된다. 결합과 통합, 조합의 의미 모두 이 대상들로 하여금 서로 관계를 맺게 하여 하나로 만들거나 하나로 합쳐진다는 뜻을 지닌다. 이 과정에서 대상의 성격이 물리적인 조건에서 유사하거나 매우 구체적인 것이라면 이 대상들을 하나로 합치는 데에는 대단한 의지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관념적이며 그 성격이 매우 상이하거나 상반된 것, 혹은 복잡한 것이라면 이 둘, 혹은 둘 이상의 개념을 한 데 묶어 합쳐 하나로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라우셴버그가 콤바인 미학을 통해 결합하고자 한 각기 다른 대상들은 실로 다채로운 범주 안에 속해있는 다양한 성격을 지닌 것들이었다. 이 대상들은 철학, 문학, 역사 등의 인문학적 배경에 뿌리를 두고 있기도 하고, 추상표현주의, 입체주의, 다다, 팝 아트 등 미술사와 연관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 무용과 음악, 이벤트와 퍼포먼스, 과학과 우주탐사 등 미술 밖의 다른 장르와 교류를 통해 분야의 이질적인 속성과 내용의 결합을 시도하기도 하고,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국제화의 시도와 화합, 협동 정신 등 추상적이며 이상적인 개념을 결합하고자 하는 그의 의도를 작품을 통해 이해한다. 따라서 각기 다른 성격을 지닌 이 대상들을 통합하고자 하는 콤바인 미학의 주된 목표가 인간의 삶과 조금 더 가깝게 호흡하고자 한 라우셴버그의 의도를 가장 잘 담아낼 수 있는 방법론임을 분석하고 확인한다. 이 논의가 개념에 치우치거나 사변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각 시기마다 결합하고자 한 대상을 먼저 분석하고, 이를 어떻게 통합하여 보여주는지를 알아보는 과정으로 진행한다. 라우셴버그의 콤바인 미학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밀한 탐색은 미술사 안에서 그의 영향력을 되짚어 본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This thesis is written in attempt to study and trace Robert Rauschenberg's combine aesthetics. In Rauschenberg's works, the concept of combine is about unifying the unrelated images and objects into the same context. Combine has been viewed by other researchers with focusing mainly on the combine painting during 1950's, and discussed the limited its province as it is only about the mixture of two dimensional canvas with three dimensional objects. Therefore this thesis is trying to figure out what he tried to combine, and how from the advent of combine and its diversity sides by examining the combine aesthetics from his whole works' period. In the early 1950's when Abstract Expressionism appeared in New York, Rauschenberg started painting. He accepted and denied Abstract Expressionism's influence by applying their gestural strokes but also developed his own aesthetics, placing the newspaper behind the canvas. When it comes to tracing combine's basic sprit, this thes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from Black Mountain College, specially the color study from Joseph Albers and Zen Buddhism from John Cage in forming its broaden concepts of combine aesthetics. With the influence of abstract experiment and synthesis of the elements from the construction, Rauschenberg tried to unite the concept of daily life into his combine aesthetics. Through this thesis, one could overview the way that combine aesthetics applied by concerning those categorizations; two dimensional pictorial part and object based broaden part. For part one, the concept of the first stage, transfer drawing and silk-screen work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combination between colors, forms and images. When his name has been widely known as the first American artist who won the first prize from Venice Biennale in 1964, he shows his interests toward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his silk-screen paintings to firm Americanism. For silk-screen painting's potentialities to make copies and control the color and size, it could be the most efficient way to express his viewpoint to the world. Further it made the great influence to the art of the next generation; Pop art. For the second part, one would have known that Rauschenberg tried to build his combine aesthetics by exploring many diversity of fields; performance art to experience and combine the concept of the real time and space, science to explore and develop the new way to combine, and finally globalization to interchange foreign countries' culture. From this cultural exchanging project, he achieved the goal of combine aesthetics since this project offers the possibilities to show the whole synthesis of combine's experienced concepts and skills from the early stage by embracing the differences in all kind. Following fifty years' trace, there is the main theme which he pursues in the whole period of his career; understand the differences and make a room to consider its' hidden value by positioning all of the different elements from the various compositions, genres, countries. It is very clear that his positive way of viewing, encouraging to make art's province wider and it's border incapacit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