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9 Download: 0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Authors
사공은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많은 연구들이 데이트 관계에서 상당한 정도의 폭력적인 행동이 관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데이트 폭력은 신체적인 상해뿐만 아니라 심각한 심리적인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이후의 적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데이트 폭력은 배우자 폭력과 관련이 있다. 선행 연구들은 이것이 훗날 가정폭력의 전조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데이트 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데이트 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밝히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의하면, 인간은 폭력행위에 노출되어 모방함으로써 폭력학습의 과정을 습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에, 학교폭력 피해도 폭력 환경에 노출된 경험 중 일부분이 될 수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데이트 폭력 경험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 폭력의 하위차원으로 신체적, 심리적, 성적 폭력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잠재적인 위협이나 통제 가능성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줌으로써 스트레스나 갈등상황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이 데이트 과정에서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인 위협이나 통제 가능성에 영향을 주어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에 관해 탐색적(exploratory)으로 살펴봄으로써 데이트 폭력 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서울지역에 소재한 4년제 남녀공학의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systematic sampling)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데이트 폭력은 신체적, 심리적, 성적 폭력으로 구분하여 Straus(1979)의 CTS(Conflict Tactic Scale)와 Shephare와 Compbell(1992)의 ABI(Abusive Behavior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학교폭력 피해 경험은 Olweus(1993)의「Bully/Victim Questionnaire」와 Olweus(1991)의 「Junior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버전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데이트 폭력의 가해 실태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 중 어떠한 형태로든 데이트 폭력 가해에 해당하는 항목 중 하나 이상을 데이트 상대에게 행한 적이 있는 경우가 총 348명으로 전체의 73.3%를 차지하였다. 데이트 폭력의 하위차원별로는 심리적 폭력에 해당하는 문항 중 하나 이상을 데이트 상대에게 행한 적이 있는 경우가 총 346명(7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신체적 폭력의 경우, 55명(11.6%), 성적 폭력의 경우, 9명(1.9%)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여 각 변수들이 데이트 폭력의 신체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여성일수록, 교제기간이 길수록,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신체적 폭력 가해를 많이 한다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통제변수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여 각 변수들이 데이트 폭력의 심리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여성일수록, 교제기간이 길수록,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심리적 폭력 가해를 많이 한다는 것을 나타났다. 넷째, 통제변수와 학교폭력 피해 경험을 독립변수로 하여 각 변수들이 데이트 폭력의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제기간이 길수록,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성적 폭력 가해를 많이 한다는 것을 나타났다. 다섯째, 통제변수와 독립변수를 포함하여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항의 각 변수들이 데이트 폭력의 신체적, 심리적,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간의 관계에 사회적 지지의 평가적 지지가 조절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함의를 가진다. 첫째, 데이트 폭력의 예방을 위해 데이트 폭력이 무엇이며, 이러한 데이트 폭력을 누구나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어야 한다. 이러한 인식변화를 위해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교육 과정에 폭력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에 관한 내용에는 데이트 폭력의 특수성이 반영되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데이트 폭력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를 위한 사회복지적 전달체계를 마련하여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클라이언트를 발굴해내고, 이들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이나 계몽 프로그램들이 절실히 요구되며, 더불어 현재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사와 부모가 적절한 지지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데이트 폭력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moderat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ose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75 Korean college students in Seoul who had the experience of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 Dating violence was measured by CTS(Conflict Tactic Scale) which is divided by Straus(1979) and ABI(Abusive Behavior Inventory) which is divided by Shephare & Compbell(1992). School violence was measured by Bully/Victim Questionnaire and Junior Questionnaire which are divided by Olweus(1993, 1991).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Social Support Scale which is divided by Ji Won, Pack(1985).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using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73.3% have inflicted dating violence to their dating partner at least once or more. For the case of sub-dimension, 76% have inflicted dating psychological violence, 11.6% have inflicted dating physical violence, and 1.9% have inflicted dating sexual violence to their dating partner at least once or more. Second, female students reported more inflicted physical violence to their dating partner than males. Students who had had long relationship reported more inflicted physical violence. And Students who had had experienc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reported more inflicted physical violence. Third, female students reported more inflicted psychological violence to their dating partner than males. Students who had had long relationship reported more inflicted psychological violence. And Students who had had experienc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reported more inflicted psychological violence. Forth, female students reported more inflicted sexual violence than to their dating partner males. Students who had had long relationship reported more inflicted sexual violence. And Students who had had experienc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reported more inflicted sexual violence. Fifth, appraisal support of social support has moderate effect to relationship between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Based up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can be suggested are as the following; First,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in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schools in social work area to prevention of dating violence. Second, it needs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terventions to victims of dating violence. Third, it needs proper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constructive intervention to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Forth, it needs social work interventions to make the teacher and parents fulfill supportive role. Fifth, it needs to develop and practic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to prevent dating viol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