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5 Download: 0

Omeprazole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Title
Omeprazole의 안정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abilization of Omeprazole by Complexation with Ethylenediamine
Authors
金允貞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약학과
Keywords
Omeprazole안정화오메프라졸오메프라졸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order to stabilize omeprazole, omeprazole-ethylenediamine salt was prepared. The complex of omeprazole and ethylenediamine was identified by IR, DSC and NMR. Result of AA showed that the molar binding ratio was 1:1. The stability test of omeprazole-ethylenediamine salt(OMP-EDA)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pH and humidity was performed compared to omeprazole itself(OMP) and omeprazole-sodium salt(OMP-Na). To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the stability of OMP-EDA in aqueous solution was examined at 30, 40 and 50℃. The remaining percentage-time curves revealed that OMP-EDA was degraded more slowly than OMP and OMP-Na as a function of time and temperature following pseudo firsrporder kinetics. The rate constant in OMP-EDA solution was much lower than that in OMP solution. The degradation half-lives of OMP-EDA at 30℃ was 322.33hr. The degradation half-lives of OMP-Na and OMP was 310,76, 20.85hr respectively. In the buffer solutions of pH 7, 9 and 11 at 40℃, OMP-EDA was more stable than OMP. OMP-Na was most stable in pH 7, but OMP-EDA became more stable as pH went to alkaline region. In condition of light-resistance, 54% humidity at 25℃, the degradation half-lives of solid OMP, OMP-Na and OMP-EDA was 31.23, 29.922 and 33.311 days respectively. In conclusion, compared to OMP, OMP-EDA was markedly stabilized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pH. Since OMP is degraded by H^(+)-catalyzed reaction, OMP is more stable as the pH becomes more alkaline. The improved stability of OMP-EDA could be explained by the alkaline characteristic due to EDA.;H^(+)/K^(+) ATPase inhibitor인 오메프라졸의 안정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오메프라졸의 ethylenediamine염을 제조하고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시차 주사 열량 분석과 핵자기공명을 이용하여 복합체를 확인하였다. 원소 분석 결과, 결합 조성비는 1 : 1임을 알았다. 오메프라졸의 ethylenediamine염(OMP-EDA)의 안정성에 미치는 은도, pH 및 습도의 영향을 오메프라졸(OMP), 오메프라졸의 나트륨염(OMP-Na)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수용액의 안정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30, 40, 50 ℃에서 조사한 결과 OMP-EDA는 시간과 온도에 대한 함수로 의1차 반응에 의해 분해되었으며, OMP와 OMP-NA보다 안정하였다. OMP-EDA의 분해 속도 정수는 OMP보다 현저히 작았다. 30℃에서 OMP-EDA의 반감기는 322.33 시간이있고, OMP와 OMP-Na의 반감기는 각각 20.85, 310.76 시간이었다. pH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40 ℃의 pH 7, 9, 11 완충액에서 OMP-EDA는 OMP보다 안정하였다. pH 7 에서는 OMP-Na가 가장 안정하였으나, 염기성 쪽으로 갈수록 OMP-EDA가 OMP-Na보다 안정하였다. 25 ℃, 습도 54 %의 항온 항습 차광 조건에서 고체상태로 보관할 때 각 물질의 반감기는 OMP 31.23 일, OMP-Na 29.92 일, OMP-EDA 33.31 일이었다. 결론적으로 OMP-EDA는 OMP에 비하여 온도와 pH에의 영향에 대해서는 뚜렷한 안정성의 개선을 보였다. OMP-EDA의 안정성은 EDA에 기인한 염기성이 OMP가 받는 산 촉매 전위 반응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