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9 Download: 0

기혼여성들의 일상과 시간사용

Title
기혼여성들의 일상과 시간사용
Other Titles
The Study on Korean Married Women's Time-Use in Everyday Life
Authors
엄인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생활시간자료를 분석하여 기혼여성들의 일상생활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상연구의 중요성과 기혼여성의 일상적 활동의 특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기혼여성의 일상생활에 대해 크게 두 가지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째는 기혼여성들의 일상을 지배하는 공통적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기혼여성이 한국사회에서 공유하고 있는 생활의 조건을 밝히는 작업이다. 이는 기혼여성들 개개인의 차이에 의해 나누어지지 않는 기혼여성들 일상생활의 집단적 성격을 보여줄 것이다. 둘째, 기혼여성들의 각기 다른 사회적 특성들이 일상생활을 어떻게 다르게 만드는지를 알아본다. 기혼여성이라는 동일한 사회적 조건 내에서 일상생활의 분화를 만드는 요소들은 무엇이며 그 요소들은 일상의 각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기혼여성들을 생활시간 사용방식에 따라 유형화함으로써 각각의 생활시간사용 유형의 특징과 그 집단들에 속하는 기혼여성의 특성들을 비교한다. 본 연구는 통계청의 <2004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일상생활은 시간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하루 24시간의 구체적 활동들을 조사한 생활시간조사 자료는 일상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분석에서는 기혼여성의 일상을 시간적 차원에서 기본생활시간, 가족생활시간, 여가생활시간, 직장생활시간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 중에서 기본생활, 가족생활,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기혼여성들의 생활시간사용을 살펴보았다. 각 영역의 생활시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한 기혼여성의 특성은 가족·생애주기 특성(연령, 미취학자녀 유무, 부모부양 여부), 기혼여성의 계층관련 특성(교육수준, 취업여부, 직업, 소득수준), 남편의 계층관련 특성(교육수준, 직업, 소득수준)이었다. 이 외에 생활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되는 지역변수(농가여부, 거주지역)와 시간변수(요일, 근무시간)를 추가하여 기혼여성의 생활시간들을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회귀분석, 군집분석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기혼여성들의 일상생활은 크게 가족과 가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점이 한국사회에서 기혼 여성을 하나의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줄 수 있는 공통기반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생활과 가족생활은 비교적 요일에 따른 큰 차이가 없어 기혼여성들에게 의식주관련 가정관리나 가족보살피기는 매일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일상적 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혼여성 내부는 다양한 사회인구학적인 위치에 따라 분화를 보이는데, 특히 취업여부와 미취학자녀의 존재가 일상 전 영역에 걸쳐 주요한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기혼여성의 취업은 유급직장노동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여타의 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제약하며,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자녀양육 시간을 늘림으로써 다른 생활시간을 감소시키는 주된 요인이었다. 한편 계층적 특성의 영향은 기본생활영역과 여가생활영역에서 유의미하였다. 기혼여성의 계층관련 지위가 높을수록 기본생활에 사용되는 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여가생활시간과 여가다양성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상의 주요 행동들에 사용한 시간을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혼여성들은 네 가지의 생활시간사용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생활시간사용 유형들은 집안일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소극적인 여가시간을 보내는 집단(군집1), 어린자녀 돌보기가 생활의 중심인 집단(군집2), 다른 의무적 활동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롭게 다양한 여가활동으로 하루를 보내는 집단(군집3), 그리고 생활시간의 거의 대부분을 직업노동에 쓰고 있는 집단(군집4)이었다. 군집2와 군집4는 각각 가족생활시간과 직장생활시간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군집1과 군집3은 시간양적인 측면에서는 서로 비슷한 것처럼 보였으나, 계층적 특성과 여가생활 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일상 각 영역에 대한 생활시간 분석결과, 즉 취업여부와 미취학자녀의 존재가 기혼여성의 생활시간 구조를 결정짓는 핵심적 요인이며, 여가 영역에서 계층적 특성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반영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생활시간량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기혼여성들의 특성들이 표현되는 방식을 보다 구체적이고 질적으로 다루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일상의 세세한 부분을 측정할 수 있고, 누구에게나 공통되고 일관된 시간자료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지역이나 연령대의 기혼여성들로 연구를 한정시키지 않고 기혼여성 전반의 일상생활에 대한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cial meaning of married women's everyday life by analysing their time use in daily lif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significance of everyday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s mundane routines,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wo questions. First, what do married women have in common with their daily routine? This question is to find out the common base of married women's everyday life which congregates them as one homogeneous social group. In comparison with married men and with unmarried women this work will clarify what characterizes married women's time use in everyday life.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time in the inner married women's group? This question is derived from the interest in what makes their daily routines different despite the same condition they have as 'married' 'women' in Korea. This work includes 1)analysing the effect of social demographic factors on time-use, and 2)clustering married women by their time use types. This study analyses time diary data from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N.S.O.(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2004. Since daily life is composed of time schedule Time Use Survey data will provide rich information about married women's everyday life. In terms of time I classified everyday life into four categories : 1) basic lifetime which includes personal essential activities(such as sleep) and house/home maintaining activities, 2) family lifetime which measures time used for taking care of family members including married women themselves, 3) leisure lifetime for leisure activities, 4) work lifetime which means labour-time quantity for their jobs. This study focuses on basic lifetime, family lifetime and leisure lifetime among the above four. Socio-demographic factors, time factors, and area factors were considered as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time use.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rried women's daily routines revolve around family and home, which is the common base congregating married women as a homogeneous group. There were no big difference by weekday or weekend in the amount of time used for basic life and family life. This reveals housework and family care are repetitive regular part of married women's everyday life. Second,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preschool children were the main factors making big differences in their daily routines. Married women's employment increases their working hours and consequently limits the time-use for other activities. Likewise having preschool children requires much time for childcare and decreases the amount of time for other activities. Third, SES factors were reveal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basic lifetime and leisure lifetime. As married women's SES went higher the time used for basic lifetime decreased. Otherwise higher SES increased both of time quantity of leisure activities and the diversity of leisure lifetime. Lastly, four time-use types were derived from the cluster analysis. They were labeled by the features of time use and of the married women who belonged to each clusters: housewives characterized much housework and passive leisure activities (Cluster1), mothers of young children (Cluster2), less (house)work and better leisure (Cluster3), working wives (Cluster4). Most of the members of Cluster2 are housewive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and they spend plenty of time on childcare. Cluster4 consists of those who spend most of the time for occupational labour. Cluster1's leisure time consists of mostly TV watching while Cluster3 enjoys various leisure activities. And those who belong to Cluster3 generally had higher SES than those in Cluster1. This result confirms that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preschool children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temporal structure of everyday life. Also it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SES works specially distinguishing on married women's leisure life. Many previous studies on married women's daily lives tended to deal with only specific parts of everyday life or some parts of married women. This kind of weakness were mainly caused by the limitations of data they'd used. By using solid time use survey data at nationwide level this study could cover the married women's everyday life without limiting the range of the study. To shed a light on married women's daily routines in temporal aspects, this study can gain the significance in both of time studies and women's studies.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