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은정-
dc.creator손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2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5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293-
dc.description.abstractThe death that caused by cancer is increasing steadily in this world. Ppeople who die because of cancer hold 12.6% among disease related population of the whole, and it holds on the average of 21.6% among advanced countries and 9.8% among developing countries(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3). In the case of Korea, cancer takes the first place for a cause of adults' death. As you see, canc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for the death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it is the object of fear for public; moreover, it causes a great loss of our public expense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arise from substantial economical loss that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are experiencing. In fact, cancer disease needs a intensive medical treatment and care(intensive apply of high-tech medical technique), and requires a long term struggle with disease. These characteristics are getting similar as chronic disease. As a result, not only a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but a level of Job Loss Cost also will increase, and this causes great burden in household. In Korea, the volunteer system of medical fee for the cancer patients' household to relieve patients' Direct Medical Expenditure does exist; however, it does not recompense income loss that caused by bereft of one's labor. And, because many pre-studies only approach to a concept of social and economical coast loss in cancer patients, extent of Direct Medical Expenditure and Job Loss Cost that each household pays cannot be determined. As I recognize the problem, I would like to research about which factors effect th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and Job Loss Cost in cancer patients' household; moreover, I would like to inspect that how much of economical loss can be differ for different income levels, so that I could check which group is the most weakest group in economical loss. In this study, results from 80 households were used among 100 household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my research. My research was examined by cancer patients' family who were in the process of hospital treatment in second and third hospital. Measurements were organized by verification of professional's Face Validity and Content Validity. In this study, statistics analysis, t-test, ANOVA, Multiple Linear Regression were used with SPSS. The main result of analysis of the data are as followed. 1) The factors that effect monthly average of Job Loss Cost(income loss) are age of cancer patient, marital status, employment shape before an attack of cancer, monthly average of income. As the patient's age gets older, Job Loss Cost(income loss) decreases, and a cancer patient who has no spouse gets more Job Loss Cost(income loss) than who has spouse. Also, in the case for the non wage-worker who were just before an attack of cancer has larger Job Loss, and the low-income group and middle class group has larger Job Loss. 2) The factors that effect monthly average of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is a medical factor, such as month and number of medical treatment. As months of medical treatment get longer, monthly averag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gets less and as number of medical treatment get increase, monthly averag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gets increase. It's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atient could have a care term when the patient gets intensive treatment for 1-2 years for one's cancer attack and patient's symptom gets better or recovers after that. 3) The factors that have a relation with monthly average of comparison of the income are cancer patients' age, marital status, monthly average of income condition before an attack of cancer. As one's age gets older, monthly average of comparison of the income by Job Loss Cost ratio gets lower, one who has no spouse has higher monthly average of Job Loss Cost ratio than who has no spouse. And, in the case of monthly average of household income, as income gets lower gets higher ratio. 4) The factor that has a relation with monthly averag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ratio is the income before an attack of cancer. As any group that has higher monthly average income, its expense of monthly averag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for cancer treatment gets decrease, in contrast, as any group that has lower level of monthly average income takes higher expense of monthly averag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for cancer treatment. In conclusion, whose income loss by labor was majority among all income loss of cancer patients' household, was almost 60% out of the whole research. Then, expenses gets heavier when it goes to low-income from high-income. We need to find a solution immediately since too much expenses of Job Loss Cost(income loss) in low-income and middle class household could push them to poverty level. To consider this condition, we need to compensate Job Loss Cost(income loss) but not only compensate Direct Medical Expenditure(Out-of pocket expenditure=exception of pays in public medical expenses + one's share I expenses) of cancer patients' household, so that we can prevent them from poverty level, and we also can improve patients' and their family's quality of life.;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질병관련 인구전체 사망자의 12.6%를 차지하며, 선진국은 평균 21.6%, 개발도상국은 평균 9.8%(보건복지부, 2003)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암은 성인의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암은 국내ㆍ외적으로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으로서 대중에게 공포의 대상이며, 이로 인한 비용과 경제적 손실은 매우 크다. 이러한 사회ㆍ경제적인 문제는 암환자와 그 가족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경제적 손실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지로 암질환은 질병의 특성상 강도 높은 치료와 케어(첨단 의학기술의 집중적인 적용)가 필요하고 장기간의 투병생활을 요하는 관계로 점차 만성질환과 그 맥락을 같이한다. 그 결과, 환자와 가족이 부담해야 하는 직접의료비용(비급여 의료비+본인부담금) 뿐 아니라 노동손실비용의 수준도 점차적으로 높아짐으로 인해 가계에 심각한 부담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암환자 가정의 직접의료비용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암환자 가정 진료비 지원제도가 존재하지만, 이는 노동력 상실로 인한 소득손실까지는 보상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도 암환자의 사회ㆍ경제적인 비용손실의 개념으로만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 부담하게 되는 직접의료비용과 노동손실비용의 정도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어떤 요인들이 암환자 가정의 직접의료비용(비급여 의료비+본인부담금)과 노동손실비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그러한 경제적인 손실의 상대적인 정도가 소득수준별로 얼마만큼의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아, 실질적인 경제적 손실에 가장 취약한 집단이 어느 집단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당시 2~3차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 가족 중에서 설문에 동의한 100 가구 중에서 80가구의 응답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도구는 문헌고찰과 전문가의 액면타당도,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평균 노동손실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암환자의 연령, 혼인상태, 암 발병 직전의 고용형태, 월평균 소득상태로 집약된다. 암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노동손실비용은 감소하고, 암환자에게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비해 노동손실비용의 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암 발병 직전에 비임금 근로자인 사람들의 경우에 노동손실의 정도가 크고, 저소득계층과 중산계층일 경우에 노동손실의 정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월평균 직접의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투병 개월 수와 치료 횟수와 같은 의료적인 요인이다. 투병개월 수가 길어질수록 월평균 직접의료비용은 적어지게 되고 치료 횟수가 많아질수록 월평균 직접의료비용은 많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암 발병을 통보받은 이후 1년~2년 동안은 집중적인 치료를 받다가, 증상의 완화 혹은 완치판명을 받은 이후에는 중간관리기간의 term이 존재할 가능성이 그 원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 소득대비 월평균 노동손실비용 부담률과 연관이 있는 요인은 암환자의 연령, 혼인상태, 암 발생 이전의 월평균 소득상태로 집약된다. 나이가 많을수록 소득대비 월평균 노동손실비용 부담률 정도가 낮아지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에 비해 월평균 노동손실비용 부담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월평균 가구소득의 경우는 소득이 낮을수록 부담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월평균 직접의료비용 부담률과 연관이 있는 요인은 암 발병 이전의 소득만 해당된다. 월평균 소득이 높은 계층일수록 암 치료를 위한 월 평균 직접의료비의 부담이 감소하고, 반대로 월 평균 소득이 낮은 계층일수록 암 치료를 위한 월평균 직접의료비의 부담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암환자 가정의 전체 손실비용 중에서 노동으로 인한 손실비용의 정도가 과반수 이상인 경우가 전체 설문 응답가구 중에서 60% 가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때 고소득에서 저소득으로 갈수록 그 부담의 정도가 가중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저소득계층과 중산계층의 노동손실비용에 대한 과중한 부담은 이들이 빈곤계층으로 전락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암환자 가정의 직접의료비용에 대한 보상에서 더 나아가 노동손실비용을 보상해 주어, 이들이 빈곤계층으로 전락하는 것을 예방하고, 암환자 및 가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하는 바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5 II. 문헌고찰 6 A. 암환자의 경제적 손실에 관한 연구 6 B. 소득계층별 암환자의 상대적인 경제적 손실에 관한 연구 8 III. 연구방법 11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11 1. 연구대상 11 2. 자료수집 방법 11 B. 연구모형 및 연구문제 12 1. 연구모형 12 2. 연구문제 13 C. 측정도구 및 내용 14 1. 종속변수 14 2. 독립변수 16 D. 자료분석 방법 17 IV. 분석결과 18 A. 암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8 B. 각 요인에 따른 발병직후부터 현재까지의 총 비용 차이 19 1.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발병직후부터 현재까지의 총 비용 차이 20 2.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따른 발병직후부터 현재까지 총 비용의 차이 21 3. 의료적인 요인에 따른 발병직후부터 현재까지의 총 비용의 차이 23 C. 각 요인에 따른 월평균 손실비용 차이 25 1. 암환자 가정 월평균 손실비용의 일반적 경향 25 2.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월평균 손실비용의 차이 26 3. 사회 · 경제적인 요인에 따른 월평균 손실비용 차이 28 4. 의료적인 요인에 따른 월평균 손실비용의 차이 31 D. 각 요인에 따른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 33 1. 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 차이 33 2. 사회 · 경제적 요인에 따른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 차이 35 3. 의료적 요인에 따른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 차이 38 E. 월평균 손실비용,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0 1. 월평균 손실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1) 월평균 노동손실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2) 월평균 직접의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4 3) 월평균 노동손실비용+월평균 직접의료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6 2.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7 1) 소득대비 월평균 노동손실비용 부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7 2) 소득대비 월평균 직접의료비용 부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9 3) 소득대비 월평균 노동손실비용 부담률+월평균 직접의료비용 부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0 V. 결론 및 제언 52 A. 연구결과 52 1. 연구 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2. 인구학적 요인, 사회·경제적인 요인, 의료적인 요인이 월평균 손실비용과 소득대비 월평균 손실비용 부담률에 미치는 영향 53 B. 정책적 함의 56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58 참고문헌 59 부록(설문지) 62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31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암환자 가정의 손실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Household's Financial Burden associated with cancer treatment in Korea: point of the direct medical expenditure and job loss cost-
dc.creator.othernameShon, En Jung-
dc.format.pagevii,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