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진현영-
dc.creator진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27-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1990년대 후반에 제주시가 실시한 택지 개발의 결과로 2000년에 이후에 조성된 연동 노형 신시가지를 연구 지역으로 삼아, 제주에서의 신시가지 공간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과 그 의미의 내용을 살펴본다. 가장 먼저, 제주 사회에서 현재 ‘신시가지’의 공간이 어떠한 의미로 구성되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신시가지 거주자와 신시가지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신시가지 조성이 낳은 ‘대단지 고층 아파트’라는 도시 경관과 공간을 경험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소감과 장소성, 장소정체성이 신시가지이라는 공간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덧붙여 지역 언론 및 학계에서 다루어진 신시가지 공간 및 아파트 경관에 대한 담론을 통해서 제주에서 신시가지가 다른 의미를 얻게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신시가지 지역에 사는 거주자와 비거주자들에게 있어 제주 지역사회 정체성과 지역 사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의 신도시 연구에서 보여지는 신도시 조성이후 신도시 거주자와 비거주자사이의 지역 사회 정체감의 차이가 중소도시의 신시가지 지역에서도 드러나는 지를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신시가지 공간이 지닌 장소성의 의미를 연구했다.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의 대상은 제주시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 남녀로 제한하었다. 여기서 제주시는 2006년 7월에 제주시와 하나로 통합된 북제주군을 합쳐서 포함한 행정적 단위가 된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253개의 설문 응답과 5개의 심층 면접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제주시의 택지 개발은 고도제한 완화와 그린벨트 해제라는 탈 규제속에서 대단지 고층 아파트로 조성된 신시가지 주거 지역을 형성하였다. 신시가지의 아파트 경관은 제주 사회에서 물리적으로 독특한 도시 경관을 만들어주었다. 대단지 고층 아파트의 경관을 통해 신시가지는 ‘대도시의 신도시’와 같은 이미지로 구성되며, 신시가지 지역은 미래의 '제주 국제자유도시‘의 거점 지역이자 가장 도시화된 공간의 이미지로 구조화되어간다. 둘째, 제주 사회에서 신시가지의 장소성은 투자 가치가 있는 장소, 계층적 거주 장소, 서울화된 장소, 한라산 조망권이 돈으로 환산되는 장소로 나타난다. 이러한 장소성은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차이에서 비롯된 신시가지의 장소 경험과 장소감 뿐만 아니라 지역 담론에서 확인된다. 셋째, 2000년, 2005년 각각 연동과 노형 신시가지로의 이주를 통해 형성된 신시가지 주민들은 다른 거주 지역 주민과 다른 지역 사회 정체성과 인식을 보여주고 있었다. 제주도 소속감으로 알아본 지역 정체성은 거주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제주시를 관광지로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항에 대한 응답은 거주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전체를 조사 대상으로 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신도시 연구처럼, 제주시 지역도 신시가지 지역으로 인해 계층별 주거지 분화가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더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들의 생활양식이 실제 경험적 측면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신시가지의 공간적 의미가 계층성을 띠게 되는지는 정확히 연구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기존의 제주 지역을 관광지라는 기능에 측면에 한정시켜 연구하던 방향에서 벗어나, 거주지로서의 제주도로 접근하여 실제 그 속에 살고 있는 거주민들의 이야기와 경험을 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thesis is a case research on 'Yeon-Dong and Nohyoung-Dong New District' which are located in Jeju-Do. ‘Yeon-Dong and Nohyoung-Dong New District' had been built up with huge apartment complex since the year of 2000 by housing development plan. The issue of 'New District' had hardly been studied in Sociology. However, previous studies on New Town development in Korea point out that 'New Town' in Metropolitan City have taken a powerful role to segregate residental districts by class and to create residentially different regional identities in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examine the meanings of New District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New district in Jeju-do and second, to show the influences of 'New District' on Jeju society.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identities of each residential district dwellers after the 'New District' development has done in Jeju-Do.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is thesis analysed 253 responses of the questionnaire, 5 in-depth interview cases, and also daily newspaper published in Jeju-D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local government withdrew Green belt zone and lift the high limit in Jeju-City in the mid-1990. Free from the restrictions high-rise apartments began to being built up on a large scale in 'New District'. These newly created area had made distinctive landscape of Jeju that Jeju people have never seen before. The landscape of 'New Town' has multiple meanings which are socially constructed in Jeju society. It has attained social value of very prominent space and place. This means that the images of 'New Town' are now regarded as a symbol of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in Metropolitan city. In addition, the mere space, New Town had been constructed as a 'place' which is most urbanized in Jeju and the core business area for 'Jeju International City Development' in near future. Moreover, the 'placeness of New district' has multi-layered meanings and symbols. First, it is a place similar to 'Seoul' which is a symbol of 'Metropolitan city'. Jeju people had never experienced traffic congestion such as rush-hour before New District development. But it has appeared only in New District since 2000. This phenomenon is unfamiliar and strange to Jeju people living for a long time there. Second, in terms of investment it is a profitable place with nice view of Mountain Halla. Third, it is regarded as stratified residential place where the middle class in Jeju live. It is partly because in Korea living in the apartment represents the lifestyle of middle class and above. Finally, It is said that after building 'New District', there exist the residential groups that have different understanding 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 issues. For example, Jeju people have began to recogniz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ince New district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i I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II . 이론적 배경 4 A . 지역 정체성 4 B . 장소와 장소감(sense of place), 장소성(placeness) 8 C . 공간의 사회적 구성 10 III . 연구문제와 분석틀 15 IV . 연구 방법 19 A . 설문 조사 19 1 . 조사 대상의 선정 및 자료 수집 19 2 .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0 3 . 분석방법 22 B . 문헌조사 22 C . 심층면접 24 1 . 면접조사대상의 선정과 조사방법 24 2 . 면접조사대상자 현황 25 3 . 인터넷 게시판 조사 26 V . 신시가지의 사회적 구성 및 장소적 의미 27 A . 연동·노형 신시가지의 형성 27 1 . 연동·노형 신시가지의 택지 개발 27 2 . 차별화된 도시경관의 생산 : 대단지 아파트 경관 조성 30 B . 신시가지의 공간적 의미 구성 및 장소감 32 1 . 미니 신도시로서 신시가지: 도시화 32 2 . 투자 가치의 공간 44 3 . 계층이 드러나는 거주공간 48 4 . 한라산 조망과 장소 정체성 53 5 . 제주도여서 좋은 신시가지 56 6 . 지역 거주지 분화의 특수성의 약화 혹은 공존 60 7 . 육지 사람들의 공간 61 VI . 지역 사회에 대한 인식 66 A . 신시가지 건설에 대한 인식 66 B . 지역 정체성: 도민 소속감 70 C . 빈부격차 76 D . 관광지로서의 제주시:관광지 범위에 대한 인식 80 VII . 결론 83 VIII . 참고문헌 85 <부록> 설문지 90 ABSTRACT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94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제주시 신시가지의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patial meanings of 'Yeon-Dong and Nohyoung-Dong New District' in Jeju-Do since the year of 2000-
dc.creator.othernameJin, Hyun Young-
dc.format.pagev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